조승래 "기재부, YTN 공기업 지분매각 경위 감사하라"

'혁신' 이름 아래 공공기관 자산 3조 4543억 매각 "마사회 YTN 지분 매각, 기재부 혁신TF의 강제 때문" "YTN 지분 매각 경위 확인할 회의자료·결재문서 전무"

2025-10-13     송창한 기자

[미디어스=송창한 기자] 조승래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기획재정부에 대해 YTN 지분 매각 과정의 위법성 여부를 감사하라고 요구했다. 공기업의 YTN 지분이 윤석열 정부 기재부의 '혁신' 압박에 울며 겨자먹기로 매각됐다는 의혹이 제기되는 상황이다.  

13일 조 의원이 공개한 기재부의 '공공기관 혁신계획 이행 점검 결과' 자료에 따르면 공공기관에서 총 1만 2845명의 인력이 감축됐고, 9559억 원의 예산이 삭감됐고, 3조 4543억 원의 자산이 매각됐다. 

조승래 더불어민주당 의원 (조승래 의원실)

조 의원은 "마사회가 보유한 YTN 지분 매각 결정은 처음부터 공공기관이 자체적으로 결정한 것이 아닌 기재부 내 혁신TF의 결정이었다"며 "기재부는 혁신TF 결정을 공공기관이 자발적으로 따랐다고 말하지만 사실상 강제한 것과 다름없다"고 비판했다. 

조 의원은 "공공기관 지분 매각 결정을 부처 내 자체 TF에서 검토한 것은 비상식적"이라며 "보도전문채널의 공공성 등 고려할 사안이 많았음에도 지분 매각 결정이 어떤 논리와 경위로 결정됐는지 관련 회의록과 회의자료, 결재문서도 전무하다"고 지적했다. 

조 의원은 "YTN 지분 매각 결정 경위와 공공기관 혁신계획 추진 과정에서 발생한 부작용 등을 면밀히 점검해야 한다"며 "감축됐던 정원이나 예산 등이 필요한 만큼 회복될 수 있도록 공공기관들과 소통하고, YTN 지분 매각에 대해서는 기재부 자체 감사를 통해 위법성이 없는지 밝혀야 한다"고 했다. 

YTN은 '준공영 방송'으로 한전KDN 21.43%, 한국마사회 9.52% 등 공기업 지분이 30% 이상이 됐다. 윤석열 정부 YTN 사영화 압박은 산업통상자원부 공공혁신TF에서 시작됐다. 한전KDN은 YTN 지분을 보유하겠다는 입장을 담은 혁신계획 초안을 산업부에 제출했다. 하지만 산업부 혁신TF가 '합리적이지 않다'는 두 줄짜리 검토 결과를 내놓으면서 한전KDN은 지분 매각을 추진했다.

마사회 역시 '재무상태 양호'를 근거로 YTN 지분을 매각하지 않는다고 밝혔지만 돌연 YTN 지분을 매각하겠다고 입장을 바꿨다. 마사회장이 농식품부 차관을 만난 뒤 매각 입장으로 급선회했다는 의혹이 불거졌다. 

기재부는 지난 2022년 11월 11일 공공기관운영위원회를 열고 한전KDN과 마사회가 보유 중인 YTN 지분을 전략 매각하는 내용의 자산 효율화 계획을 의결했다. 

또 조 의원은 "기재부가 효율성만을 강조하며 공공기관에 인력과 예산, 자산을 일괄적으로 감축하도록 해 기관 자체 투자나 본연의 업무 수행에 지장을 초래하고 업무 외주화 및 하청 구조 심화라는 부작용이 발생했다"며 "공공기관 경영평가에서 '공공기관 혁신가점'을 삭제하고 공공기관 혁신 계획 폐지 선언을 해야 한다"고 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