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신 "이 대통령에 매료된 트럼프...노력 결실" 호평
워싱턴포스트 "농담으로 트럼프 미소 자아내"
[미디어스=박대형 기자] 미국 워싱턴DC 백악관에서 25일(현지시간) 열린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첫 한미정상회담을 두고 주요 외신이 "이 대통령의 노력이 결실을 맺었다"고 평가했다.
외신들은 "이날 회담 직전 트럼프 대통령이 SNS에 '한국에서 혁명과 숙청이 벌어지고 있다'고 발언해 긴장이 고조됐으나 이 대통령이 회담 분위기를 우호적으로 바꿔놓았다"고 전했다.
AP통신은 "이 대통령이 집무실 장식을 아낌없이 칭찬하고 한반도 평화를 위한 노력을 요청, 심지어 북한에 트럼프 타워 건립까지 제안하자 적대적인 '오벌오피스(집무실)' 회담이 이뤄질 모든 가능성은 완전히 사라졌다"며 "화기애애한 모습은 세계 정상들이 트럼프 대통령 과거 회담에서 교훈을 얻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짚었다.
워싱턴포스트(WP)는 "트럼프 대통령이 소셜미디어를 통해 한국의 정치적 상황을 비판한 뒤 이 대통령과 회담했지만 긴장을 피했다"며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에 대해 '매우 따뜻하게 느낀다'고 입장을 바꿨다"고 보도했다.
워싱턴포스트는 "이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의 집무실 새 단장, 전 세계에서의 평화 노력, 최근 다우존스 지수 최고치 경신 등에 대해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며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에 트럼프 타워를 짓고 골프를 쳐야 한다는 농담을 던져 트럼프 미소를 자아냈다"고 했다. 그러면서 "트럼프 대통령과 이 대통령은 피살 위험에서 살아남은 공통 경험이 있다. 이번 회담은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는 기회가 됐다"고 덧붙였다.
블룸버그통신은 "트럼프 대통령이 회담 중 이 대통령에게 '교회 습격'에 대해 추궁했지만 이 대통령의 설명을 들은 뒤 '오해라고 확신한다'고 말했다"며 "이는 트럼프 대통령을 매료시키려는 이 대통령의 노력이 결실을 맺었다는 신호"라고 분석했다.
"대치 상황 피한 이재명...모두가 미소"
BBC는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시릴 라마포사 남아프리카공화국 대통령이 올초 경험했던 것처럼 많은 정상들은 백악관 집무실에 들어설 때 어떤 일이 일어날지 확신하지 못한다"며 "이 대통령이 '오벌오피스 서프라이즈'를 피하면서 모두가 미소짓고 있다"고 전했다.
로이터통신은 "이 대통령이 지난 2월 젤렌스키 대통령이나 5월 라마포사 대통령 방문 때처럼 연극적인 대치 상황을 피했다"며 "이 대통령은 트럼프 백악관을 방문하는 외국 정상들이 사용해온 익숙한 전략을 활용했다. 골프 이야기를 하고 집무실 인테리어와 평화 중재 능력을 칭찬했다"고 설명했다.
뉴욕타임스(NYT)는 "수십 년간 이어져 온 한미 동맹이 경색 조짐을 보이는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의 독재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칭찬했다"며 "트럼프 대통령이 김 위원장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고 거듭 언급했다"고 전했다. 뉴욕타임스는 "트럼프 대통령이 김 위원장과 이 대통령의 만남을 주선하겠다고 제안했다"며 "한국 정치의 가장 민감한 문제 중 하나에 개입하려는 모습을 보였다"고 평가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