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날리면' 진실 은폐의 16시간 진상 밝혀야"
언론현업단체 "MBC에 집중된 탄압 우연 아니다" "김은혜 듣기평가 브리핑에 또다른 'VIP 격노’ 없었나"
[미디어스=고성욱 기자] 언론현업단체들이 ‘바이든 날리면’ 사건의 핵심은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속어 논란 이후 벌어진 '진실 은폐 흐름'이라며 “철저한 진상 규명에 나서 언론의 자유를 침해한 정권 차원의 기획과 집행 여부를 명백히 밝혀내야 한다”고 밝혔다.
22일 방송기자연합회·전국언론노동조합·한국기자협회·한국방송기술인연합회·한국방송촬영인연합회·한국영상기자협회·한국영상편집기자협회·한국PD연합회는 공동 성명을 내어 조현 외교부 장관의 사과로 윤석열 정부의 언론탄압 상징인 ‘바이든 날리면’ 사건을 매듭지을 수 없다고 선을 그었다.
조현 신임 외교부 장관은 21일 열린 취임식에서 ‘바이든 날리면’ 정정보도 소송에 대해 “외교부가 MBC를 제소한 것은 분명 잘못된 것”이라며 “외교부를 대표해 MBC에 사과드린다”고 말했다. 조 장관은 후보자 인사청문회에서 “사실 어느 직원이 자발적으로 이런 일을 했겠느냐"고 말했다.
언론현업단체는 “무엇보다 외교부는 비속어 발언의 당사자가 아님에도 대통령의 명예가 훼손되었다며 언론을 상대로 민사소송을 제기했고, 이에 대해 국민들은 납득할 만한 설명을 듣지 못했다”고 지적한 뒤 “조 장관의 언급은 당시 대통령실의 지시 여부와 그 경위를 철저히 규명해야 함을 보여준다. MBC를 포함한 사실상 전 언론의 보도가 잘못됐다고 주장한 근거는 무엇인지, 대통령실이 실시했다고 밝힌 음성 분석 결과는 왜 공개되지 않았는지도 이제는 분명히 밝혀야 한다”고 말했다.
언론현업단체는 “이 사건의 핵심은 그 이후 벌어진 ‘진실 은폐’의 흐름”이라고 설명했다. 이들은 “김은혜 당시 홍보수석이 ‘날리면’ 해명을 내놓기까지 16시간 동안 대통령실 내부에서 어떤 논의와 결정이 오갔는지 그 진상이 불분명하다"면서 "한 비서관은 영상기자단에 '영상을 어떻게 해줄 수 없겠느냐'고 사실상 삭제를 요구했고, 한 고위 관계자는 기자단에 ‘사적 발언을 외교적 성과와 연결하지 말라’는 발언을 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언론현업단체는 “방송 메인뉴스와 조간신문이 관련 내용을 보도한 뒤에도 대통령실은 아무 문제를 제기하지 않다가, 돌연 '날리면으로 들린다'는 김 수석의 듣기평가식 브리핑이 등장했다”며 “그 사이 또다른 'VIP 격노’는 없었는지, 왜 갑자기 입장이 전환됐는지 국민은 묻고 있다”고 강조했다.
언론현업단체는 “동시에 MBC에 집중된 탄압이 단순한 우연이 아니었음을 지적한다”면서 “특정 언론에 대한 '좌표 찍기'를 통해 언론계 전반에 위축 효과를 노린 정치적 시나리오였다는 강한 의심을 불러일으킨다”고 말했다.
‘바이든 날리면’ 논란 당시 MBC뿐 아니라 140여 개 언론사들이 '국회는 미 의회를 지칭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하지만 대통령실은 MBC에만 공문을 보내 보도 경위를 소명하라고 요구했고, 국민의힘과 보수 성향 단체들은 MBC 사장·보도국장·기자들을 무더기 형사 고발했다. 국민의힘은 MBC에 대한 광고 중단을 언급했으며 방송통신심의위원회는 MBC에 최고 수위 징계인 과징금 3000만 원을 부과했다. 또 MBC 취재진은 대통령 전용기에서 배제됐다.
언론현업단체들은 “국회와 국정기획위원회 등 관계 당국은 ‘바이든-날리면’ 사안에 대한 철저한 진상 규명에 나서야 한다”며 “언론의 자유를 침해한 정권 차원의 기획과 집행 여부를 명백히 밝혀내고, 이러한 일이 반복되지 않도록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진실은 은폐될 수 없으며, 그 책임은 끝까지 물어야 한다”고 촉구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