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세지는 시민사회의 '강선우 지명 철회' 요구

여성정치네트워크 “갑질로 이룰 수 있는 성평등 없다” 참여연대 “현직 의원 제외하면 강행 이유 찾기 힘들어” 민주노총 “성평등 시계 되돌리는 강선우 지명 철회하라”

2025-07-21     노하연 기자

[미디어스=노하연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갑질 의혹이 제기된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의 임명 절차를 밟자 노동·여성시민단체가 “‘갑질’로 이룰 수 있는 성평등은 없다”며 지명 철회를 요구했다. 

한국여성정치네트워크는 21일 논평을 내어 “이재명 대통령은 하루라도 빨리 강 후보자의 지명을 철회하라. 강 후보자는 (갑질 피해를 주장한) 보좌관에게 사죄하는 마음을 담아 사퇴하라”고 밝혔다. 

21일 한국여성정치네트워크 논평 갈무리

여성정치네트워크는 “강 후보자는 이재명 대통령 당대표 시절 그림자 보좌를 자처했다”며 “공직자 임명 방식이 그간 이재명 대통령 만들기에 기여한 이들에 대한 보은 인사로 이루어지는 것은 문제적”이라고 지적했다. 

여성정치네트워크는 이 대통령이 강 후보자와 달리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를 지명 철회한 것에 대해 “이 대통령은 이 후보자의 지명에 논란이 일자 ‘내가 추천한 사람 아니’라고 발언한 바 있다. 인사권자가 인선에 대한 책임을 회피한 것”이라면서 “(지명을 철회한) 이 후보자는 (이 대통령에게) 내 사람이 아닌 반면, 강 후보자는 내 사람인 것”이라고 말했다.

여성정치네트워크는 “공직의 기본은 공명정대이나, 강 후보자는 그 기본 자질에서부터 부적합하다는 증언이 이어지고 있다”며 “보좌관 갑질, 병원 갑질, 무책임한 강사 활동 등 고구마 줄기처럼 지면 위로 올라오는 강 후보자의 문제들은 그가 살아온 삶의 태도의 문제를 넘어, 공직을 공명정대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자질이 있느냐를 의심하게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갑질과 무책임으로 이룰 수 있는 성평등은 없다”고 강조했다.

같은 날 참여연대는 논평을 내어 이 대통령의 강 후보자 임명 결정에 대해 “납득하기 어렵고 부적절하다”고 밝혔다. 참여연대는 “강 후보자는 인사청문회에서 보좌진에 대한 ‘갑질’ 해명 과정에서 거짓 해명으로 공직자와 정부에 대한 불신을 키웠다”며 “강 후보자 임명 강행은 ‘제식구 감싸기’로 비판받고, 새 정부에 대한 국민의 신뢰를 훼손할 것이다. 강 후보자에 대한 지명은 철회돼야 한다”고 했다.

지난 14일 SBS '8뉴스' 보도화면 갈무리

참여연대는 “강 후보자는 자신에게 제기된 ‘갑질’ 의혹과 관련해 보좌진에게 직접 쓰레기를 버리라고 지시한 적이 없고, ‘갑질’ 피해를 제보한 보좌진들에게도 법적 조치를 취하지 않을 것이라고 인사청문회 현장에서 답변했다”며 “그러나 이는 곧 언론 보도 등을 통해 거짓 해명임이 드러났다. 공적권한의 사적 남용인 ‘갑질’과 청문회장의 거짓말은 치명적 부적격 사유”라고 지적했다.

참여연대는 “(강 후보자는) 비동의강간죄, 차별금지법 등 다양한 젠더 의제 관련 정책과 대해서도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며 정책적 입장조차 제대로 밝히지 않았다”며 “현직 의원이라는 점을 제외하고 강 후보자가 여가부 장관에 임명되어야 할 이유를 찾기 힘들다”고 했다. 참여연대는 “이번 인사와 인사청문회를 둘러싸고 잡음이 끊이지 않고 ‘인사검증실패’까지 언급되는 상황”이라며 “대통령실은 지금이라도 인사검증 기준과 그 절차를 시민들 앞에 투명하게 공개하고, 인사실패의 재발을 막아야 한다”고 했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은 ‘성평등 시계를 되돌리는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지명 철회하라’는 성명을 내어 “강 후보자는 여성가족부의 존재 이유와 역할에 대한 깊은 이해와 의지가 부족하며, 이번 인사는 윤석열 정부의 여성가족부 해체 시도에 맞서 싸워온 성평등 사회를 염원하는 시민들의 기대를 저버리는 행위”라고 지적했다.

민주노총은 “강 후보자는 성평등 의제에 대한 전문성과 정책 추진력, 시민사회와의 소통 능력 모두에서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는다”며 “게다가 보좌진에 대한 갑질 의혹과 거짓 해명 논란은 더욱 심각한 문제다. 사회적 약자의 인권을 보호해야 할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가, 직장 내 약자에게 부적절한 언행을 하고 그 사실을 은폐하거나 왜곡하려 했다는 의혹은, 공직자의 자격에 중대한 결함이 있음을 보여준다”고 비판했다.

민주노총은 “검증되지 않은 정치적 안배 인사는 결코 광장의 기대에 부응할 수 없다. 이재명 대통령은 스스로 약속한 차별금지법 제정과 성평등 사회 실현을 위한 정책을 진정성 있게 이행해야 한다”며 “광장의 약속을 저버리고 성평등의 시계를 되돌리는, 강선우 여성가족부 후보자 지명을 철회하라”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20일 ‘제자 논문 표절’ 의혹이 제기된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지명을 철회했다. 하지만 강 후보자에 대해서는 별다른 언급이 없어 사실상 임명 강행이 아니냐는 해석이 대세를 이루고 있다. 우상호 대통령실 정무수석은 21일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여러 가지 종합적으로 고려해 결정을 내렸다”며 “이 정도 해명된 인사도 낙마시키면 앞으로 인사는 어떻게 하느냐는 우려가 있었다. 제가 여러 의견을 (이 대통령에게) 가감 없이 전달했고, 최종적으로 인사권자가 이렇게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