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매일신문·문화일보, 윤석열 정부광고 신문 4·5위 기염

언론재단 2024년도 정부광고 집행내역 분석 매일신문 66억, 문화일보 62억…1·2·3위 동아·중앙·조선 경향·한겨레 16·17위… 영남·강원일보 12·13위 한국일보 제외하면 10위 이내 모두 보수·경제지 신문광고 늘고 방송광고 줄어… 정부광고 총액 1.3조

2025-07-07     송창한 기자

[미디어스=송창한 기자] 윤석열 정부 시기인 한국언론진흥재단의 2024년 정부광고 집행내역을 분석한 결과, 일간신문 기준으로 대구 지역신문 매일신문이 동아·중앙·조선일보에 이어 네 번째로 정부광고를 많이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5위는 보수 성향 석간 문화일보다. 

또 대구·경북, 강원 지역의 일부 일간지가 전국단위 중앙일간지를 압도하는 양의 정부광고를 수주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광고 10위 안에 진보 성향 언론은 한 곳도 없다. 중도 성향 언론 1개를 제외한 9개 언론 모두 보수·경제지다.

(매일신문·문화일보 홈페이지)

미디어스는 언론재단의 2024년도 정부광고 집행내역 중 일간신문에 집행된 정부광고를 언론사별로 집계했다. 십만 원 단위는 반올림 처리했다. 정부광고 주무 부처인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정부광고법 제14조(국회 보고)에 따라 정부광고 집행내용을 다음 연도 5월 31일까지 국회에 보고하여야 한다. 또 언론재단은 정부광고 집행내역을 정부광고 통합지원시스템(GOAD)에 공개하고 있다.  

1·2·3위는 동아·중앙·조선일보다. 동아일보 98억 2500만 원, 중앙일보 86억 9200만 원, 조선일보 82억 8500만 원이다. 4위는 매일신문으로 66억 5200만 원, 5위는 문화일보로 62억 4200억 원이다. 6위부터 10위까지는 한국경제(58억 2400만 원), 매일경제(55억 1100만 원), 서울신문(53억 1900만 원), 한국일보(49억 4000만 원), 세계일보(49억 2400만 원) 순이다. 

11위~20위는 국민일보(48억 3700만 원), 영남일보(48억 3500만 원), 강원일보(48억 1100만 원), 강원도민일보(46억 5600만 원), 서울경제(45억 900만 원), 경향신문(43억 8200만 원), 한겨레(41억 4600만 원), 아시아투데이(39억 6200만 원), 머니투데이(38억 2400만 원), 내일신문(37억 400만 원)이다.  

21위~30위는 파이낸셜뉴스(34억 55500만 원), 중도일보(31억 8900만 원), 경기일보(29억 7800만 원), 아시아경제(29억 1800만 원), 아주경제(26억 3600만 원), 부산일보(26억 400만 원), 경인일보(25억 6400만 원), 대전일보(24억 3100만 원), 인천일보(23억 9200만 원), 중부일보(23억 8900만 원)이다 .

31위~40위는 국제신문(22억 2368만 원), 대구신문(21억 4500만 원), 대구일보(20억 3400만 원), 기호일보(19억 4200만 원), 이데일리(19억 3800만 원), 신아일보(19억 1700만 원), 전자신문(19억 900만 원), 충청투데이(18억 6300만 원), 전국매일신문(15억 4300만 원), 이투데이신문(13억 7300만 원)이다. 

2023년도와 비교해 중앙일보가 한 계단 오르고, 조선일보가 한 계단 떨어져 2·3위가 뒤바뀌었다. 2023년 1·2·3위는 동아일보(97억 3500만 원), 조선일보(83억 9800만 원), 중앙일보 (83억 500만 원)이다. 윤석열 정부에서 문화일보 정부광고 집행액은 꾸준히 늘었다. 2021년 44억 2400만 원이었던 문화일보 정부광고 집행액은 2022년 47억 2700만 원, 2023년 54억 7800만 원, 2024년 66억 5200만 원으로 증가했다.

이른바 '10대 전국단위 중앙일간지'보다 정부광고를 많이 받는 지역 일간지들이 눈에 띈다. 진보 성향으로 분류되는 경향신문과 한겨레는 2024년 일간지 정부광고 집행액 순위에서 각각 16위와 17위를 차지했다. 중도 보수 성향의 국민일보가 11위, 중도 성향의 한국일보가 9위다. 20위 내 지역 일간지는 매일신문 4위, 영남일보 12위, 강원일보 13위, 강원도민일보 14위 등이다. 

4위 매일신문은 윤석열 전 대통령 비상계엄·탄핵 정국에서 '내란 옹호' 논란을 빚은 매체다.  지난 2월 28일 매일신문은 <尹 대통령 복귀가 국익(國益)이다!>라는 제목의 석민 선임논설위원 칼럼을 실었다. 석 논설위원은 칼럼에서 윤 전 대통령 측이 주장하는 '계몽령'을 치켜 세우며 이를 비판하는 기성 언론을 향해 "부패하고 썩어 문드러져 악취가 진동한다"고 했다. 당시 민주당 대표였던 이재명 대통령은 해당 매일신문 칼럼을 SNS에 공유하며 "실제 신문이다"라고 썼다. 매일신문은 해당 칼럼을 삭제 조치했다. (관련기사▶매일신문, '윤석열 복귀가 국익이다' 극우 칼럼 삭제)

매일신문 기자들은 자사 간부들을 '윤석열 첨병'이라고 지칭했다. 한국기자협회 매일신문지회는 지난 2월 10일 발표한 성명에서 "편집국이 반민주적 계엄에 동조·옹호하고 있다"며 "매일신문은 윤 대통령 ‘결사옹위의 첨병’이 됐다.(중략)개인이 일방적으로 발표하는 내용을 단편적으로 전달하는 데 그쳐 허위보도에 앞장섰다"고 했다. 막내 기수인 60기 기자들은 성명을 내어 "‘매일신문이랑 스카이데일리밖에 안 봐’ 한남동 집회를 취재하다 들은 응원 한마디, 어느새 1년을 채운 매일신문 생활을 울적하게 돌아보는 계기가 됐다"고 했다. (관련기사▶매일신문 기자들 "국장단, 윤석열 ‘결사옹위' 첨병")

지난 2월 28일 당시 이재명 민주당 대표 SNS에 공유된 매일신문 칼럼

2024년 정부광고 집행에서 인쇄·신문광고는 늘고 방송광고는 줄었다. 미디어스가 입수한 문화체육관광부의 국회 보고서를 보면, 2024년 집행된 정부광고 총액은 1조 3104억 원이다. 매체별 집행내역을 보면 인터넷·인쇄·옥외매체는 집행이 늘었고 방송·해외매체는 감소했다.

인쇄매체 정부광고 집행액은 2023년 2623억 1100만 원(8만 6189건), 2024년 2648억 3800만 원(8만 4824건)이다. 인쇄매체 정부광고 대부분은 신문 광고다. 신문에 집행된 정부광고는 2023년 2392억 3700만 원(7만 8190건), 2024년 2430억 9600만 원(7만 7146건)이다. 방송에 집행된 정부광고는 2023년 3388억 원(1만 671건), 2024년 3225억 5300만 원(1만 5506건)이다. 

기관별 집행내역을 보면 국가행정기관·특별법인·지방공기업에서 정부광고 집행이 늘었고, 지방행정기관·교육행정기관·공공기관에서는 줄었다. 국가행정기관 정부광고 집행액은 2023년 1407억 9000만 원(8981건), 2024년 1436억 4800만 원(9628건)이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