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TN노조, 대통령 관저 앞 'YTN 정상화 촉구' 기습 시위

이 대통령, 첫 언론사 사장단 간담회 'YTN 민영화' 초대 사장 김백 참석 "내란수괴 하수인이 새 정부 만찬 초청돼"

2025-06-28     송창한 기자

[미디어스=송창한 기자] 전국언론노동조합 YTN지부가 이재명 대통령과 언론사 사장단 만찬 전 기습 피켓시위를 벌였다. 김백 YTN 사장을 규탄하고 YTN 정상화를 촉구했다. 전임 윤석열 정부는 공기업이 보유한 YTN 지분을 유진그룹에 통매각하는 방식으로 보도전문채널 민영화를 단행했다. 

지난 27일 언론노조 YTN지부는 서울 한남동 대통령 관저 앞에서 'YTN 불법 매각' '사영화는 원천무효' '유진퇴출 김백퇴진' 등의 문구가 적힌 피켓을 들고 기습 시위를 진행했다. 언론노조 YTN지부 측 관계자는 "김백 등 언론사 사장들의 차량 대부분과 이 대통령을 태운 차량이 YTN 조합원들의 피케팅 현장을 목격했다"고 전했다. 

지난 27일 전국언론노동조합 YTN지부가 서울 한남동 대통령 관저 앞에서 김백 사장을 규탄하고 YTN 정상화를 촉구하는 기습 피켓시위를 벌이는 모습 (사진=언론장악저지공동행동)

이날 저녁 이 대통령은 언론사 사장 20여 명과 비공개 만찬 간담회를 진행했다. 초청 대상에 윤석열 정부 YTN 민영화 이후 사장추천위원회 절차 없이 임명된 김백 YTN 사장, 윤 전 대통령이 임명한 박장범 KBS 사장이 포함됐다. 

같은 날 90여개 언론·시민단체로 구성된 언론장악저지공동행동(이하 공동행동)은 성명을 내어 "내란 우두머리 윤석열의 하수인이자 언론장악 첨병이었던 이들이 아직까지 자리를 지키고 있는 것도 황당한데, 새 정부의 언론사 사장 초청 만찬까지 참석한다니 어이가 없다"고 규탄했다. 

공동행동은 "내란 정권으로부터 언론장악 하청을 받은 유진그룹이 선택한 김백은 과거 YTN 해직사태 주역”이라며 "지난해 사장이 되자마자 대선 시기 윤석열 후보자, 김건희 씨에 대한 YTN 검증보도가 ‘불공정했다’고 머리를 조아리는 대국민 사과로 용산에 충성을 맹세했다. 보도국장 임명동의제 일방적 파기에 내란세력 주장 받아쓰기, 제작물 삭제 등으로 YTN을 망가뜨렸고, 노조는 파업을 벌이며 저항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지난 27일 전국언론노동조합 YTN지부가 서울 한남동 대통령 관저 앞에서 김백 사장을 규탄하고 YTN 정상화를 촉구하는 기습 피켓시위를 벌이는 모습 (사진=언론장악저지공동행동)

이 대통령은 지난 대선에서 공적 지분·자금이 들어간 언론사의 정치적 독립성과 중립성을 강화하고 보도전문채널의 거버넌스를 개선하겠다고 공약했다. 

지난해 2월 김홍일·이상인 '2인 체제'의 방통위는 YTN 최다액출자자 변경을 승인했다. 유진그룹 특수목적법인(SPC) '유진이엔티'에 YTN 최대주주 자격을 부여하면서 특혜 매각 의혹, 부실·졸속 심사 논란이 일었다. YTN 지분을 보유하고 있던 한전 KDN(21.4%)과 한국마사회(9.5%) 등 공기업은 지분매각 의사가 없었다. YTN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것이 자사 재무상황에 더 유리하다는 판단을 내렸다. 하지만 정부 권고 등에 의해 지분매각에 나섰다. 

방통위는 YTN 민영화 논의 과정에서 이상인 전 부위원장에 대한 기피신청을 불법적으로 '셀프 각하'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이상인 전 부위원장은 유진그룹 유경선 회장의 변호인 출신이다. 유경선 회장은 2007년 유진그룹이 하이마트를 인수할 당시 선종수 하이마트 회장과 이면계약을 체결해 2012년 기소됐다. 유경선 회장의 변호는 법무법인 오늘에서 맡았는데, 이상인 전 부위원장이 담당 변호사 중 한 명이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