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김어준 제거 위해 폐국 자백…TBS 즉각 정상화하라"

언론장악저지공동행동 '오세훈, TBS 폐국탄압' 규탄 성명 "어느 지방 정부·시의회가 진행자 복귀 막으려 방송사 통째로 날리나"

2025-06-13     고성욱 기자

[미디어스=고성욱 기자] 언론시민사회단체가 김어준 씨의 ‘나 돌아올 거야’ 발언 때문에 TBS 지원 조례가 폐지됐다는 취지로 말한 오세훈 서울시장에 대해 “사실이라면 진행자 한 명 제거를 위해 시민의 방송을 폐국시킨 반민주적 처사”라고 규탄했다.

90여 개 언론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언론장악저지공동행동은 13일 성명을 내어 “(오 시장은) ‘김어준 돌아올까 두려워 TBS 없앴다’고 시인한 셈”이라면서 “그야말로 충격이다. 공영방송의 존폐가 특정 인물을 표적 삼은 정치권력의 의중에 따라 결정되었음을 지방정부 최고 책임자의 입을 통해 확인된 중대한 사건”이라고 비판했다.

지난해 4월 22일 서울 종로구 서울시의회 앞에서 TBS 양대노조 구성원들이 '폐국 반대 문화제'를 열고 기자회견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전국언론노동조합 TBS지부)

지난 11일 서울시의회 시정질의에서 더불어민주당 소속 박유진 시의원은 TBS 폐국 위기와 관련해 “편향이라고 하는 것은 방송의 영역 안에서 얼마든지 치고받을 수 있다”면서 “그런데 오 시장과 오 시장으로 대표되는 제11대 서울시의회의 결정은 편향 프로그램은 정리하고 남은 방송국 임직원들은 '알 게 뭐냐, 다 깨' 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자 오 시장은 “당시 지원 폐지 조례까지 안 갈 수도 있었다고 저는 판단한다”면서 “그런데 그 편향된 진행자가 나가면서 '나 다시 돌아올 거야' 이게 불을 질렀던 것 아닌가”라고 말했다. 오 시장은 “왜 현실을 무시하고 언급을 안 하나”라며 “그렇게 시의회에서 분위기 확 바뀌어서 지금(TBS 조례가 폐지됐다)”고 말했다. 

박 시의원은 “김어준 씨가 연쇄살인마인가”라며 “오 시장 말은 진행자가 '다시 돌아올 거야'라고 해서, 그게 불을 질러서 방송국 문 닫겠다는 거 아닌가”라며 “역사에 길이 남을 헤드라인 뽑아내고 있다”고 지적했다.  

공동행동은 “서울시민의 세금으로 운영된 수도권 유일 지역공영방송 TBS는 2019년 서울시 출연기관 독립법인인 미디어재단으로 전환되면서 방송의 공공성, 독립적 지배구조 등을 보장받은 시민의 소중한 공적 자산”이라면서 “도대체 어떤 지방정부와 어떤 시의회가 진행자 한 사람의 복귀를 막기 위해 30년 넘는 역사를 가진 방송사를 통째로 날린단 말인가”라고 따져 물었다. 

공동행동은 “무자비한 언론탄압을 일삼은 군사독재정권에서도 이런 일은 없었다”며 “오 시장의 발언이 사실이라면 자신들의 마음에 들지 않는 진행자 한 명을 제거하기 위해 시민의 방송을 폐국시킨 반민주적 처사”라고 말했다. 

오세훈 서울시장 (사진=연합뉴스)

공동행동은 “오 시장과 서울시의회 국민의힘 의원들에 자행된 TBS 폐국 탄압은 방송통신위원회 재허가 당시 서울시가 약속한 사업계획의 중대한 변경에 해당한다. 시의회 지원조례 폐지 역시 TBS 재정안정성 확보를 공언해 출연기관의 법인변경 허가와 방송재허가를 받아내고도 이행의무를 위반한 행위”라고 강조했다. 

공동행동은 오 시장을 향해 “책임 회피 그만하고, 정치적 의도로 공영방송 TBS를 해제한 것을 사죄하고 즉각 정상화에 나서라”며 “그렇지 않으면 TBS 출자 출연기관 지정해제를 비롯해 출연금 지원 중단, 민영화 추진 등 폐국강행 과정에서 벌어진 여러 위법행위에 대한 책임을 면치 못할 것이다. 행정안전부, 방통위 등의 책임 방기도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공동행동은 국민의힘 소속 서울시의원들이 ‘지방선거 승리’를 근거로 TBS 지원조례 폐지를 추진했다면서 “그럼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으로 치러진 이번 조기대선 결과는 무엇이라 설명할 것인가. 공영방송의 주인은 정치권력이 아닌 시민”이라고 강조했다. 공동행동은 “서울시민들과 함께 오세훈 서울시장의 저열한 ‘자백’에 대해 진상규명과 그에 따른 법적 책임을 반드시 묻고, 시민의 방송을 끝까지 지켜낼 것”이라고 덧붙였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