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 위기' TBS 지탱하던 '무급휴업' 중단…"오세훈 책임져라"
지노위, 무급휴업 승인불가 입장…TBS 철회 제작비도 없는데 6월 1일부터 전 직원 업무복귀 서울시, TBS 출연기관 해제에도 영향력 여전 언론노조 TBS지부 "오세훈, 회사 대표부터 임명하라"
[미디어스=송창한 기자] 고사 위기에 놓인 TBS를 지탱하던 무급휴업이 중단된다. 예산 문제가 해결되지 않은 상황에서 제작 인력이 출근하게 되면서 TBS 경영 위기는 가속화 될 전망이다.
오세훈 서울시장 책임론이 불거지고 있다. TBS는 서울시 출연기관에서 해제됐지만 TBS 정관상 대표 임명권은 서울시장에게 있다. 또 서울시 관계자들이 TBS 이사회에 당연직으로 참여하고 있다. 전국언론노동조합 TBS지부는 오 시장에게 대표부터 임명하라고 촉구했다.
29일 언론노조 TBS지부는 성명을 내어 "6월 1일부터 전 직원이 다시 출근한다. 무급휴업 6개월 만"이라며 "이는 사측이 신청한 6~8월 무급휴업안에 대해 서울지방노동위원회가 사실상 승인 불가 입장을 밝힘에 따라 사측이 신청을 자진 철회하고 출근 체제로 전환한 결과"라고 밝혔다.
언론노조 TBS지부는 "지금 방송을 제작할 수 있는 예산이 없다. 제작 불능 상태에서 제작 인력만 사무실로 복귀하게 된 것"이라며 "그동안 일부는 돌아가며 프로그램을 유지했고, 나머지 인력은 각자의 생계를 이어가며 어떻게든 방송국을 떠받쳐 왔다. 이 고통 분담의 구조만이 TBS가 지금까지 방송 기능을 유지할 수 있었던 최소한의 기반이었는데 이제 이마저도 불가능해졌다"고 했다.
언론노조 TBS지부는 오 시장에게 "정말 아무 책임이 없는가"라고 따져 물었다. 언론노조 TBS지부는 "2022년 11월 서울시의회가 ‘TBS 지원 조례’를 폐지한 뒤 서울시는 대체 재정 마련 없이 운영 책임에서 발을 뺐다. 출연기관 해제를 이유로 법적·행정적 책임을 부인해왔다"며 "오 시장은 9개월째 대표를 임명하지 않고 있다. 권한은 움켜쥔 채 아무것도 하지 않는 방관이야말로 비겁하고 저열한 책임 회피이며 명백한 직무유기"라고 말했다.
언론노조 TBS지부는 "서울시는 여전히 인사와 구조조정에 실질적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그렇다면 더 이상 피하지 말고, 마땅히 책임을 져라"라며 "TBS 대표 임명부터 즉시 이행하라. 그것이 서울시장으로서, 공공기관장으로서 최소한 책무"라고 했다.
언론노조 TBS지부는 "출연기관 해제 여부와 무관하게 대표 임명권은 여전히 서울시장에게 있다. 정치적 고려 없이 책임있는 인사를 선임하고 TBS 운영 정상화에 착수하라"며 "이 요구마저 끝내 외면한다면, 우리는 더는 경고에 머무르지 않을 것이다. 감사원 감사 청구, 국정감사 대응, 시민 청원, 법적 조치, 현장 투쟁과 언론 캠페인까지 우리는 모든 수단을 동원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했다.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치러진 2022년 지방선거에서 국민의힘이 서울시장·서울시의회 권력을 차지하면서 TBS 공적재원에 대한 탄압이 시작됐다. 이후 TBS 재원의 70%를 차지하던 서울시 출연금은 삭감·폐지됐고, TBS의 서울시 출연기관 지위는 해제됐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