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건희 "밀으라고 했어요" 육성 공개…"김영선 좀 해줘라" 40분 뒤 통화

'공천개입 의혹' '김건희·명태균 첫 통화 녹음 공개 김건희 "권성동하고, 윤한홍이가 반대하잖아요 보니까" 명태균 "당선인 뜻이라고, 윤상현이를 압박한 거 같다" 김건희 "걱정 마세요. 잘될 거예요"…명태균 "잊지 않겠습니다" '검사 8명 연서명' 창원지검 수사 보고서에 김건희 수사 필요'

2025-02-25     고성욱 기자

[미디어스=고성욱 기자] 김건희 씨가 2022년 6·1 보궐선거를 앞두고 명태균 씨에게 김영선 전 국민의힘 의원 공천을 약속하는 통화 녹음이 공개됐다. 김 씨는 명 씨에게 “당선인(윤석열 대통령)이 지금 전화를 했다. (김영선 공천)밀으라고 했어요”라고 말했다. 

또 ‘윤석열·김건희 부부 공천개입 의혹’을 수사했던 창원지검 수사팀은 지난해 11월 작성한 수사보고서에서 “김건희 여사가 여론조사를 단순히 참고 삼아 제공받은 것을 넘어 윤석열 후보에게 유리한 여론조사를 명씨에게 요청한 것이 아닌지 의심할 만한 정황이 있다”고 적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시사인은 지난해 2022년 6.1 보궐선거 국민의힘 공천 발표 전날인 5월 9일 오전 10시 49분 김 씨가 명 씨에게 전화한 김 전 의원 공천 통화 녹음을 [단독] 보도했다. 해당 통화는 앞서 공개된 이른바 윤 대통령의 ‘김영선 좀 해줘라’ 통화 이후 40분 뒤에 이뤄졌다.

시사인 유튜브 채널 갈무리 

김 씨가 명 씨에게 “아니 저 뭐지 당선자(윤석열)가요. 당선인이, 지금 전화를 했는데. 하여튼 당선인 이름 팔지 말고, 그냥 밀으라고(밀라고) 했어요”라고 말하자 명 씨는 “고맙습니다. 당연하죠”라고 답한다. 인근에서 윤 대통령으로 추정되는 목소리가 들린다. 

김 씨가 “권성동하고, 윤한홍이가 반대하잖아요. 보니까”라고 말하자 명 씨는 “예, 당선인의 뜻이라고, 그렇게 해야 된다고 윤상현이를 압박했던 것 같더라고요”라고 말했다. 그러자 김 씨는 명 씨에게 “하여튼 너무 걱정마세요. 잘될 거예요”라고 안심시킨다.

명 씨가 “건강이, 목소리가 안 좋으신데요”라고 말하자, 김 씨는 “이상하게 몸이 안좋아가지고”라고 했다. 그러면서 김 씨는 “괜찮아요, 어쨌든 일단 그게 잘될 거니까 지켜보시죠,. 뭐”라고 말했다. 그러자 명 씨는 “네 잊지 않겠습니다. 제가 내일 같이 뵙겠습니다”라고 말했고, 김 씨는 “네, 선생님”이라고 화답했다. 해당 통화 이튿날 윤 대통령 취임식이 열렸다. 

더불어민주당은 지난해 10월 31일 윤 대통령의 이른바 ‘김영선이 좀 해 줘라’ 통화 녹취록을 공개한 바 있다. 해당 통화에서 윤 대통령은 명 씨에게 “공관위에서 나한테 들고 왔길래 내가 김영선이 경선 때부터 열심히 뛰었으니까 그거는 김영선이를 좀 해줘라 그랬는데 말이 많네 당에서”라고 말했다. 이에 명 씨는 “진짜 평생 은혜 잊지 않겠습니다. 고맙습니다”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의 통화가 이뤄진 뒤 김 씨가 명 씨에게 직접 전화를 걸어 안심을 시킨 것이다.

10월 31일 MBC '뉴스데스크' 보도화면 갈무리

이런 가운데 ‘윤석열·김건희 공천개입’ 의혹을 수사했던 창원지검 수사팀이 지난해 11월 수사보고서를 작성하면서 ‘김건희 씨 수사 필요성’을 담고, 이례적으로 수사 검사 8명이 연서명을 한 것으로 확인됐다. 

25일 한겨레 [단독] 보도 <명태균 수사 검사 8명 ‘김건희 수사 필요’ 보고서에 서명>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13일 창원지검 수사팀이 작성한 ‘여론조사업체 PNR 압수수색 필요성’ 수사보고서에 평검사 8명의 이름과 직인이 담겼다. 한겨레는 “수사보고서에 여러 명의 검사가 연서명하는 건 매우 이례적”이라면서 “윤 대통령이 공천 개입 의혹을 부인한 상황에서 수사 결의를 다지거나 책임 분산을 위해 연서명을 한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고 보도했다. 

수사팀은 수사보고서에서 명 씨가 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 김건희 여사 등과 김영선 전 의원 공천 과정에 개입했는지 온전하게 규명하기 위해서는 피엔알 압수수색이 필요하다고 강조하면서 “김건희 여사가 여론조사를 단순히 참고삼아 제공받은 것을 넘어 윤석열 후보에게 유리한 여론조사를 명 씨에게 요청한 것이 아닌지 의심할 만한 정황이 있다”고 적시했다고 한다. 수사팀은 지난해 11월 13일 해당 보고서를 작성한 뒤 법원에서 영장을 발부받아 PNR 사무실을 압수수색 했다. 

수사에 참여한 다수 검사가 연서명한 이유에 대해 창원지검 수사팀은 “연명으로 기소하기도 하기 때문에 별달리 대단한 일은 아닌 듯하다”고 한겨레에 밝혔다. 

윤석열 대통령과 배우자 김건희 씨가 공군 1호기에 올라 인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하지만 한겨레는 “현직 검사들은 수사보고서에 검사들이 연서명을 한 사례를 본 적이 없다며 갖가지 해석을 내놨다”면서 “압수수색 영장 필요성 보고서에 연서명을 한 경우는 본 적이 없다. 과거 박근혜·이명박 전 대통령 공소장에 연서명을 한 사례가 있는데, 그때와 마찬가지로 ‘수사팀이 일치된 의견으로 책임지겠다’는 의지를 보여준 게 아닌가 싶다”는 한 현직 부장 검사 발언을 실었다. 또 다른 부장검사는 한겨레에 “사후에 공동으로 책임을 져야 할 상황에 대비해 서로 공동 합의했다는 뜻을 문서화한 게 아닌가”라고 말했다.

한겨레는 “이 수사보고서는 지난해 윤 대통령이 기자회견을 연 11월 7일로부터 6일 뒤에 작성됐다”면서 “윤 대통령이 사실상 수사 가이드라인을 제시한 상황에서 김 여사를 겨냥한 수사보고서가 윤 대통령에게 보고되는 상황을 우려한 것이 아니냐는 해석도 나온다”고 전했다.

한편 ‘윤 대통령 부부 공천개입 의혹’ 사건 수사를 이송받은 서울중앙지검 전담수사팀은 오는 27일 경남 창원에서 명 씨를 조사할 예정이다. 지난 17일 창원지검은 관련 사건을 중앙지검에 이송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