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 불신, 극우 여론 형성 한 몫"

정연우 세명대 명예교수 "언론 공유지 회복 함께 모색해야"

2025-02-24     고성욱 기자

[미디어스=고성욱 기자] ‘극우 음모론’을 퍼뜨리는 언론사에 대한 제재가 무색한 상황에서 ‘통합형 언론자율규제 기구’ 등을 포함한 언론계 논의가 재개돼야 한다는 제안이 나왔다. 

정연우 세명대 광고홍보학과 명예교수는 24일 경향신문 칼럼 <신뢰라는 언론 공유지를 어떻게 회복할까>에서 언론 전반의 신뢰도가 하락해 ‘극우 음모론’이 확산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16일자 스카이데일리 보도 갈무리

한국신문윤리위원회는 ‘선거연수원 중국 간첩 99명 주일기지 압송’ 등 스카이데일리 기사 6건에 대해 ‘자사 게재 경고’ 제재를 경고했다. 신문윤리위는 제재 이유로 “어느 때보다도 철저한 검증을 통해 사실관계를 확인하고 객관적 근거를 제시해야 함에도 핵심 주장에 대한 객관적 근거는 찾아볼 수 없었다”고 설명했다. 앞서 인터넷신문윤리위원회는 스카이데일리에 대해 가장 높은 수위의 제제인 ‘경고’를 내렸다. 

정 명예교수는 “이에 더해 인터넷신문윤리위는 올 1월엔 일간신문 기사 23건, 온라인 기사 광고 등에 116건의 제재를 내렸고, 언론중재위원회도 올 1월 101건에 시정 권고를 했다”면서 “언론환경의 변화로 야기된 재정적 어려움보다 더 근본적인 위기는 바로 신뢰의 위기”고 지적했다.

정 명예교수는 “계엄 선포 이후 극심한 사회적 혼란 속에 언론에 대한 불신과 반감이 조롱의 단계를 넘어 폭력화되기 이르렀다”면서 “극단적 정치인들은 기존 언론이 가짜뉴스를 만든다며 불신을 더 부추긴다. 그들 주장이 시민들에게 받아들여질 수 있는 바탕에는 언론을 믿기 어렵다는 인식이 이미 자리 잡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고 말했다.

정 명예교수는 “언론의 신뢰 회복은 개별 언론사의 노력만으로 충분해 보이지 않는다”면서 “사람들은 언론매체 전체에 대해 얼마나 믿을 수 있는지를 판단하기도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언론에 대한 신뢰는 언론사나 언론인 모두에게 일종의 공유지인 셈”이라고 강조했다. 정 명예교수는 “누군가가 사익을 취하려고 공유지를 훼손하면 해당 언론에만 피해가 그치는 것이 아니라 생태계 전체가 지속되기 어려워지고 공유지에 관여된 모두에게 큰 피해가 발생한다”고 부연했다.

2021년 9월 23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언론 자율규제 강화를 위한 언론단체 (방송기자연합회, 전국언론노동조합, 한국기자협회,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 한국신문협회, 한국여기자협회, 한국인터넷신문협회) 공동 기자회견이 열리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정 명예교수는 일부 언론사들이 허위 조작 정보, 선정적 보도를 통해 수익을 창출하고, 사회적 영향력 강화의 디딤돌로 사용하고 있다면서 "하지만 그것들이 쌓여 언론에 대한 신뢰를 시나브로 갉아먹는다. 신뢰라는 언론 공유지는 날로 황폐해가고 언론이 구성하는 공론장은 허약해질 것”이라고 했다. 

정 명예교수는 “대다수 언론인이나 언론사가 아무리 저널리즘 정신에 따라 취재와 보도를 해도 그것만으로는 언론 전체에 덧씌워진 불신을 벗어나는 데는 한계가 있고, 온갖 음모론을 발아시키는 자양분이 된다”면서 “언론에 진실이 없다고 여기니 대안적 사실에 눈을 돌린다는 것이다. 음모론에 빠진 사람들은 뉴스에 기반한 공론장을 부정하므로 합리적 토론과 논쟁이 들어설 여지가 좁아진다”고 말했다.

정 명예교수는 “언론의 신뢰 자산은 언론계의 공유지일 뿐 아니라 우리 사회의 공유지”라면서 “스스로 정화하고 가꾸려는 노력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이를 법제화하려는 사회적 요구를 잠재우기 어렵다”고 말했다. 

정 명예교수는 문재인 정부 시절 ‘언론중재법’ 논의가 언론현업단체의 비판으로 무산된 것을 거론하며 “당시 언론현업단체들은 '통합형 언론자율규제기구’를 설립해 신뢰를 회복하고 사회적 책임을 강화하겠다고 발표했지만 설립 추진은 사실상 중단된 상태"라고 지적했다.

정 명예교수는 "언론계의 제안이 법 개정을 막기 위한 일시적 방편이 아니었다면 이제라도 신뢰라는 언론의 공유지를 어떻게 회복할 것인지 함께 모색해야 하지 않을까”라고 말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