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AI 여론조작' 스카이데일리 '미군 정보통', 알고보니 '캡틴코리아'
스카이데일리 기자 "캡틴 코리아, 여러 소스 중 한 명" 캡틴코리아, 중국대사관 난입 시도하다 체포되기도
[미디어스=고성욱 기자] ‘주한미군 선거연수원에서 중국간첩 99명 체포’ ‘중국간첩 AI 여론조작’ 등 허위사실 유포 혐의로 고발된 스카이데일리 기자의 취재원 중 한 명이 ‘캡틴코리아’로 활동하는 유튜버라는 언론 보도가 나왔다. ‘캡틴코리아’는 중국 대사관 난입을 시도하다 경찰에 체포된 바 있다.
중앙일보 18일 [단독] 보도 <'中간첩 AI 여론조작' 보도…취재원은 '대사관 난입' 캡틴코리아?>에 따르면 서울경찰청 사이버수사대는 지난달 23일 스카이데일리 기자 A 씨를 출국 금지한 데 이어 지난 4일 피의자 신분으로 조사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지난달 20일 ‘주한미군 중국 간첩 99명 체포’ ‘중국간첩 국내 AI여론조작’ 등을 보도한 스카이데일리와 소속 기자를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명예훼손 등 혐의로 고발했다.
스카이데일리 기자 A 씨 지난달 16일 <[단독] ‘선거연수원 체포 중국인 99명 주일미군기지 압송됐다> 기사에서 ’정통한 미국 소식통‘을 출처로 “비상계엄 당일 우리 계엄군은 미군과 공동작전으로 선거연수원을 급습해 중국 국적자 99명의 신병을 확보했으며 검거된 이들을 미군 측에 인계했다”며 “체포된 중국인 간첩들(Chinese spies)은 모두 99명이며 평택항을 거쳐 일본 오키나와 미군기지로 이송됐다”고 보도했다.
또 A씨 같은 달 18일 <[단독] 선거연수원 체포 中간첩단 국내 여론조작 관여>에서 ’미군 정보 소식통‘을 출처로 “선거연수원에서 붙잡혀 미국으로 압송된 IT(정보기술) 전문 중국인들이 ‘프로젝트 목인(木人)’으로 알려진 인공지능(AI)을 접목한 매크로를 개발해 온 사실이 드러났다”고 전했다. 이어 “‘목인’은 AI를 훈련시켜 사람처럼 댓글을 다는 고도화된 매크로의 일종이다. 중국 공산당(중공·CCP)이 막대한 연구개발(R&D) 비용을 투자해 개발해 왔다고 한다”고 덧붙였다.
주한미군은 20일 입장문을 내고 “한국 매체(스카이데일리) 기사에 언급된 미군에 대한 기술과 주장은 완전히 거짓”이라면서 “국민의 신뢰를 해칠 수 있는 잘못된 정보의 확산을 막기 위해 책임 있는 보도와 사실 확인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주한미군의 반박에도 A 씨는 <美 압송 中 간첩, 한국 실업급여 받았다> <“트럼프 1기 블랙요원 3명 ‘中 간첩단’ 검거 관여”> <“中 간첩단 미국 압송은 팩트… 美국무부도 확인”> <트럼프 中방문 타진...‘中 간첩단’ 단판짓나> <옥중 노상원 前국군정보사령관 “中 간첩단 보도는 틀림 없는 사실”> 등의 부정선거 음모론 보도를 이어왔다.
중앙일보는 “미군 정보 소식통이 출처란 주장과 달리 ‘캡틴코리아’ B씨가 취재원이란 사실도 드러났다. B씨가 지난 16일 SNS에 A씨와의 통화 녹음 파일을 공개하면서”라고 전했다.
B 씨는 A 씨에게 “목인으로 알려진 프로젝트로 매크로를 만들었다 쓰시면 된다”며 “목인이라는 게 매크로 프로젝트가 아니라, AI라는 게 가짜 사람이지 않냐. 그런 식(AI 이름=목인)으로 가는 게 매끄럽지 않나요?”라고 말했다고 한다. 통화 날짜는 밝히지 않았다고 한다. 지난 16일 통화에서는 B 씨가 스카이데일리 보도 내용을 따지자, A 씨는 “하도 우리 댓글 사정이 그러니 어쩔 수 없다”고 답했다. 이어 B 씨는 A 씨에게 “스카이데일리가 나한테 갑질한다. 내가 써달라고 하는 대로 써야지”라고 말했다고 한다.
B 씨는 지난 14일 중국대사관 난입을 시도해 현장에서 경찰에 체포됐다. 이후 훈방 조치된 B 씨는 건조물 침입 미수 혐의로 불구속 상태에서 경찰의 수사를 받고 있다.
앞서 B 씨는 국가인권위원회에 침입해 ‘캡틴 아메리카’ 방패를 들고 엘리베이터 앞을 막아서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B 씨는 지난 5일 광주 금남로에서 극우 기독교단체 ‘세이브코리아’ 주도로 열린 ‘윤석열 탄핵 반대’ 집회에 참석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각종 집회 현장에서 “주한미군 장교” “유엔 직원” 등 신분을 사칭했다는 의혹도 받고 있다고 한다.
A 씨는 중앙일보에 “B씨는 여러 소스 중 한 명으로, 소통한 사실이 있다”면서도 “전현직 국내외 정보기관 취재원과 백악관을 포함한 미국 현지 취재원들이 참여해 첩보를 선별·확인하는 과정을 거쳤다”고 말했다. B씨는 제보한 근거 등에 관한 답변을 거부했다고 중앙일보는 전했다.
중앙일보는 같은 날 사설 <안 그래도 갈라지는 나라, 가짜뉴스 망령까지 동원하나>에서 “가뜩이나 어수선한 탄핵 정국에 허위 조작 정보가 혼란을 부추기고 있다. ‘가짜뉴스’라는 이름의 망령이 특유의 생존력으로 우리 사회의 신뢰를 갉아먹고 있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중앙일보는 스카이데일리의 ‘주한 미군 중국인 간첩 99명 체포’ 보도를 거론하며 “허위 정보와 관련된 선관위, 주한미군, 경찰이 모두 부인하는데도 ‘정보 소식통’을 인용한 보도가 지지 세력 일각에선 여전히 사실로 받아들여진다. 탄핵심판 변론에서도 인용돼 국제뉴스가 되기도 했다”고 지적했다.
중앙일보는 “가짜뉴스는 쉽게 만들어지지만 쉽사리 사라지지 않는다”며 “가짜뉴스로 돈을 벌 수 있는 SNS의 시대엔 그 중독성이 더욱 치명적이다. 정치권과 정부 당국이 보다 엄정하게 가짜뉴스에 대응해야 하는 이유”라고 강조했다. 중앙일보는 “이해 관계자들도 무비판적인 수용 자세는 역사에 죄를 짓는 일이 될 수 있다는 걸 명심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신문윤리위원회는 지난 12일 ‘중국 간첩단 체포’를 주장한 스카이데일리 기사 6건의 기사에 대해 ‘자사게재 경고’를 내렸다. ‘자사게재 경고’는 제재받은 매체가 윤리위의 제재 내용을 일정 기간 자사 홈페이지에 게재하는 것을 말한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