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시크 출현과 정보 유출의 문제
[김홍열의 디지털 콘서트]
[미디어스=김홍열 칼럼] 딥시크와 관련해 두 개의 흥미로운 뉴스가 나왔다. 하나는 OpenAI o1와 비교하여 최대 95%까지 저렴한 가격으로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이용자 정보 유출 우려가 확산하면서 딥시크 접속을 차단하는 기관이 늘고 있다는 뉴스다. 언론 보도에 의하면 지난 5일 외교부·국방부·산업통상자원부·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선거관리위원회·원자력안전위원회에 이어 6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보건복지부·중소벤처기업부·환경부·여성가족부·금융위원회 등 대부분 중앙 부처가 정부망에서 딥시크 접속을 금지한 것으로 확인됐다. 사실상 모든 부처가 금지한 것이다.
이런 접속 금지는 비단 국가 주요 부처뿐만이 아니다. 교육부는 지난 6일 초·중·고교를 담당하는 전국의 시도교육청과 대학 등에 ‘AI 관련 보안 가이드라인’을 발송해 생성형 AI 사용을 자제해달라고 요청했다. 교육부 본부는 딥시크 접속을 차단하고 유치원과 초·중·고교 등에는 사용 자제를 요청한 것이다. 접속 금지 조처는 일반 기업에서도 일어나고 있다. 카카오는 전 직원들에게 “사내 업무 목적의 딥시크 서비스 사용을 지양한다”라는 내용의 공지를 했고, 엘지 유플러스도 이날 딥시크를 업무용으로 활용하는 것을 금지했다. 유한양행은 딥시크와 챗GPT 등 생성형 AI 사용을 금지했으며 대웅제약은 지난 6일부터 딥시크 접속 차단을 발표했다.
개인들의 딥시크 이용도 눈에 띄게 줄어들고 있다. 애플리케이션 분석 서비스 모바일인덱스에 의하면 딥시크 일간 사용자 수(Daily Active Users, DAU)가 설 연휴였던 지난달 28일 19만 1,556명에서 이달 6일 6만 1,184명으로 7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딥시크에 대한 우려는 해외에서도 일어나고 있다. 미국·이탈리아·호주·대만·일본 등에서는 이미 딥시크 접속을 차단하고 있고, 다른 여러 나라들 역시 조만간 유사한 조처가 뒤따를 것으로 보인다. 사실상 모든 국가에서 딥시크 출현에 대한 심각한 공포를 느끼고 적절한 조처를 준비하거나 실행 중이라고 볼 수 있다.
딥시크에 대해 경계하는 이유는 무차별적 정보 수집에 있다. 딥시크는 이름·생년월일·이메일· 전화번호 등과 같은 기본정보 외에 비밀번호 등 보안 관련 정보와 서비스 이용 시 입력하는 모든 데이터를 보관한다. 여기에 IP주소·기기모델·OS 등 자동수집 정보가 더해지고 광고주와 파트너사로부터 사용자의 구매 정보 데이터도 제공받는다. 물론 챗GPT 역시 사용자의 정보를 수집한다. 그러나 딥시크의 경우 필요 이상의 정보 수집, 챗GPT 등과 달리 이용자가 자신의 개인정보 수집·활용을 거부할 수 있는 옵션인 ‘옵트아웃(opt-out)’이 없다는 것, 이용자의 동의 없이 광고 목적으로 데이터를 활용한다는 점 등이 다르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우려는 서버가 중국에 있어, 중국 공산당의 통제에 따라 언제든 수집된 정보가 특정 목적에 이용될 수 있다는 사실이다. 자유주의 국가와 달리 의회와 같은 최소한의 견제기관이 없는 중국의 정치체제에서는 가능한 일이다. 딥시크에 대한 이런 우려는 이미 틱톡 사태에서 확인된 바 있다. 지난해 4월 미국 하원은 틱톡의 강제 매각 법안 수정안을 찬성 360표, 반대 58표로 의결했고 상원에서도 통과됐다. 중국 기업이 운영하는 틱톡이 개인 가입자들에게 많은 정보를 요구하고 있어, 이 정보를 중국에서 이용한다면 정보 주권에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것이라는 문제의식이 미국 여야 정치가들에게 있었다.
그러나 미국에서 일어난 틱톡 사태와 달리 한국에서는 틱톡에 대한 적극적 반대 행위가 눈에 띄지 않는다. 개인정보 보호 법령을 위반하여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과징금과 과태료를 부과 받은 정도에서 그치고 있다. 여기에는 정보 유출에 대한 개인들의 무관심이 한몫하고 있고 적극적으로 대처하지 못하는 정보 관련 정부 부처의 미흡함도 한몫하고 있다. 정보를 주권 차원에서 인지하지 않고 개인이나 기업의 관리 부실 정도로 취급하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 딥시크의 정보 유출이 글로벌 이슈가 되어 사회적으로 큰 논란이 되면서 정부 부처를 비롯해 민간 영역까지 정보 유출의 문제점에 대해 새삼 각성하게 된 것이다.
차제에 책임 있는 국가 기관에서 분명하게 가이드라인을 만들어 배포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개인들에게만 맡겨 놓기에는 너무 위험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런 네거티브 방식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궁극적으로는 포지티브 정책이 필요하다. 정보 유출에 대한 걱정 없이 이용할 수 있는 AI 서비스가 빨리 그리고 다양하게 나오는 것이 필요하다. 정부는 과감하게 스타트업을 지원해 딥시크와 같은 AI 서비스가 나올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글로벌 수준의 AI가 나와야 해외로의 정보 유출을 막을 수 있다. 적절한 대안이 없다면 깊은 우려에도 불구하고 딥시크를 쓰는 사용자는 계속 늘 수밖에 없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