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장원, '윤석열 체포 지시' 빗대 "그런 일 매일 하는 곳이 평양"
"대통령 좋아했고 시키는 거 다 하고 싶었다…근데 명단 보니 안되겠더라" "조태용에게 '방첩사, 이재명·한동훈 잡는다' 보고하니 '내일 얘기하자''" 한기호 "말 같지 않은 얘기"…홍장원 "말 같지 않은 얘기가 대통령 지시사항"
[미디어스=고성욱 기자] ‘12.3 내란’ 당시 판사, 정치인 체포 지시를 거부한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이 “그런 게 매일 일어나는 나라가 하나 있다, 어디? 평양. 그런 일을 매일매일 하는 기관은 어디? 북한 보위부”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 홍 전 차장은 당시 조태용 국정원장에게 정치인 체포 지시가 내려졌다고 보고했으나 ‘내일 아침 얘기하자’는 답변을 받았다고 전했다. 국민의힘 한기호 의원이 “정치인들 잡으러 다닌다는 게 말 같지도 않으니 ‘내일 얘기하자’는 게 정상 아니냐”고 지적하자 홍 전 차장은 “그 말 같지도 않은 얘기가 대통령 지시사항”이라고 받아쳤다.
홍 전 차장은 22일 국회 ’내란국정조사특별위원회‘에 출석해 12·3 내란 당시 상황에 대해 증언했다. 홍 전 차장은 지난해 12월 3일 밤 10시 53분께 윤 대통령으로부터 “이번에 다 잡아들여서 싹 다 정리하라” “국정원에 대공수사권을 줄 테니 방첩사를 적극 지원하라”는 지시를 받았다고 전했다.
홍 전 차장은 “국내에 장기 암약하던 간첩단 사건을 적발했나, 그래서 긴급하게 (체포가)진행되어야 한다고 생각했다”면서 이후 11시 6분께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에게 “무엇을 도와주면 되냐”고 묻자, 체포 대상자 명단을 불렀다고 했다.
홍 전 차장은 “’뭔가 잘못됐구나‘라고 생각했다”면서 조태용 국정원장에게 보고했다고 말했다. 홍 전 차장은 조 원장에게 “방첩사에서 지금 이재명하고 한동훈 잡으러 다닌답니다”라고 말하니 “내일 아침에 얘기하자”고 했다고 전했다. 홍 전 차장은 “그래도 최소한 업무 방향이나 지침은 줘야 하는 거 아니냐고 하니까, (조 원장이)일어나서 가버려 더 이상 보고할 수 없었다”고 했다.
홍 전 차장은 “저 대통령 좋아했다. 시키는 거 다하고 싶었다”면서 “그런데 (체포)명단을 보니 그거는 안 되겠더라”고 말했다. 홍 전 차장은 “집에 가서 편안하게 가족들하고 저녁식사하고 TV 보는데, 방첩사 수사관과 국정원 조사관이 뛰어들어가서 수갑 채워 벙커에 갖다 놓는다? 대한민국이 그러면 안 되는 거 아닌가”라고 반문했다. 홍 전 차장은 “그런 게 매일매일 일어나는 나라가 하나 있다. 어디? 평양, 그런 일을 매일매일 하는 기관이 어디? 북한 보위부”라고 강조했다.
한기호 국민의힘 의원이 “차장이 와서 국정원장한테 방첩사가 정치인들 잡으러 다닌다고 얘기하면 말 같지도 않으니까, ‘됐다 내일 아침에 얘기하자’ 이게 정상이지 뭐가 비정상이냐”라고 따져 묻자, 홍 전 차장은 “그 말 같지 않은 얘기가 대통령 지시사항이었다”고 응수했다.
같은 당 곽규택 의원은 조 원장에게 ‘홍 전 차장의 사퇴 사유’를 물었다. 조 원장은 “비상계엄 다음 날 홍 차장이 찾아 와 ’야당 대표하고 전화하면 어떻겠냐‘고 얘기했는데, 그 조언은 굉장히 부적절하고 정치 개입성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같이 가기 어렵겠다고 판단했다. 그래서 (윤 대통령에게 경질을)건의드렸다”고 했다. 조 원장은 “(홍 차장에게)정무직은 임기가 없는 자리라고, 이번에 정무직 교체가 있으니 사직서를 내라고 했고, 사직서를 받았다”고 말했다.
그러나 홍 전 차장은 “12월 5일 오후 4시경 원장이 집무실에서 안타깝다는 느낌이 묻어있는 목소리로 ’정무직이 다 그렇잖나, 나도 마찬가지다‘라고 하면서 사직서를 내달라고 했다”면서 “그때 이유를 묻지 않았지만 충분히 짐작했다. 왜냐하면 12월 3일 대통령이 지시를 내렸는데 비상계엄 현장에 국정원 직원들이 한 명도 출동하지 않았던 부분을 확인했을 테고, 지시가 정상적으로 집행되지 않은 부분에 대한 경질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에 (사직서를 내라고 한 것)”이라고 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