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단협 중인 YTN노조에 1년 전 김백 고소장 날아와
김백·공언련, '사장 내정설' 지부장·언론노조위원장 고소 YTN지부 "'해직사태 주범' 사실도 부인…임단협 파국 원하나" 윤창현 "기사 검색만 해도 사실관계 다 나와…적절한 대응할 것"
[미디어스=고성욱 기자] 김백 YTN 사장이 지난해 자신에 대한 ‘사장 내정설’ 규탄 기자회견을 개최한 윤창현 전국언론노동조합 위원장과 고한석 언론노조 YTN지부장을 허위사실 명예훼손, 모욕 혐의로 고소한 사실이 뒤늦게 드러났다.
언론노조 YTN지부는 14일 성명을 내어 “1년 가까이 지난 시점에서 고소사실이 확인된 것은 이례적”이라면서 “경찰은 고소인으로부터 추가 자료를 제출받느라 시간이 걸렸다고 설명하면서 고 지부장에게 조만간 출석해 조사받으라고 통보했다”고 전했다.
YTN지부에 따르면 김 사장은 지난해 2월 28일 윤 위원장과 고 지부장을 허위사실에 의한 명예훼손, 모욕 혐의로 고소했다. 공정언론국민연대가 고소인에 이름을 올린 것으로 전해졌다. 김 사장은 공언련 초대 이사장을 지냈다.
김 사장이 문제를 삼은 것은 언론노조와 YTN지부가 서울 여의도 사옥 앞에서 진행한 <유진그룹, YTN 이사진 내정 규탄 기자회견>이다. 경찰은 고 지부장에게 조만간 출석 조사에 응하라고 통보했다고 한다.
당시 YTN지부는 기자회견문에서 “2008년 YTN 기자 해직사태 주범인 김백 전 상무가 YTN 사장으로 사실상 내정됐다”며 “윤석열 정권에서는 느닷없이 공정언론을 구현하겠다며 기괴한 단체를 만들어 공영 방송들을 공격했다. ‘땡윤뉴스’의 적임자로 ‘용산’ 간택해 내리꽂지 않으면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비판했다.
또 YTN지부는 유진그룹이 사장추천위원회 검증을 거치지 않고 김백 전 상무를 사장으로 내정했다며 이는 방송의 공정성을 지키고 YTN 기존 제도를 따르겠다던 방송통신위원회의 조건부 승인 약속을 어긴 것이라고 지적했다.
기자회견에서 윤 위원장은 "YTN의 기존 노사 협약과 공정방송 제도를 지키겠다는 방통위의 매각 승인 조건이 잉크가 마르기도 전에 이를 위반하면서 ‘이명박근혜’ 시절 권력에 빌붙어 YTN을 쑥대밭으로 만들고 수많은 양심적 언론인 해고로 내몰았던 파렴치한을 사장으로 내정하겠다고 통보해왔다"면서 "이게 윤석열 정권과 결탁한 언론장악의 외주화, 언론탄압 아니면 무엇이냐"고 따져 물었다.
YTN지부는 성명에서 “김백 사장은 고소장에서 기자회견 내용 대부분을 허위사실이라고 주장했고, 심지어 ’YTN 해직 사태 주범‘이라는 사실도 부인했다”면서 “김백 사장은 2008년 경영기획실장으로 이명박의 언론특보 낙하산 사장을 반대하던 기자 6명을 해직한 인사위원회의 인사위원이었다”고 강조했다.
이어 “당시 구본홍 사장이 국회에 나와 ’해고는 과하다고 했지만, 인사위원들이 밀어붙였다‘고 증언했을 정도로, 공정방송을 외치던 후배들을 악랄하게 탄압한 것이 김백 사장”이라며 “류희림 ’청부민원 사건‘에 김백 사장이 초대 이사장이었던 공언련이 연루됐다는 의혹 등 자신에게 조금이라도 불리한 내용은 모두 허위사실 공표에 의한 명예훼손이라고 주장했다. 사장 취임 이후 고소를 취하했을 법도 하지만, 김백 사장은 그러지 않았다. 결국, 거짓으로 점철된 고소장은 신의성실을 바탕으로 하는 노사 교섭 도중 노조로 날아온 것”이라고 말했다.
YTN 노사는 현재 임금 및 단체협약 교섭을 진행 중이다. YTN 노조는 “노사 상견례 자리에서 김백 사장은 ’인내와 양보를 바탕으로 서로 노력하자‘고 말했다”면서 “취임도 전에 노동조합의 대표자를 고소한 김백 사장의 입에서 ‘인내와 양보’라는 말이 나온다는 것 자체가 모순”이라고 지적했다.
YTN지부는 “2차 교섭에서 사측은 노조 활동을 제약하는 쪽으로 단협을 바꾸겠다는 귀를 의심하게 하는 발언도 했다”면서 “노동자의 노동3권 행사를 방해하는 사용자의 모든 행위가 부당노동행위다. 노조의 언론 활동을 위축시키기 위한 김백 사장의 고소 역시 명백한 부당노동행위”라고 비판했다.
YTN지부는 “뒤늦게 날아 온 고소장은 사측에 인내와 양보할 생각이 애초부터 없었다는 명백한 증거”라면서 “사측은 임단협이 파국으로 치닫기 원하지 않는다면 당장 고소를 취하하고, 부당노동행위 소지가 있는 단협 개정안을 제시할 생각도 집어치우길 바란다. 사측은 최소한의 예의를 갖추고 입단협에 임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윤 위원장은 미디어스에 "다툼의 여지가 조금이라도 있거나 그런 사안이 아니다"라며 "기사 검색만 해봐도 사실관계가 다 드러나 있는 내용이다. 경찰이 형식적으로 수사를 마무리하려는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적절히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