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인연대 "유인촌, 영화인 기만말라"…영진위원 선임 철회 요구
"블랙리스트 2.0, 영진위 전문성·자율성 노골적으로 침해" "내란 공범 유인촌의 공공기관 임원 위촉은 그 자체로 부적절"
[미디어스=안현우 기자] 영화인연대가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임명한 영화진흥위원회(영진위) 비상임 위원 6인에 대해 철회를 요구했다. 영화인연대는 한국영화프로듀서조합, 한국영화촬영감독조합, 한국영화제작가협회, 한국영화배우조합 등 19개 단체가 참여하고 있다.
지난 6일 유 장관은 ▲강내영 부산영화영상정책위원회 위원장 ▲길종철 한양대 연극영화학과 교수 ▲김정기 신정회계법인 이사 ▲이정향 영화감독 ▲이현송 스마트스터디벤처스 대표 ▲조혜정 중앙대 예술대학원 교수 등 6인을 임기 3년의 비상임 위원으로 임명했다.
이에 대해 문체부는 “영화 관련 단체의 후보자 추천 등을 거쳐 영화예술, 영화산업 등에서의 전문성과 식견, 학계와 현장에서의 경험, 성과 나이 등 다양한 요소들을 균형 있게 고려해 신임 위원을 임명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영화인연대는 임명 철회를 요구하는 상황이다. 영화인연대는 8일 성명을 내어 “다양한 영화단체의 의견이 수렴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어 유감스럽다”면서 “영화인과 교류가 많지 않은 교수나 투자사 경력을 가진 인사에 치중되었고 남녀의 성비도 불균형하다”고 지적했다. 영화인연대 소속 19개 단체가 추천한 인사는 단 한 명도 포함되지 않았다고 한다. 또한 위원장 포함 9인 위원의 남녀 비율은 6대3을 나타냈다.
영화인연대는 “유인촌의 문체부는 더 이상 영화계와 영화인을 기만하지 말라”면서 “한국사회가 통째로 무너지고 있는 이때, 민주주의 파괴의 주범인 윤석열 정부와 공범인 유인촌 문체부가 단행한 공공기관 임원 위촉은 그 자체로 부적절하고 문제적”이라고 말했다.
영화인연대는 "유인촌 장관 재임 시기 영화계의 정책적 후퇴는 헤아릴 수 없다"며 "지금 영진위는 민간자율기구의 정체성을 되찾아 영화계와 협치하는 것이 가장 시급하고 근본적인 과제”라고 강조했다. 영화인연대는 과거 정부의 블랙리스트가 유인촌 블랙리스트 2.0으로 명백히 이어져 한국영화의 근간을 뿌리째 흔들고 있다고 말했다.
영화인연대에 따르면 영화발전기금의 주요 재원인 영화관람료 입장권 부과금이 2025년 정부 예산 의결 과정에서 폐지됐다. 입장권 부과금은 영진위 독립성의 상징적 재원으로 독립영화, 예술영화, 영화교육 등에 지원돼 왔다.
또 영화인연대는 "문재인 정부에서 임명된 영진위 위원에 대해서 무리한 감사를 단행하였고, 영진위가 영비법과 정관을 위반하며 위원의 내부 징계를 하도록 압박하는 등 문체부 산하 공공기관 장악을 위한 블랙리스트의 전형을 반복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영화인연대는 "블랙리스트 2.0 시기, 유인촌의 문체부는 또다시 영진위의 전문성과 자율성을 노골적으로 침해하며 법률이 정한 기관의 위상을 다시금 무너뜨렸다"며 "국정 혼란의 시기를 틈타 불투명하게 이루어진 유인촌 장관의 영진위 위원 선임을 인정할 수 없다"고 잘라 말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