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해양 하청노동자 파업 파괴, 명태균 비선개입 국정농단"
대우조선해양 하청노동자 진상조사 촉구 기자회견 "민간인 명태균에 정부가 즉각 움직여…참담" 명태균 "윤석열에게 강경 진압 보고" 통화 녹취
[미디어스=노하연 인턴기자] 대우조선해양 하청노동자들이 “2022년 7월 대우조선해양 파업 관련 윤석열 정부의 강경대응 결정은 공천개입 의혹의 핵심 당사자 명태균 씨에 의해 일어난 비선개입이자 국정농단 사건”이라며 철저한 진상조사를 요구했다.
금속노조 거제통영고성 조선하청지회는 30일 정혜경 진보당 의원 소개로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들은 기자회견문에서 “불법으로 가득한 윤석열과 명태균의 대우조선해양 하청노동자 파업 파괴의 진실이 비로소 드러나고 있다”며 “아무 권한 없는 비선 민간인 한 명의 왜곡된 보고에 법무장관과 국무총리와 대통령 한 나라의 정부가 즉각 움직였다는 것을 생각하면 참담한 심정”이라고 했다.
조선하청지회는 ▲명태균이 제출한 휴대전화 3대와 USB에 담긴 불법 파업 개입 관련 녹음 파일 및 증거 자료 ▲대우조선해양이 명태균을 통해 윤 대통령에게 전달한 보고서 원본을 공개하라고 촉구했다. 또 국회 국정조사·청문회와 대우조선해양의 손해배상 소송 취하를 요구했다. 대우조선해양은 파업 종료 후 하청 노동자들에게 470억 원의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했다.
정혜경 의원은 “녹취록을 보면 당시 이용호 대우조선해양 부사장은 명태균에게 보고서를 만들어주었고, 이 보고서를 토대로 명태균은 대통령과 김건희에게 강경대응을 주문했다”며 “이 보고를 근거로 당시 윤 대통령은 한 총리에게 산업현장의 불법적 상황은 종식돼야 한다고 지시했고, 한덕수 총리는 긴급 장관 회의를 소집하며 대우조선 파업 엄중 대응과 공권력 투입을 시사했다”고 말했다.
정 의원은 ▲대우조선해양 누구 지시로 민간인 명태균에게 보고서를 만들어 전달했는지 ▲고용노동부 관계자의 협조는 없었는지 ▲명태균이 관련 내용을 실제 누구에게 보고했는지 등이 밝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금속노조 이상섭 수석부위원장은 “임금 원상회복을 위해 하루라도 파업을 이어갔다면 하청 노동자는 정말 피를 볼 뻔했다. 데모하는 자는 때려잡아야 한다는 민간인 명태균의 건의에 따라 비선에 농락당하고, 끝내 내란 우두머리로 등극한 윤석열에 의해서”라고 말했다.
이 부위원장은 “노동자는 죄가 없다. 철퇴를 맞아야 할 자는 어떤 자격도 없으면서 정책결정에 관여한 민간인 명태균과 안위를 짓밟은 윤석열과 내란세력”이라며 “금속노조가 썩어빠진 정치 권력과 경제 권력을 윤석열과 함께 끌어내릴 것이다. 그래야 지옥같은 하청노동 현실을 바꾸고 노동자의 노동조합 할 권리를 되찾을 수 있다”고 했다.
민주당은 지난 26일 “강경진압을 보고했다”는 명태균 씨 통화 녹취를 공개했다. 명 씨가 2022년 7월 파업이 진행 중인 거제도 대우조선해양 옥포조선소로 가던 중 지인과 통화한 내용으로 민주당은 “당시 정부 대응과 정확히 일치한다”고 설명했다.
명 씨는 통화에서 “거기(대우조선해양) 문제가 심각한데 저번주에 대통령한테 내가 보고를 했다. 조선소고 뭐고 내용을 잘 몰라서 (대우조선해양)이영호 부사장인가? 보고서를 내가 만들어달라고 했지. 만들어주더라고”라며 “그래서 내가 보고하고 한덕수 총리가 긴급(회의를) 소집한 거 아니야”라고 말했다.
명 씨는 “(대통령에게)또다시 보고를 했다. 강경진압하라고”라며 “내가 (이 사안에 대해) 뭘 압니까. 나는 모르는 건 모른다고 하는데, 사모님하고 다 보고를 했다”고 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