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시민단체, '용산 KBS사장 개입 의혹' 대통령실 관계자 고발
성명불상 대통령실 고위공직자 직권남용 혐의 "면접심사 전 박장범 낙점…이사회 의결 형해화" 박장범, 10일 임기 시작…구성원은 일일 파업
[미디어스=고성욱 기자] 언론시민사회단체가 ‘용산 KBS사장 선임 개입’ 의혹과 관련해 대통령비서실 소속 성명불상 고위공직자를 직권남용 혐의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에 고발했다.
민주언론시민연합, 전국민중행동, 전국언론노동조합, 언론노조 KBS본부는 9일 보도자료를 내어 “대통령비서실 소속 고위공무원이 직권을 남용하여 KBS 이사들로 하여금 사장 임명제청에 관해 형식적 거수기로 만들어 의무 없는 일을 하게 하고, 이사들의 사장 임명 제청 심의·의결에 관한 권리행사를 방해한 것"이라며 "피고발인을 형법 제123조 직권남용죄로 고발한다”고 밝혔다.
이들 단체는 “KBS 사장 후보자 선발 과정은 오로지 이사회의 몫”이라며 “그러나 박민, 박민, 박장범, 김성진 최종 3인의 후보가 면접을 보기 전날인 2024년 10월 22일, 성명불상의 대통령비서실 소속 고위공무원이 박민 사장에게 ‘사장 교체’ 결정을 통보한 것으로 알려졌다”고 전했다.
박장범 KBS 사장 인사청문회에서 박민 사장이 KBS 이사회의 사장 후보자 임명제청 전날(10월 22일) 대통령실로부터 ‘교체 통보’를 받았다는 증언들이 연이어 나왔다. 국회 참고인으로 출석한 KBS 안양봉 기자와 정재준 기자는 이영일 KBS 노사협력주간으로부터 직접 이 같은 이야기를 들었다고 증언했다. 증인으로 출석한 이영일 주간은 전면 부인했다.
이들 단체는 “면접심사가 시작되기도 전에 대통령실이 ‘박민 탈락, 박장범 사장 임명 제청’이라는 결과를 미리 정해놓고 특정 후보자에게 이를 통보해 이사회의 임명제청에 관한 심의·의결 절차를 형해화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윤 대통령은 지난달 23일 박장범 사장 임명안을 재가했다. KBS 기자 출신인 박 후보자는 사장 지원 당시부터 KBS 내외부의 거센 반발에 직면했다. 특히 KBS 내부에서 실시된 박장범 사장 후보자 찬반 투표에서 95%가 반대한다는 결과가 나왔다.
지난달 23일 KBS 이사회의 임명제청 이후 KBS 내부에서 '박장범 사퇴' 요구가 쏟아졌다. 33년차 18기부터 막내인 50기까지 총 30개 기수, 495명의 기자들이 '박장범 반대' 기명 성명을 발표했으며 언론노조 KBS본부, KBS 같이노조, 기자협회, 전국기자협회, PD협회도 박장범 후보자의 사퇴를 요구하고 나섰다.
박 사장 내정자는 지난 2월 윤 대통령과의 특별 대담에서 ‘김건희 명품백 수수’를 두고 ‘조그마한 파우치’라고 표현, 사안을 축소·왜곡했다는 비판이 쏟아졌다. 박 사장 내정자는 오는 10일 임기를 시작하며 KBS 구성원들은 이날 일일 파업에 나선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