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기자들 "특보 시청률, 종편보다 낮아…국민 외면 시작됐다"
기자협회, 보도본부 간부들 사퇴 촉구 "지금이 평시냐" "국민 관심사 소극적 보도…더 망가지면 회복 불능"
[미디어스=고성욱 기자] KBS기자협회가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보도와 관련해 “보도본부장과 보도국 국주간단은 비상시국에 대응할 역량이 없다면 지금이라도 물러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KBS기자협회는 4일 저녁 성명을 내어 KBS가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당일 KBS 특보 시청률이 3.2%에 그쳤다며 “큰 사건·사고나 큰일이 벌어지면 KBS 1TV를 찾는다는 마지막 자존심은 어디에 갔나. 2024년 12월 현재 국민은 KBS 뉴스를 외면하기 시작했다”고 한탄했다. 기자협회에 따르면 KBS의 ‘비상계엄’ 특보 시청률은 3.2%로 MBC(6.8%), SBS(3.3%)는 물론 JTBC(4.2%), TV조선(3.9%) 등 종편보다 낮았다.
기자협회는 “45년 만의 비상계엄선포, 여기에 맞선 국회의 심야 계엄 해제, 야당의 탄핵 요구안 발의 등 하나하나가 역사책에 나올 만한 대형 이슈들”이라며 “그런데도 우리 9시 뉴스는 평상시와 똑같은 1시간 편성에 불과했다. 지금이 평상시로 보이냐”고 따져 물었다.
기자협회는 “시간만 부족한 게 아니라 내용은 더 심각하다”면서 ▲대통령은 지금 어디에 있는지 ▲왜 아무 말도 없는 것인지 ▲계엄령 선포 과정에서 내각은 어떤 역할을 한 것인지 ▲뒤늦은 내각 총 사퇴에 어떤 배경이 있는지 ▲윤 대통령이 지금 국정운영을 제대로 할 수 있는 상황인지 ▲계엄령 선포와 포고령에 어떤 위헌적·위법적 요소가 있는지 ▲윤 대통령에게 내란죄 적용은 가능한 건지 ▲국민은 어떤 반응인지 ▲탄핵안은 국회를 통과할 수 있는 건지 ▲김용현 장관은 왜 과거에 계엄을 부정한 건지 ▲경찰은 어떤 연락을 받고, 어떻게 대응한 건지 등의 질문을 KBS는 던지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기자협회는 “명태균 사태가 불거지고 나서 기자사회의 끊임없는 취재력 강화, 아이템 강화 요청에도 묵묵부답이던 KBS 보도본부였고, 그 결과는 시청률의 급전직하, 경쟁사의 압도적 시청률 1위 행진”이라면서 “이런 부끄러운 일을 겪었으면서도 또다시 전 국민의 관심사에 대해 이리도 소극적인 보도를 하는 이유는 도대체 무엇이냐”고 비판했다.
기자협회는 “여기서 더 망가지면 KBS 뉴스는 이제 회복이 불가능할 수도 있다”면서 “현장에 나가는 건 늘 후배들이고, 현장에서 국민들의 매서운 질타를 받는 것도 현장 후배들이다. 사무실에 앉아 뉴스를 망치는 사람 따로 있고, 현장에서 온몸으로 비난을 받는 사람이 따로 있어야 하냐”고 지적했다.
기자협회는 보도본부장과 보도국 국주간단을 향해 “국민이 궁금해하고 알고 싶어 하는 뉴스를 만드는 것만이 국민의 방송 KBS의 존재 이유다. 비상시국에 대응할 역량이 없다면 지금이라도 물러나라”고 말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