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우치 KBS 사장에 '기자협회 정상화 모임' 정지환 감사?

정지환·김대회·김윤로 등 7인 지원…이사회, 27일 서류 심사 KBS본부 "정권 편에서 구성원 탄압한 인물들…구토 나와" 방통위 1인 체제, KBS 감사 임명 불가능

2024-11-26     고성욱 기자

[미디어스=고성욱 기자] 전국언론노동조합 KBS본부 쟁의대책위원회가 이사회의 ‘감사 공모'를 두고 “파우치 박장범을 사장으로 만들어 KBS에 독을 타더니, 이제는 감사까지 막장 인사로 채워 KBS를 파탄 낼 작정”이라며 중단을 촉구했다.

KBS본부 쟁의대책위는 감사 지원자들을 두고 “과거 정권의 편에서 구성원 탄압에 앞장섰던 인물들이 감사 적격자라 주장하는 걸 보면 구토가 나올 지경”이라며 부적격 판정을 내렸다. 

KBS 이사회는 오는 27일 서류심사를 거쳐 면접 대상자를 선정하고, 다음 달 11일 면접심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KBS 감사지원자는 ▲김우성 KBS 지식재산권부장 ▲정지환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코바코) 사외이사 ▲왕현철 전 KBS 미디어 감사 ▲김희철 KBS 기자 ▲김대회 전 선거방송심의위원 ▲이윤복 전 KBS 재무국장 ▲김윤로 전 KBS 경영평가위원 등이다. 현 박찬욱 감사의 임기는 다음 달 25일까지다.

서울 여의도 KBS 사옥 (사진=KBS)

방송법에 따라 KBS 감사는 이사회가 임명제청하면 방송통신위원회가 전체회의 의결을 통해 임명한다. 현재 김태규 방통위원장 직무대행 1인체제로 운영되는 방통위에서 KBS 감사 임명은 불가능하다. 이진숙 방송통신위원장은 국회의 탄핵 소추로 직무 정지 상태다. 

KBS본부 쟁의대책위는 26일 성명을 내어 “사장 공모 때도 한숨이 나왔는데, 감사 지원자들의 면면 역시 만만치 않다”며 “지원자들의 직무수행 계획서를 보면 헛웃음만 나온다. 과거 사측으로 정권의 편에서 구성원들을 탄압하는 데 앞장섰던 인물들이 신뢰와 공정성 회복을 기치에 내걸며, 자신이 감사 적격자라 주장하는 걸 보면 구토가 나올 지경”이라고 규탄했다.

KBS본부 쟁의대책위는 차기 감사에 정지환·김대회·김윤로 지원자가 유력하다고 보고 있다. 정지환 지원자는 2015년 고대영 사장 체제의 첫 보도국장이다. 정 지원자는 2016년 ‘KBS 기자협회의 정상화를 촉구하는 모임’(정상화 모임) 결성을 주도했다. ‘정상화 모임'은 KBS 보도에 비판적이던 KBS 기자협회의 기능을 무력화하기 위해 보도국 간부들 위주로 결성됐다. 일례로 정상화 모임은 KBS 기자협회가 박근혜 정부 시절의 보도 비리를 밝히겠다고 하자, 여러 차례 반대 성명을 발표했다. 박장범 사장 내정자도 정상화 모임에 이름을 올렸다.  

2019년 KBS는 정지환 지원자를 내부 적폐청산 기구 ‘진실과미래위원회’(진미위) 권고에 따라 해임했다. 정 지원자는 재심을 신청했고, 정직 6개월로 감경됐다. 진미위는 정 지원자가 기자협회의 활동을 ‘해사행위’로 비판하고 강압적 취재 지시와 부당징계로 기자들을 압박하는 등 편성규약과 보도위원회 운영세칙, 취업규칙 등을 위반했다고 판단했다. 

정 지원자 등은 KBS 상대로 징계처분 무효확인 소송을 제기했으나 2022년 1심 재판부는 이를 기각했다. 박민 사장 취임 이후 항소심 재판부가 강제조정하면서 정 지원자에 대한 징계가 취소됐다. 정 지원자는 지난 5월 코바코 비상임 이사에 임명됐다.

정 지원자는 직무계획서에서 “제작진의 자의적인 뉴스, 프로그램 제작을 방지를 위한 KBS 제작가이드라인에 대한 운영 실태 점검” “조직 진단을 통한 조직통폐합·고효율 조직으로 업그레이드 방안 제시” “감사 강화를 통한 엄정한 근무 질서 확립” “직원의 외부 정치 활동 등 중립 의무 위반 행위 관리” 등을 내세웠다. 

정지환 코바코 비상임 이사가 KBS 감사에 지원했다. (KBS 보도화면 갈무리)

KBS본부 쟁의대책위는 김대회 지원자에 대해 “KBS 노무 라인의 주축으로 2014년 당시 보복인사를 주도한 바 있다”며 “퇴임 이후엔 보수 정권 편들기에 앞장서고 있는 공정언론국민연대 전 대표를 지낸 것도 모자라 산하 기관지인 미디어X 편집위원으로 여권을 편드는 기사를 쓰던 인물이다. 또 공언련을 뒷배 삼아 선거방송심의위원이 돼 윤석열 정권을 비판하는 언론에 재갈 물리기에 앞장선 인물”이라고 지적했다. 

김 지원자는 직무계획서에서 “진미위 설립의 절차적 문제점과 회사의 의사결정 시스템은 문제가 없었는지 명확하게 밝혀 공영방송의 가치를 훼손하는 사례가 재발하지 않도록 하겠다”고 했다. 

KBS본부 쟁의대책위는 “김윤로(지원자)는 공정방송을 위한 임명동의제 대상 확대에 대해 인사권을 사장 스스로가 포기한 것이라 평하면서, 낙하산 박민 체제 임명동의제 불이행에 단초를 제공하기도 한 인물”이라면서 “절대 이런 인물들이 KBS 감사라는 중요한 자리에 앉아선 안 된다. 특정 진영에 경도된 인물들이 감사 자리에 앉는 순간, 정권에 비판적인 구성원들에 대해 재갈물리기를 시도하는 것은 물론 무분별한 감사의 칼을 휘두를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KBS본부 쟁의대책위는 이사회를 향해 “파우치 박장범을 사장으로 만들어 KBS에 독을 타더니, 이제는 감사까지 막장 인사로 채워 KBS를 파탄 낼 작정이냐”면서 “지금이라도 본인들의 추천과 임명에 대해 법원의 결정이 나오기 전까지 본인들의 권한 행사를 중단하라. 부적격자에게 KBS 감사라는 중책을 맡기려 시도한다면, 이에 대해 끝까지 법적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