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사장 용산 개입 의혹 국정조사 실시하라"
KBS본부 "박장범, 더이상 구성원 부끄럽게 하지 말고 멈춰라" 언론노조 "KBS 장악 의혹 전반에 대한 국정조사 실시하라" 국회 과방위, 25일 '사장 용산 개입 의혹' 관련 KBS 현장검증 실시
[미디어스=고성욱 기자] KBS 구성원과 전국언론노동조합이 KBS 사장 후보자 면접 이전에 대통령실이 박민 현 사장에게 교체를 통보했다는 증언들이 나온 것과 관련해 “사실이라면 국정농단”이라며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를 촉구했다.
전국언론노동조합 KBS본부는 20일 밤 박 후보자 인사청문회 이후 성명을 내어 “사흘간 이어진 인사청문회에서 박 후보자가 내놓은 건 앵무새처럼 영혼 없는 답변뿐”이라며 “본인의 방향이나 정책을 뭘 제대로 제시라도 해야 비판을 할 텐데, 파우치 박 후보자는 본인의 경영철학, 신뢰성 회복 방안, 경영위기 타개책 등에 대해 제대로 답변치 않았다”고 지적했다.
박 후보자는 지난 18일부터 20일까지 사흘간 이어진 인사청문회에서 KBS 현안과 관련해 모호한 답변을 내놨다. 박 후보자는 박민 사장 체제의 경영진이 무력화시킨 ‘임명동의제 복구 의사’ 질문에 “방송법상 인사권 침해 요소가 있고, 절차상 이사회의 의결을 거치지 않은 측면이 있다”는 답변을 되풀이했다. ‘파우치 표현 사과 요구’ ‘기자 495명의 사퇴 요구 기명 성명 입장’을 묻는 질의에 “파우치가 공식 명칭이다” “새겨듣겠다”는 답변을 반복했다.
특히 인사청문회에서 박민 현 사장이 KBS 이사회의 사장 후보자 임명제청 전날(10월 22일) 대통령실로부터 ‘교체 통보’를 받았다는 이야기를 들었다는 증언들이 연이어 나왔다. 국회 참고인으로 출석한 KBS 안양봉 기자와 정재준 기자는 이영일 KBS 노사협력주간으로부터 직접 이 같은 이야기를 들었다고 증언했다. 증인으로 출석한 이영일 주간은 의혹을 전면 부인했다.
지난 10월 23일 KBS 이사회는 사장 면접을 거쳐 박 후보자를 만장일치로 최종 사장 후보자로 선출했다. 야권 성향 이사 4인은 사장 선임 절차에 반발, 퇴장해 여권 성향 이사 7인만 표결에 참여했다.
언론노조 KBS본부는 “공영방송의 신뢰성과 공정성에 대해 어떠한 철학도 가지지 않은 인물, 정권에 아부하며 공영방송을 기꺼이 제물로 바칠 인물, KBS를 정권의 나팔수로 만들 수 있는 인물, 그 적임자가 파우치 박장범인 것”이라며 “이미 구성원들은 결단을 내렸다. 더이상 욕심부리지 말고, 파우치 박장범 후보자는 사퇴하라. 더이상 구성원들을 부끄럽게 하는 일을 중단하고 그 정도에서 멈춰라”고 말했다.
언론노조 KBS본부 조합원의 95.40%가 박 후보자에 ‘반대’하는 것으로 조사됐으며 33년차 18기부터 막내인 50기까지 총 30개 기수, 495명의 기자들이 '박장범 반대' 기명 성명을 발표했다. KBS 같이(가치)노동조합, 기자협회, PD협회 등 직능 단체도 박 후보자에 사퇴를 촉구하고 있다.
언론노조 KBS본부는 국회를 향해 “또 한 번 낙하산 박민 사장의 사전 탈락설을 뒷받침하는 증언이 나왔다”면서 “정권이 KBS 사장 선임 절차마저 무시하고 파우치 박장범 사장을 세우기 위해 용산 대통령실이 개입했다는 국회 증언까지 나온 만큼 국정조사를 통해 해당 의혹에 대해 명명백백히 밝혀라”고 요구했다.
같은 날 언론노조는 성명에서 ‘박민 사전 교체 의혹’을 거론하며 “청문회 증언이 사실이라면 2인 체제 불법 방송통신위원회가 선임한 무자격 이사회마저 무력화하고 용산 대통령실이 직접 KBS 사장선임에 개입한 것으로 명백한 불법이자, 국정농단에 해당하는 사안”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언론노조는 “이 정권 들어 일상화된 언론자유 파괴와 방송장악의 불법성과 폭력성을 낱낱이 드러내고 바로잡기 위해 언론장악 국정조사를 요구한 바 있다”며 “KBS 사장 선임을 위한 법적 절차마저 무시하고 ‘파우치 앵커’ 박장범 사장 만들기를 위해 용산 대통령실이 개입했다는 국회 증언까지 나온 마당에 국정조사를 더 주저하거나 미룰 이유가 없다. 국회는 박 후보자 내정 과정의 대통령실 개입 등 KBS 장악 의혹 전반에 대한 국정조사를 즉각 실시하라”고 말했다.
언론노조는 박 후보자를 향해 “스스로 자격 없음을 인정하고 KBS 사장 후보에서 물러나라. 그것이 분노한 국민과 KBS 구성원들에 대한 마지막 예의”라고 경고했다.
한편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는 ‘대통령실의 KBS 사장 선임 개입 의혹’이 불거진 것과 관련해 오는 25일 KBS 이사회 현장검증을 실시하기로 의결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