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시민사회 "역사상 이렇게 모욕적인 KBS 사장 후보 있었나"
언로장악저지공동행동 "'파우치 앵커' 박장범, 즉각 사퇴하라" '2인 체제' 방통위가 선임한 KBS 이사들이 박장범 임명 제청 "진실 비틀어 권력자 비호… 절차적 정당성도 없이 사장 후보 돼"
[미디어스=노하연 인턴기자] 박장범 KBS 사장 후보 인사청문회를 앞두고 언론시민사회단체가 “용산방송 주범에게 공영방송 맡길 수 없다”며 박장범 후보자의 사퇴를 촉구했다. 시민사회는 박 후보자가 '파우치' 발언 등으로 공영방송의 독립성을 훼손했고, 불법적으로 구성된 KBS 이사회로부터 임명제청을 받은 인물이라고 비판했다.
언론장악저지공동행동(이하 공동행동)은 18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국회 앞에서 박 후보자의 사퇴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박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는 18~19일 이틀 간 진행된다. 윤창현 전국언론노동조합 위원장은 “임명장을 받기도 전에 이렇게 모욕적이고 이렇게 수치스러운 이름으로 국민 앞에 나선 KBS 사장 후보자가 역사에 있었는지 모르겠다”며 박 후보자가 사장으로서 절차적 정당성이 부재하다고 비판했다.
윤 위원장은 법원이 계속 2인 체제 방송통신위원회 의결의 위법성을 지적하고 있다는 점을 근거로 들었다. 윤 위원장은 “법원에서 잇따라 그 불법성을 명확히 지적하고 있는 방통위 2인 체제가 임명한 7명의 KBS 이사들이 속전속결로 졸속적인 절차 속에서 시민 평가 없이 임명한 추천한 사람이 바로 박장범”이라고 말했다.
방송통신위원회(이하 방통위) 이진숙 위원장과 김태규 부위원장은 지난 7월 31일 KBS 이사 11명 중 7명을 추천했다. 방통위는 야권 성향으로 분류되는 나머지 이사들을 '전임자' '후임자'로 특정해 임기만료 이후에도 잔류할 4명의 이사를 임의로 정했다. KBS 이사회 구성을 사실상 완료한 것이다. ‘이진숙·김태규’ 2인 체제 방통위는 2시간여 만에 83명의 KBS·방송문화진흥회(MBC 대주주, 이하방문진) 이사 후보자 심사를 끝내 졸속 심사 논란을 빚는다.
방통위는 서울행정법원 행정12부에 KBS 이사 선임 효력을 정지시켜달라는 가처분 신청 사건이 배당되자 재판부 기피 신청을 냈다. 행정12부가 방통위의 방문진 이사 임명 효력을 정지시켰다는 게 기피 신청 이유다. 기피 신청이 기각되자 방통위는 항고했다. 기피 신청 사건이 서울고등법원으로 넘어가면서 KBS 이사들의 적법성 여부 판단이 지연되고 있다.
신태섭 민주언론시민연합 상임공동대표는 박 후보자가 KBS 사장으로서 박민 사장에 필적하는 최악의 부적격자라고 말했다. 신 대표는 박 후보자가 진행한 윤석열 대통령과의 대담에 대해 “진실을 감추고 비틀어 권력자의 비위를 맞추는 신공을 보여줬다”며 “200만 원 상당의 명품가방을 특별할 것 없는 조그만 파우치라고 호도하며 사안을 축소했고 사안의 핵심을 ‘뇌물 수수’에서 몰래 촬영에 따른 ‘의전과 경호의 문제’로 이동시켰다”고 비판했다.
신 대표는 이어 “이틀 진행되는 이번 인사청문회는 국민 앞에서 박장범 후보의 부적격을 밝혀내고 그동안 KBS에서 진행된 방송 독립성, 민주주의 훼손의 불법을 확인하고 윤 대통령과 그 하수인들에게 책임을 엄중히 묻는 자리가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상현 언론노조 KBS본부장은 “지난해부터 시작됐던 수신료 분리고지에서 ‘KBS 장악의 서막’이 이루어졌다고 하면, 이제 ‘KBS 장악 완성’이 박장범 후보의 사장 취임이 될 것”이라며 “낙하산 박민은 1년짜리였지만 박장범 후보자는 앞으로 3년 동안 KBS를, 공영방송을 용산의 선전 선동 도구로 만들 것이기 때문”이라고 했다.
박 본부장은 “내일까지 열릴 박장범 인사청문회는 박장범이라는 사람이 KBS 사장의 능력이 있는지 없는지를 검증하는 자리가 되어서는 안 된다”며 “그동안 박장범이 KBS를 어떻게 망쳐왔는지 그리고 또 어떻게 망칠지를 미리 국민들에게 낱낱이 알리고 박장범을 심판하는 자리가 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공동행동은 기자회견문에서 박장범 후보의 부적격성을 조목조목 지적했다. 공동행동은 박 후보가 “많은 시청자들이 KBS를 국민의 방송이 아닌 용산방송으로 인식하게 만든 장본인”이자 “KBS가 용산방송으로 추락하는데 앞장선 주범”이라고 규정했다.
공동행동은 “KBS 구성원들도 박장범 후보는 자격이 없다며 사퇴하라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며 KBS 보도본부 기자들의 반대 성명과 KBS 주요 직능단체의 사퇴 촉구, 언론노조 KBS본부 설문조사 등을 인용했다.
33년차 18기부터 막내인 50기까지 총 30개 기수, 495명의 기자들이 ‘박장범 반대’기명 성명을 발표했으며 언론노조 KBS본부 쟁의대책위가 실시한 ‘박장범 후보자 찬반’ 투표 결과에 따르면 95.40%(1555명)가 박장범 후보자에 반대한다고 밝힌 것으로 나타났다. 찬성한다는 의견은 4.60%(75명)에 그쳤다.
공동행동은 “이번 인사청문회는 후보자 검증이 아닌 부역자 심판의 자리”가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공동행동은 “사장이 되어서 공영방송 KBS를 파고하고 동료 언론인을 욕보이고 국민을 배신하는 행위로 오욕의 구렁텅이로 떨어지기 전에 즉각 사퇴하라"며 "그렇지 않는다면 이제 시민들이 국민의 방송 KBS를 되찾기 위한 전면적인 투쟁에 나설 것”이라고 경고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