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러난 오세훈 서울시의 "TBS 공중분해 안간힘"

서울시의회 문체위원장 "겉으로만 '살린다' 말라" 일침 "TBS만 출연금 월별 지급…재정압박, 장기계획 무산 의도" 조례 거부권 행사 예외인 'TBS 폐지 조례' 공포 "의회 존중"? TBS 이사 겸직 서울시 공무원, 용역 진행 경과도 몰라 "잔인한 언론탄압 사례, 다음 선거 때 오 시장 공격 포인트 될 터"

2024-11-06     송창한 기자

[미디어스=송창한 기자] 오세훈 서울시장이 겉으로 TBS의 생존을 말하면서 실상은 TBS를 사지로 몰아넣었다는 정황이 제기됐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서울시 산하기관 중 유일하게 TBS에 대해서만 분기별 출연금을 월별로 교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서울시의회를 통과한 조례에 대해 재의요구권(거부권)을 행사한 오 시장은 'TBS 폐지 조례'는 공포했다. TBS 당연직 이사인 서울시 홍보기획관은 오 시장이 시의회를 존중한다면서 시의회를 통과한 조례에 대해 거부권을 행사한 적이 없다고 말했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5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토부·서울시·경기도, 수도권 그린벨트 해제 합동 브리핑에서 개발 관련 설명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5일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문체위)에서 열린 서울시 대변인·홍보기획관에 대한 행정사무감사에서 김경 문체위원장(강서1·민주당)은 "오 시장은 '시의회가 TBS 폐지조례안을 발의했지만 난 다르다'라고 했다"면서 "오 시장이 정말 TBS가 되살아나게 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했다고 보냐"고 물었다. 마채숙 서울시 홍보기획관은 "그렇다"고 답했다. 

이에 김 위원장은 오 시장이 TBS를 재정적으로 압박하고 제도적으로 방관한 사례를 거론했다. 김 위원장이 제시한 TBS 출연금 교부 내역에 따르면, 오 시장은 2022년 4월부터 TBS 출연금을 월별로 교부했다.

김 위원장은 "오 시장은 후보 시절 신동아와 인터뷰에서 'TBS 예산지원을 안 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이런 생각을 갖고 있었다"면서 "행정안전부 규정을 보면 일반적으로 분기별로 (교부)하게 되어 있다. 당시 (서울시)출자출연기관이 총 19개였는데 그 중 월별로 지급한 곳이 TBS 말고 있냐"고 물었다. 

이에 증인으로 출석한 이강택 전 TBS 대표는 "없다"며 "예산 사용에 있어 더 타이트하게 감시하겠다, 장기적 제작 예산 운용 여지를 없애겠다고 한 것"이라고 답했다. 이 전 대표는 "뜻은 분명했다. 출연금을 월 단위로 주는 것 외에도 그해 말에 출연금을 대폭 삭감했다"며 "TBS가 다른 수익을 늘리는 방향으로 극복을 하니까 '단순하게 삭감하는 것으로는 안 되겠다' 판단해 초강수(폐지 조례)를 둔 게 아닌가 싶다"고 말했다. 

오세훈 시장 체제 서울시는 분기별로 교부하던 TBS 출연금을 2022년 4월부터 월별로 교부했다 (표=김경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장)

김 위원장은 마 기획관에게 오 시장이 서울시의회를 통과한 조례에 대해 거부권을 행사한 적이 있는지 물었다. 마 기획관은 "없다. 재의를 요구한들 (다수당·국민의힘)받아들여질 가능성이 없었기 때문에 의회를 존중한 것"이라고 했다. 김 위원장이 재차 "어떻게 확신하나. 재의요구한 적이 없나"라고 물었지만 마 기획관은 "없다"고 했다. 

김 위원장은 오 시장이 조례 14건에 대해 거부권을 행사했고 이 중에는 대법원에 소송까지 제기된 사례가 있다며 "TBS(폐지 조례)에는 (거부권)의사가 없어서 안 했다. 그럼에도 오 시장은 어디 나와서 '끊임없이 소통할 거다' '이런 일 생기지 말아야 한다' 말한다"고 지적했다. 

김 위원장에 따르면 오 시장은 2022년 한 해에만 '서울시 출자·출연기관 운영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안', '서울시 예술인 창작수당 지급 조례안' 등 9건의 조례에 대해 거부권을 행사했다. 마 기획관은 "제가 다른 파트 내용은 잘 모른다"면서 TBS 폐지 조례의 경우 통과 전에 시의원들을 찾아 설명하는 노력을 기울였다고 주장했다. 

마 기획관은 TBS가 발주한 컨설팅 용역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었다. 마 기획관과 김미정 서울시 재정기확관은 TBS 당연직 이사를 맡고 있다. 서울시와 행정안전부는 TBS의 출자출연 기관 지위를 해제했다. 그러나 TBS 정관에 당연직 이사로 서울시 재정기획관과 홍보기획관이 여전히 포함돼 있다. 행정안전부는 이 같은 TBS 정관에 문제가 있다며 서울시에 출자출연 기관 해제 신청을 다시 하라고 요구했으나 돌연 서울시는 재신청도 없이 TBS 출자출연 기관 지위를 해제했다.  

마 기획관은 TBS를 위해 어떤 노력을 했냐는 김 위원장 질의에 "(TBS가)작년 11월 민영화 추진계획을 발표하고 나서 민간투자가 잘 이뤄질 수 있도록 서울시는 음으로 양으로 행정적 지원을 했다"고 말했다. 이에 김 위원장이 "그래서 올해 용역 2개 했더라"라고 묻자 마 기획관은 "그 2개 정확하게 잘 모르겠다. 삼정(삼정KPMG, 회계법인)과 함께 투자자 발굴 용역을 진행한 것만 안다"고 했다. 

김 위원장은 "용역한 것도 모른다는 게 말이 되나. 관심이 없다"며 TBS가 투자자 발굴 용역 외에 '위상·조직·정체성 변화방안 모색'이라는 컨설팅 용역을 실시했다고 가리켰다. 김 위원장에 따르면 해당 용역은 올해 5월 17일 착수돼 14일 만에 마무리됐다. 그러나 용역 결과는 TBS 내·외부 어디에도 공유되지 않았다. 

5일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행정사무감사에서 김경 위원장이 마채숙 서울시 홍보기획관에게 질의하고 있다 (서울시의회 영상회의록)

김 위원장은 "서울시가 TBS를 살리려는 의지가 있는지 계속해서 의문점을 갖고 있다. 겉으로는 살린다 하고, 실제로는 공중분해하려고 안간힘을 써왔다"며 "오는 12월 TBS 재허가 심사가 있는데 그게 통과가 되겠나. 지금 계속 (TBS 문제를)끌고 또 끌어서 어떻게 하려고 하는 것인지 참 걱정"이라고 했다. 

김 위원장은 "TBS 사태는 민주주의의 후퇴이자 잔인한 언론탄압 사례로 분명하게 기억될 것"이라며 "다음 선거 때 오 시장에 대한 공격 포인트가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마 기획관은 "아무리 안타깝고 애석하게 생각한다고 해도 TBS 개별 직원들이 느끼는 심정을 제가 다 대변하지 못할 것"이라며 "TBS 전 직원과 경영진이 존치될 수 있도록 어떠한 노력도 다하겠다"고 말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