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재단, 3,300만 원짜리 기사형 정부광고 금시초문
동아일보·중앙일보 엑스포 칼럼·기사 부산시 광고 김재원 "언론재단·문체부는 이런 사실 모른다고 답변" 김효재 언론재단 이사장 "기사처럼 보인다"
[미디어스=고성욱 기자] 한국언론진흥재단이 기사형 정부광고 관리에 소홀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동아일보와 중앙일보가 각각 3,300만 원의 정부 광고비를 받고 부산엑스포 홍보 칼럼과 기사를 작성한 것으로 드러났다. 하지만 주무기관인 언론재단은 이를 파악하지 못하고 있었다.
15일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김재원 조국혁신당 의원은 “인터넷신문윤리위원회가 심의를 통해 적발하는 기사형 광고 개수가 평균 1,362건"이라면서 "매체당 연간 1.6건의 기사형 광고가 적발되는 것인데 전혀 현실을 반영하지 못하는 수치”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김 의원은 지난해 3월 27일 중앙일보 비즈칼럼 <‘이겨내는 도시’ 부산의 엑스포 유치는 역사적 필연>과 지난해 4월 4일 동아일보 기사 <“기후위기 함께 극복해요”...부산엑스포 환경 캠페인 풍성> 지면을 국감장 화면에 띄웠다.
김 의원은 “누가 보더라도 칼럼, 기사로 보이지만 광고”라며 “중앙일보는 기사 게재 대가로 광고료 3300만 원을 받았고, 동아일보 3300만 원의 기사형 광고다. 기자 이름을 달아서 버젓이 기사를 팔고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 의원이 공개한 '2030부산세계박람회 PR 프로그램 활용 홍보계획' 문건에 '기획기사 연재' 소요 예산은 중앙일보 3,300만 원, 동아일보 3,300만 원, 한국경제 2,200만 원으로 명시됐다. 연재 방법은 '주요행사에 기자가 직접 현장 취재를 통해 기획기사 작성'이라고 처리됐다.
김 의원은 “부산시는 언론재단을 통해 총 1억 3200만 원의 광고비를 집행했다”면서 김효재 언론재단 이사장에게 “앞서 보여드린 기사가 광고처럼 보이나”라고 질문했다.
김 이사장이 “기사처럼 보인다”고 말하자 김 의원은 “언론 신뢰도가 점점 낮아지는 원인 중 하나가 이런 기사형 광고 때문이라는 생각”이라면서 “하지만 언론재단과 문화체육관광부는 이런 사실을 모른다고 답변했다. 부산시로부터 구체적인 자료를 받지 못하면 확인을 못한다는 얘기인데, 말만 하지 말고 관련 법령을 개정해서라도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명세서는 받는데 다른 자료는 받지 못한다는 게 말이 되냐”며 “만약 기사형 광고를 집행하고도 허위로 제출하면 그 행위는 언론재단에 대한 업무방해이자, 정부광고집행 규정을 위반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김 의원은 김 이사장에게 문제 원인 규명과 재발 방지 방안 등의 자료를 요구했다.
한편, 지난 8일 국회 문체위 국정감사에서 유인촌 문체부 장관은 “기사처럼 보이는 광고라는 걸 표기하게끔 되어 있다"며 "기사형 광고 게재 부분은 그동안 논란 꽤 많이 됐기 때문에 많이 보완이 되었다고 생각하는데, 한 번 살펴보겠다”고 말한 바 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