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 '명태균 해명' 일만 키워…조선일보 "켕기는 것 있나"
한 달만에 나온 공식해명 "국힘 소개로 집에서 두 번 만났을 뿐" 대통령실 고위관계자, 일부 언론에 "이준석이 처음 소개" 흘려 이준석 "말 조심하라"…김종인 "김건희, 명태균 전화로 '남편 만나달라' 해" 동아일보 "명태균 주장 사실 아니면 법적대응에 나서든지" 한겨레 논설실장 "'바이든-날리면' 등 언론사 신속 고소와 비교하면"
[미디어스=송창한 기자] 김건희 씨 공천개입 의혹의 핵심 인물인 명태균 씨의 폭로성 발언이 연일 언론을 통해 보도되고 있지만 대통령실의 대응이 늦고 불문명해 언론에서 '뭐가 있는 게 아니냐'는 의구심을 쏟아내고 있다.
앞서 대통령실이 비판 언론에 '대통령 명예훼손' 등의 이유로 신속한 법적 조치한 것과 비교된다.
지난 8일 대통령실은 명 씨와 관련한 첫 공식입장을 냈다. 명 씨 의혹이 불거진 지 1개월여 만의 입장 발표다. 대통령실은 윤 대통령이 국민의힘 정치인들 소개로 명 씨를 두 번 만났을 뿐 이후에는 명 씨와 연락한 사실이 없다고 '기억한다'고 했다. 2021년 7월 자택에서 국민의힘 고위당직자가 명 씨를 데려와 처음 만났고, 얼마 후 자택에서 국민의힘 정치인이 명 씨를 데려와 두 번째 만났다는 설명이다. 대통령실은 명 씨가 세간의 주목을 받게 된 이유인 김건희 씨 공천·인사 개입 의혹과 관련한 입장은 밝히지 않았다.
대통령실 고위관계자는 연합뉴스에 "명 씨는 지난 대선 때 (윤석열 후보를) 돕겠다고 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와 함께 서초동 자택을 찾아와 처음 만났는데, 주위에서 조심해야 할 사람이라고 하고, 엉뚱한 조언을 해서 소통을 끊었던 사람으로 안다"고 했다.
하지만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은 9일 페이스북에 "언론에서 대통령실 고위관계자로 인용하는 사람이면 정진석 비서실장쯤 될 텐데 말 조심하라"며 "이미 제보자 E씨는 김영선 의원이 윤석열 총장에게 명태균 대표를 소개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후 소통을 끊었다'? 이것도 확인해 볼까?"라고 했다.
김종인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10일 동아일보 보도에서 윤 대통령과 2021년 7월 4일 처음 만나기 전 명 씨가 자신에게 전화를 걸어 김건희 씨를 바꿔줬다고 말했다. 김종인 전 비대위원장은 "2021년 6월 28일엔가 김 여사가 명 씨의 전화를 통해 나한테 전화를 했다"며 "(7월 4일) 윤 대통령과 식사 자리에는 김 여사와 명 씨가 같이 있었다"고 했다.
김종인 전 비대위원장은 "김 여사가 명 씨 전화로 ‘내가 남편에게 곧 전화를 드리라고 할 테니 만나 달라’고 했다"며 "한 40분 후에 윤 대통령한테서 전화가 와 만나자고 해서 만났다"고 했다.
10일 동아일보는 사설 <거간꾼인지 협잡꾼인지 ‘듣보잡’ 인물에 놀아난 한국 정치>에서 "더욱 납득할 수 없는 건 대통령실의 석연치 않은 대응"이라며 "명 씨 주장이 사실이 아니면 법적 대응에 나서든지 해야 할 텐데 아무런 조치가 없다. 이러니 대통령실도 명쾌히 대응할 수 없는 다른 곡절이 있는 것 아닌지 의심이 드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동아일보는 "현재까지 언론을 통해 공개된 명 씨의 주장이 어디까지 사실이고 허풍인지는 따져봐야 할 것"이라며 "분명한 건 여론조사 업체를 운영하며 경남 지역에서 활동해 온 명 씨가 '명 박사'라는 호칭까지 들어가며 대선 후보 부부를 만나 정치적 조언을 한 것은 물론 중앙의 유력 정치인들과도 교분을 맺어온 사실이 드러나고 있다는 점"이라고 했다. 동아일보는 "명 씨의 역할이 진짜 뭐였는지, 대선 이후에도 김 여사가 얼마나 지속적으로 명 씨와 소통을 이어왔는지 등 철저한 진상 규명이 필요하다"고 했다.
같은 날 조선일보는 사설 <명태균은 뭘 믿고 협박하고, 용산은 뭐가 켕기는 게 있나>에서 '내가 했던 일의 20분의 1도 나오지 않았다' '내가 감옥에 들어가면 한 달 만에 정권이 무너질 것' 등 명 씨의 발언을 거론하며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를 받고 있는 피의자가 대통령을 상대로 협박하는데도 대통령실의 해명은 석연치가 않다"고 했다.
조선일보는 "대통령실은 대통령 부부와 관련된 허위 의혹에 대해선 강력하게 대응해왔다. 그러나 명 씨에 대해선 해명이 늦고, 그 해명이 또 다른 의혹을 만들고 있다"며 "야당들은 대통령 부부가 명 씨에게 무슨 약점이라도 잡힌 것 아니냐는 의혹까지 제기하고 있다. 정체불명 '정치 브로커' 한 명의 입에 대통령실과 여권 전체가 전전긍긍하는 모습에 국민들은 어리둥절할 뿐"이라고 했다.
한겨레는 사설 <더 큰 의문과 반발만 키운 대통령실 ‘명태균 해명’>에서 "도대체 국민을 어떻게 보길래 이토록 금방 들통날 주장을 아무렇지도 않게 내놓는 것인가"라고 했다. 한겨레는 이준석 의원과 김종인 전 비대위원장 말대로라면 '두 차례, 소개로, 자택에서' 명 씨를 만났다는 해명은 어느 하나 맞는 게 없다고 했다.
한겨레는 "무엇보다 대통령실이 김 여사와 명 씨 관계에 대해선 일언반구 없이 입을 닫고 있는 모습은 정상이라 할 수 없다"며 "취임 뒤에도 김 여사가 명씨와 문자·통화를 이어간 사실에 비춰보면, 사인에 불과한 명씨가 역시 공적 권한이 없는 김 여사를 통해 국정과 당무에 개입한 ‘비선의 비선 농단’이 벌어진 것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했다.
한겨레는 "이 와중에 김대남 전 대통령실 선임행정관이 '용산에 (박근혜 청와대 시절의) 십상시 같은 4인방이 있다. 여사가 쥐었다 폈다 하며 시켜 먹는다'고 말하는 녹취 파일도 8일 공개됐다"며 "김 여사 의혹은 용산의 얕은 해명으로 넘어갈 수 있는 단계를 벗어났다"고 했다.
권태호 한겨레 논설위원실장은 10일 뉴스브리핑 <명태균에 끌려가는 대통령실, 뭘 숨기려 하나>에서 "대통령실의 대응은 매우 미온적"이라며 "이전에 ‘바이든-날리면’, ‘대통령 관저 이전 결정 과정’, ‘부산저축은행 보도’ 등에서 신속하게 언론사를 윤 대통령 명예훼손 등의 혐의로 고소해 온 대통령실의 발빠른 조치와 비교하면, 더욱 그렇다"고 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