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건희 공천개입설' 명태균 고소 "공천 대화 확인해 준 셈"
한겨레, '칠불사 회동' 잘 아는 개혁신당 관계자 발언 보도 "김영선 전 의원이 그걸 폭로할까 망설이다 끝내 하지 않은 것" 공천개입 의혹 당사자 명태균 '김영선 아닌 내가 김건희와 문자' MBC "영부인과 문자, 불만 드러낼 수 있는 사이 스스로 밝혀" 한겨레 "김영선 공천 못 받은 결과, 김건희 사전 개입 의혹 못 가린다"
[미디어스=송창한 기자] 윤석열 대통령 배우자 김건희 씨가 김영선 전 국민의힘 의원에게 보낸 텔레그램 메시지가 '의원님, 언제까지 다른 지역구로 간다고 보도자료를 내시라'는 내용이었다는 개혁신당 관계자 발언이 한겨레를 통해 보도됐다. 김 전 의원의 '정책 책사'로 알려진 명태균 씨는 김건희 씨가 김 전 의원이 아닌 자신과 텔레그램 메시지를 주고받았다고 주장하고 있다. 김 전 의원 공천 결과와 별개로 김건희 씨의 공천 개입 의혹은 커지고 있다.
20일 한겨레는 기사 <정치권 덮친 ‘김건희 공천개입설’…김영선 공천탈락 전후 어떤 일?>에서 김 전 의원과 명 씨, 개혁신당 이준석·천하람 의원 등이 지난 2월 29일 경남 하동 칠불사에서 만남을 가졌다며 "김 전 의원은 김 여사가 등장하는 텔레그램 갈무리 사진을 보여주며 개혁신당 비례대표 공찬 가능성을 타진했다고 한다"고 보도했다. 이준석 의원은 한겨레에 "김 전 의원이 '억울해서 할 말이 있다'고 해서 새벽에 칠불사로 내려갔더니, 김 전 의원이 (텔레그램 대화)캡처 화면을 보여줬다. 1시간 정도 얘기를 나누다 올라왔다"고 말했다.
한겨레는 이어 당시 상황을 잘 아는 개혁신당 관계자 발언을 전했다. 개혁신당 관계자는 김 전 의원이 보여준 문자에 대해 "김 여사가 '의원님, 언제까지 다른 지역구로 간다고 보도자료를 내시라'는 내용이었다"며 "김 전 의원이 그걸 폭로할까 망설이다가 끝내 하지 않은 것"이라고 말했다.
한겨레는 지난 7월 김 전 의원을 만나 '김 여사가 김해로 지역구를 옮긴다는 보도자료를 내라고 했느냐'고 물었다고 밝혔다. 김 전 의원은 "이미 다 지나간 일"이라며 "(당시)김 여사의 얘기도 안 통했다"고 말했다고 한다. 김 전 의원은 지난 총선에서 자신의 지역구인 경남 창원의창을 떠나 민주당 현역이 있는 김해갑 출마를 선언했으나 컷오프(공천 배제)됐다.
지난 19일 뉴스토마토는 명 씨가 김 전 의원의 컷오프 소식을 김건희 씨로부터 먼저 전해들었다는 음성파일을 공개했다. 뉴스토마토는 "명 씨는 지난 2월 18일 오후 9시 38분 E 씨와의 통화에서 '김영선 컷오프야. 여사가 직접 전화 왔다'라며 '그러니까 빨리 기사, 빨리 내 갖고 빨리 확인하고. 그 기사를 여사한테 줘야 돼요. 나한테 빨리 보내'라고 지시했다"고 보도했다.
김건희 씨 공천개입 의혹은 2022년 6월 재보궐선거에서도 불거졌다. 당시 두 번의 비례대표를 지내고 경기 고양일산에서 재선을 했던 김 전 의원은 경남 창원의창에 공천을 받았다. 이와 관련해 뉴스토마토는 명 씨가 2022년 5월 9일 오전 10시 19분 E 씨와의 통화에서 "사모하고 전화해가, 대통령 전화해가지고(따졌다). 대통령은 '나는 김영선이라 했는데' 이라대"라며 "그래서 윤상현이, 끝났어"라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당시 윤상현 의원은 재보궐선거 국민의힘 공천관리위원장이었다. 뉴스토마토는 '윤 대통령 내외로부터 김 전 의원의 경남 창원의창 공천을 약속받았다는 뜻'이라는 E 씨의 설명을 전했다. 윤상현 의원은 뉴스토마토에 "김 전 의원이 경쟁력이 있었고, 여성이었고, 오랫동안 당에 헌신했기 때문에 공천이 된 것"이라고 했다. 한겨레는 당시 김 전 의원의 창원의창 공천은 누가 봐도 석연찮은 공천이어서 지역에서 '윗선 개입설'이 파다했다고 전했다.
명 씨는 뉴스토마토 기자 2명과 편집국장 등을 명예훼손 혐의로 19일 고소했다. 명 씨는 법률대리인을 통해 김건희 씨와 김 전 의원은 텔레그램 메시지를 주고 받은 적이 없고, 자신이 김건희 씨와 텔레그램 메시지를 주고 받았다고 밝혔다. 또 명 씨는 김건희 씨가 김 전 의원에게 전략공천을 해 줄 힘이 없다고 해 자신이 강한 불만감을 드러낸 것이 텔레그램 메시지의 내용이라고 했다.
이에 대해 MBC <뉴스데스크>는 19일 보도에서 "일단 텔레그램을 주고 받는다는 것을 인정한 것"이라며 "'영부인과 텔레그램을 주고받으며' '강한 불만을 드러낼 수 있는' 사이, 명 씨 스스로가 밝힌 영부인과의 관계"라고 짚었다. <뉴스데스크>는 "명 씨의 육성이 전부 사실이라면 대통령 부부가 공천에 개입한 것이어서 파급력은 엄청날 것"이라며 "다만, 명 씨가 자신의 정치적 영향력을 과시하려고 부풀렸을 가능성도 있다"고 했다.
같은 날 JTBC <뉴스룸>은 "명 씨가 보도가 왜곡됐다고 고소를 하는 과정에서 김 여사와 소통을 해왔고 공천 관련 대화도 있었다는 걸 확인해 준 셈이 됐다"고 보도했다.
한겨레는 20일 사설 <계속되는 김 여사 공천 개입설, 사실관계 분명히 밝혀야>에서 "명 씨의 말이 맞다 하더라도, 아무런 권한이 없는 김 여사가 선거 관계자에게 총선 관련 메시지를 보내 '교통정리'를 하는 듯한 모습은 사실이라면 도저히 용납하기 힘든 심각한 일"이라며 "이전에 어떤 대통령 부인이 이런 행동을 했던 적이 있었던가"라고 비판했다.
한겨레는 "대통령실은 앞서 김 여사의 공천 개입 의혹에 대해 '김 전 의원은 컷오프됐고 결과적으로 공천이 안 됐는데 무슨 공천 개입이냐'며, 사실관계는 제쳐둔 이상한 해명을 한 바 있다'며 "김 전 의원이 공천받지 못했다는 사후적 결과가 김 여사의 사전 개입 의혹을 가리지는 못한다"고 했다.
한겨레는 "김 여사와 관련된 숱한 논란으로 국민의 인내심이 한계에 이르고 있다. 이날 야당 주도로 통과된 ‘김건희 특검법’의 명분을 김 여사 스스로 제공하고 있다"며 "점점 커지는 공천 개입 의혹에 대해 김 여사를 비롯한 관련 당사자들은 사실관계를 분명하게 밝혀 국민들의 의구심을 해소해야 한다"고 했다.
한편, 19일 MBC경남 <뉴스데스크>는 명 씨가 2010년대 초반부터 경남에서 여론조사 기관을 운영해왔으며 2017년 무렵부터 김 전 의원과 함께 정치활동을 해 왔다고 보도했다. MBC경남은 2018년 도지사 경선에서 탈락한 김 전 의원이 창원시 진해구로 사무실을 옮기자 명 씨도 같은 건물로 옮겨 여론조사 기관을 운영했다고 전했다.
지역 정치권에서는 명 씨가 운영하는 여론조사 기관에 대한 신뢰성에 의문을 제기했다고 한다. 한 정치 컨설턴트는 MBC경남에 "여론조사 자체가 신뢰도가 낮았고 물의를 일으켜서 구설수에 오른 것으로 알고 있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서 명태균 씨의 여론조사를 찾는 사람들이 많은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MBC경남은 명 씨가 김 전 의원 지역사무실에서 총괄본부장 직함으로 활동했다고 보도했다. MBC경남은 "올해 들어 경남선거관리위원회가 김 의원과 회계책임자 등을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로 고발했고, 명 씨는 회계책임자와 갈등을 빚은 것으로 알려졌다"고 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