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TN지부 "외부 세력 동원해 회사 흔든 것은 현 경영진”

김백, '사영화 위법성 추가 자료 공개' 기자회견 반발 "외부 세력의 회사 흔들기, 정치적 목적…내란죄 중히 처벌" 경영진, 직원 시절 류희림 민원사주에 'YTN 처벌' 민원 "김백이 말한 ‘내란과 외환의 죄’와 무엇이 다른가”

2024-09-03     고성욱 기자

[미디어스=고성욱 기자] 김백 YTN 사장이 ‘사영화 과정’의 문제제기에 대해 ‘외부 세력과 연계해 회사를 혼란의 빠뜨리려는 정치적 목적의 해사 행위’라며 “국가에서도 내란과 외환의 죄는 중히 처벌한다”고 엄포를 놓았다. 

이에 대해 전국언론노동조합 YTN지부는 현 경영진이 ‘류희림 민원사주 의혹’에 연루됐다면서 “김 사장이 말한 ‘내란과 외환의 죄’와 무엇이 다른가”라고 따져물었다. 이어 YTN지부는 “사장의 노골적인 정파성이 사내 분위기를 옭아매면서 YTN을 무너뜨리고 있다”고 규탄했다.

김백 YTN 사장 (사진=YTN)

언론노조 YTN지부는 3일 성명을 내어 “김백 사장이 확대 간부회의에서 ‘파렴치한 해사 행위’ ‘내란과 외환의 죄’ 등 노조를 향해 험한 말을 쏟아냈다”며 “기획조정실은 ‘억지와 괴담’에 대응할 가치가 없다면서도 기자회견 내용을 장황한 글로 반박했다. 민영화됐으니 민영화에 반대하면 해사 행위라는 주장에 대해서는 대꾸할 가치조차 느끼지 못하지만, 몇 가지는 분명히 짚고 넘어가겠다”고 말문을 열었다. 

언론노조 YTN지부는 지난달 28일 <‘YTN 사영화’ 위법성 추가 자료 공개> 기자회견을 열고 유진그룹이 방송통신위원회에 제출한 ‘최대주주 변경 신청서’에 책 내용을 복붙(복사+붙이기)하고 전문가의 발언을 왜곡해 실었다는 내용의 자료를 공개했다. 

또 유경선 유진그룹 회장이 ‘사장추천위원회’ ‘임면동의제’ 등 YTN의 기존 공정방송제도를 긍정적으로 평가했으며 방통위 ‘최대주주 변경 심사’ 자문위원 8인 중 6인이 ‘사추위 폐기’ 반대 입장을 밝혔다고 전했다. 언론노조 YTN지부는 지난해 11월 방통위의 ‘YTN 사영화’ 보류 결정 이후 유진그룹 측이 ‘사추위 폐기’로 입장을 번복했으며 방통위는 자문위의 의견을 묵살하고 사영화를 강행했다고 밝혔다. 

김백 사장은 2일 확대 간부회의에서 해당 기자회견을 거론하며 “민영화가 법적으로 완결돼 새로운 경영진이 들어온 이후에도 이러한 주장을 하는 것은 해사 행위”라고 말했다. 김 사장은 “그것도 외부 세력과 연계해 회사를 혼란의 빠뜨리려는 행위를 공개적으로 하는 것은 도를 넘은 일"이라며 "외부세력이 회사를 흔드는 것은 정치적 목적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김 사장은 ”국가에서도 내란과 외환의 죄는 중히 처벌한다"며 "과거 회귀 세력은 지금의 민영화 체제를 부정하고 과거의 노영 방송 체제로 돌아가자고 하는데, 저는 공영방송 체제가 절대 선이고, 민영 방송은 악이라는 주장에 동의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김 사장은 “(민영 방송인)SBS가 공정한가, (공영방송인)MBC가 공정한가"라고 반문했다고 한다. 

전국언론노동조합 YTN지부가 29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YTN 사영화 날치기·짜깁기 유진그룹 적격심사 불법 증거들' 기자회견을 열었다.(사진=미디어스)

YTN 기획조정실도 1일 사내 게시판에 “‘YTN 언론노조’의 주장은 배경이 다른 ‘사실’을 뒤섞은 견강부회이거나 ‘황당한 거짓말’”이라며 YTN지부의 기자회견 내용을 반박했다. YTN 기획조정실은 “‘억지와 괴담’에 일일이 응대할 가치는 없지만, 회사의 근본을 허물고 새로운 거버넌스를 부정하는 행위에 대해서는 법과 원칙에 따라 엄정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언론노조 YTN지부는 “‘외부 세력’을 동원해 회사를 흔든 건, 조합이 아니라 현 경영진”이라며 “대표적인 것이 방송통신심의위원회 민원사주 사건으로, 류희림 위원장까지 동원된 조직적인 범죄행위에 사측 인사가 포함됐다는 게 국회 청문회 과정에서 밝혀졌다"고 강조했다. YTN지부는 "회사를 처벌해 달라고 민원 넣어 제재받게 만든 직원들이 버젓이 경영진 자리에 올라와 있는 것이 김백 사장이 말한 ‘내란과 외환의 죄’와 무엇이 다른가”라고 따져 물었다. 

이어 “사측은 아직도 ‘노영방송’ 타령 그칠 줄 모르는데, 현재 YTN 간부의 절대 다수가 방송노조 조합원”이라며 “그렇다면 지금의 YTN은 ‘노영방송’이 아닌가”라고 받아쳤다.  

김백 YTN 사장이 지난 4월 1일 언론노조 YTN지부의 반발 속에 출근하고 있다.(사진=언론노조 YTN지부)

언론노조 YTN지부는 ‘SBS가 공정한가, MBC가 공정한가’라는 김백 사장의 발언에 대해 “아마도 SBS를 더 공정하다고 생각하는가 본데, 각종 신뢰도 조사에서 1위는 MBC”라며 “여론과 괴리돼 정권에 대한 비판 보도를 불공정으로 여기는 사장의 인식이 단적으로 드러난다. 사장의 노골적인 정파성이 사내 분위기를 옭아매면서 YTN을 무너뜨리고 있다”고 비판했다.

언론노조 YTN지부는 “사내 권력 운운하는데 조합은 그런 것에 관심 없다. 언론장악의 외주화나 다름없는 YTN 강제 매각의 진실을 밝히고, YTN을 정치·경제 권력으로부터 자유로운 신뢰도 1위 언론사로 만들고 싶을 뿐“이라고 강조했다.

YTN 사측은 미디어스에 “노조가 김 사장의 발언에 대해 입장을 낸 것이기 때문에 입장을 낼 것이 없다”고 말했다. ‘엄정 대응은 징계를 의미하는 것인가’라는 질문에 사측은 “사규에 대한 원칙을 말한 것”이라고 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