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신료 통합징수 요구하기에는 부족하다"는 KBS 사장
노종면 "사장으로서는 0점 아닌가" 박민 "이렇게 해야 KBS 구할 수 있다" 수신료 분리징수 직무유기, 전 사장 해임 사유
[미디어스=고성욱 기자] KBS 박민 사장이 “수신료가 분리징수된 데에는 이유가 있다”면서 “다시 분리고지를 통합으로 해달라고 먼저 요청하기에는 공정성이나 방만경영 혁신이 부족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28일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의 ‘2023회계연도 결산' 심사에서 노종면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문제는 수신료가 얼마나 줄어들 것인가인데, 수신료 분리징수를 여전히 동의하는 입장인가”라고 물었다. 이에 박민 사장은 올 상반기 KBS 적자 239억 원에서 특별명예퇴금으로 지급한 190억 원을 제외하면 51억 원이라면서 이같이 말했다.
이에 노 의원은 “KBS 사장으로서는 0점 아닌가, 회사가 살아야 할 것 아닌가”라면서 “어떻게든 정부와 국민을 설득해야지 지금 (취임한 지)9개월 지났는데 아직까지 한 게 없지 않냐. 그런 소신을 지키려면 KBS 사장 왜 하냐”고 지적했다.
박 사장은 “저는 이렇게 해야지 KBS를 구할 수 있다는 생각”이라며 “어떻게 생각하는지 모르겠지만, 저는 제가 옳은 길을 가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박 사장은 “저는 나름대로 열심히 하고 있고, 제가 취한 조치를 직원들이 자기 희생에도 불구하고 따라준 것은 이 방향으로 가는 게 틀리지 않다는 것에 동의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판단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수신료 분리징수 직무유기는 김의철 전 사장의 해임 사유 중 하나다. 지난해 KBS 여권 이사들은 ▲무능 방만 경영 ▲불공정 방송으로 인한 대국민 신뢰 상실 ▲수신료 분리징수 직무유기 ▲직원 다수의 해임 요구로 인한 리더십 상실 ▲편향된 인사정책 등을 이유로 김의철 전 사장에 대한 해임 제청안을 강행 처리했고 윤 대통령은 이를 재가했다.
박민규 의원은 “특히 황당한 것은 TV수신료를 법률로 규정하자는 방송법 개정안에 대한 KBS의 입장이 확 바뀌었다"고 지적했다. 박 의원은 “지난해 7월 변재일 의원이 발의한 법 개정안에 대해서는 그 당시 사장이 ‘꼭 필요하다’는 입장을 냈는데, 22대 국회에서 발의된 똑같은 법에 대해 의견을 물어보니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면서 "경영 악화를 이유로 해임된 전 사장과 비교해 현 사장은 경영 상황 변화를 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 있는 것인가”라고 따져 물었다.
이에 박 사장은 “전임 거버넌스가 물려준 여러 가지 부담이 큰 것도 사실이고, 그래서 그걸 기반으로 올 초 예산 편성 자체를 1431억 원 적자 예산으로 편성할 수밖에 없었다”고 답했다.
박 사장은 ‘수신료를 인상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나’라는 질의에 대해서 “정말 공정성이나 경영상의 혁신을 통해 국민이 ‘그 정도 했으면 됐다’고 하면 수신료를 올릴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훈기 민주당 의원은 박민 사장 취임 이후 KBS의 운영이 ‘KBS 장악 문건’에 적시된 내용대로 진행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해당 문건은 사장으로 낙점되기 전에 만들어진 문건 같은데, 사장은 모른다고 하지만 지금 이 문건대로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여러 의혹을 사는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3월 31일 MBC <스트레이트>는 '위기는 곧 기회다 !!!'라는 제목의 KBS 대외비 문건을 공개했다. 해당 문건에 ▲국민 신뢰 상실에 대한 진정성 있는 대국민 담화(사과) 준비 ▲사장 취임 후 임원, 센터장, 실국장 인사를 통해 조직 장악 ▲정원 축소 및 인력 감축 선언 ▲임명동의제 파기 및 단체협약 체결 거부 ▲우파 인사 통한 조직 장악 등이 적시됐다
그러자 박 사장은 “(문건에)김 전 사장의 가처분 신청이 기각된다는 내용이 나오는데, 그것은 그 내용이 나오기 전에는 작성할 수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며 “제가 경영계획서를 제출한 게 9월인데 거기에 이런 내용이 다 들어가 있다. 누가 이걸 어떻게 만들었는지 모르겠지만, 이걸 보고 (회사를 운영)한 게 아니다”고 말했다. 박 사장은 “(문건 내용과)전혀 다른 형태의 비전을 제시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KBS 장악 문건'에 적힌 내용 중 상당수가 이미 실행됐거나 추진 중이다. 박 사장은 취임 직후 전략기획실장·보도본부장·편성본부장 등 주요 간부진 전원을 교체했고, 취임 이틀 뒤 자사 보도가 불공정했다는 대국민 사과 기자회견을 열었다. 후보자 인사청문회 당시 '인력 감축'을 시사한 박 사장은 특별명예·희망퇴직을 실시한 것에 이어 ‘무급휴직’을 단행했다. 이 또 박 사장은 임명동의제를 무력화했으며 현재 KBS는 무단협 상태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