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일보, NHK 교토국제고 가사 왜곡 '중일마'
1~3면에 한일 경제·문화 교류 부각…"친일·반일 소모적" 기자수첩 "NHK, '동쪽 바다'로 내보냈지만 항의 없어" 일본 네티즌, 조선일보 칼럼 문구 게재하고 "???" 서경덕 교수, NHK '동해' '한국의 학원' 가사 왜곡·항의
[미디어스=고성욱 기자] ‘뉴라이트 독립기념관장’ ‘KBS 광복절 기미가요 방송’ 논란 가운데 조선일보가 한일 경제·문화 교류 확대를 부각하는 기사를 연이어 보도했다.
조선일보 기자는 기자수첩에서 일본 공영방송 NHK가 ‘동해’ 가사를 '동쪽의 바다'로 번역, 방송했지만 비판 여론은 듣지 못했다면서 “오페라에 기미가요가 잠시 나온다고 그렇게까지 민감하게 반응해야 하는지는 한번 생각해볼 문제”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NHK가 ‘동해’ 가사를 ‘동쪽의 바다’로, ‘한국의 학원’을 ‘한일의 학원’으로 번역해 왜곡 논란이 일고 있다.
조선일보는 21일 1~3면에 걸쳐 한일 경제·문화 교류가 확대된 반면 정치권은 반일을 조장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조선일보는 1면에 배치한 기사 <정치권의 ‘못난 反日’>에서 올 상반기 국내 음원 시장에서 J팝(일본 대중음악)이 급성장했고, K팝(한국 대중음악)은 일본의 주류로 자리매김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조선일보는 “더불어민주당이 친일 행위를 옹호한 이들의 공직·공공기관 진출을 막고, 독도 영유권을 부정하는 발언을 처벌하는 입법을 추진하겠다고 하는 등 정치권에선 반일(反日) 공세가 이어지고 있다”며 “민간에서 문화뿐 아니라 기업 활동, 연구·개발(R&D) 등 일본과의 장벽이 허물어지며 양국의 협력이 강화되는 현실을 감안하면 이 같은 친일·반일 편 가르기는 옛 틀을 벗어나지 못한 소모적 정치 논쟁이라는 지적이 나온다”고 보도했다.
조선일보는 “문재인 정부 시절 외교 분쟁이 촉발한 무역 갈등을 겪은 한국과 일본은 지난 몇 년 사이 기업 활동과 민간 소비가 상호 간에 회복되면서 활발한 교류가 이뤄지고 있다”고 했다.
조선일보 2면에 김동현 기자의 <공영방송에 “동해바다~” 노래 나와도 日선 아무말 없었다> 기자수첩이 실렸다. 김 기자는 NHK가 재일한국계 교토국제고의 교가를 생중계하며 ‘동해’ 가사를 ‘동쪽의 바다’라고 번역해 사실상 그대로 내보냈다면서 “하지만 이에 대해 일본 사회에서 비난이 일었다거나 NHK에 항의가 쇄도했다는 이야기는 듣지 못했다”고 적었다.
김 기자는 “교토국제고의 선전(善戰)을 계기로 NHK에 반복해서 흘러나오는 ‘동해’란 단어와 이에 대한 일본인들의 무심한 태도를 보면서 지난 광복절 한국에서 일어난 일을 돌아보게 됐다”면서 KBS가 광복절 당일 ‘기미가요’가 배경음악으로 사용되는 오페라 <나비부인>을 방영해 시청자들의 비판이 쏟아졌던 소식과 비교했다.
김 기자는 “식민지 역사를 기억하는 한국 국민은 일본과 관련한 사안에 훨씬 예민하고 즉자적으로 반응하는 것이 당연하다”면서 “그럼에도 우리가 유럽 거장의 대표적 오페라에 기미가요가 잠시 나온다고 그렇게까지 민감하게 반응해야 하는지는 한번 생각해볼 문제가 아닐까 싶다. 한국의 경제 수준이 이미 일본을 따라잡았고, 무엇보다 문화적으론 일본을 앞질렀다는 세계의 평가를 받는다는 사실을 떠올리면 더욱 그렇다”고 말했다.
그러나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21일 SNS에 NHK가 교토국제고의 교가를 전하면서 고유명사인 ‘동해’를 ‘동쪽의 바다’로 바꿨고, ‘한국의 학원’이라는 가사도 ‘한일의 학원’으로 원래 뜻과 다르게 송출한 것은 명백한 잘못이라며 항의 메일을 보냈다고 밝혔다. 서 교수는 "4강전에서는 반드시 똑바로 표기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또 일본 전국고교야구선구권대회에서 한국어 교가가 방송될 때마다 일본 극우 세력은 인터넷과 SNS에 혐한 게시물을 지속적으로 올리고 있다. 한 일본 네티즌은 X(구 엑스) ‘NHK에서 한국어 교가가 흘러도 일본에서는 아무 소란도 되지 않았다’는 조선일보 칼럼을 게재하며 “???”라고 의문을 표했다.
조선일보는 같은 면에 <한국 스타트업은 열도로… 일본 첨단기업은 한반도로> 기사를 실었다. 조선일보는 한일 산업계의 교류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면서 “기술산업계에서는 문재인 정부 당시 악화한 한일 갈등의 벽을 양국 기업들이 지난 1년 사이에 이미 허물었다는 평가가 나온다”고 보도했다. 산업계 관계자는 조선일보에 “양국 기업 간 협력 강화는 상품과 서비스 등 거래 전반에 영향을 주면서 사실상 시장 통합에 가까운 단계로 나아갈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조선일보 3면에 기사 <사라진 문화 국경… 일본 사로잡은 K팝 이어, J팝도 한국서 열풍>에서 J팝 가수들이 내한 공연을 확대하고 있고, 국내 음원 시장에서 J팝의 점유율이 성장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조선일보는 “(한일)두 나라 사이 ‘문화 국경’은 이미 무너졌다”며 “젊은이들 사이에선 상대 나라에 대한 호기심과 문화적 관심을 표현하는 것은 전혀 거리낄 일이 아니다. 일본 도쿄돔에선 한국의 걸그룹 ‘뉴진스’가 이틀 공연으로 9만여 관객을 모았고, 이제는 J팝도 한국 음악 시장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다”고 보도했다.
또 3면에 ▲<일제 치하도 아닌데… “밀정 정권” “총독부 10대 총독”> ▲<빅3 백화점, 日 캐릭터 모시기 경쟁… 유니클로도 매장 확대> 등의 기사가 배치됐다. 조선일보는 <일제 치하도 아닌데… “밀정 정권” “총독부 10대 총독”>에서 민주당이 ‘친일·반민족 행위를 찬양 고무하는 자’ ‘독도 영유권을 부정하는 자’를 처벌·규제하는 법안을 추진한다면서 “야당은 ‘친일 정부’ 공세가 여론전에서 나쁘지 않다고 보고 있다”고 전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