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C 앞에 모인 공영방송 이사들 "윤 정부, MBC마저 장악하려 해"

KBS·방문진·EBS 이사 '방통위 이사 선임 중단 촉구' 기자회견 "방문진 이사 교체되면 MBC는 박민 체제의 KBS 될 것" "공영방송 진통, 해결의 첫 단추는 이진숙 사퇴" 언론장악저지공동행동 '이진숙 사퇴 촉구' 긴급 기자회견

2024-07-05     고성욱 기자

[미디어스=고성욱 기자] KBS·MBC·EBS 이사들이 2인 체제 방송통신위원회의가 의결한 공영방송 이사 선임 계획은 불법이라고 규탄했다.

이들은 또 이진숙 방통위원장 후보자에 대해 ‘편협되고 적대적 시각’을 여과 없이 드러내면서 '합의제 기구' 수장 자격이 없음을 스스로 증명하고 있다며 사퇴를 촉구했다.

공영방송 이사 14인은 5일 서울 상암동 MBC 사옥 앞에서 <불법적 공영방송 이사 선임 절차 중단> 긴급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날 기자회견에 ▲KBS 김찬태·이상요·정재권·조숙현 이사 ▲MBC 대주주 방송문화진흥회 권태선 이사장·강중묵·김기중·김석환·박선아·윤능호 이사 ▲EBS 유시춘 이사장·박태경·조호연 이사 등이 참여했다.

공영방송 3사 이사들이 5일 서울 상암동 MBC 사옥 앞에서 '불법적 공영방송 이사 선임 중단' 촉구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사진=미디어스)

공영방송 이사들은 “김홍일 전 방통위원장이 사퇴 직전, 대통령 추천 2인의 의결로 공영방송 3사의 선임 계획안을 기습적으로 의결한 것은 방통위법을 정면으로 위배한 결정으로 원천적 무효”라고 강조했다. 김홍일 전 방통위원장은 2일 ‘공영방송 이사 선임계획'을 강행 처리하고 자진 사퇴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4일 이진숙 전 대전MBC 사장을 후임자로 지명했다. 

공영방송 이사들은 윤석열 대통령을 향해 ▲위법 공영방송 이사 선임 절차 즉각 중단 ▲방통위 5인 정상 운영 ▲이진숙 후보자 지명 철회 ▲방송4법 등의 거부권 남용 중단 등을 촉구했다.

공영방송 이사들은 “방통위는 대통령과 국회가 추천한 상임위원 5인으로 구성해 합의제로 운영해야 하며 이는 방통위의 설립 목적인 방송의 자유와 공공성, 공익성을 높이기 위해 마련한 필수적인 구조”라면서 “특히 공영방송 이사의 선임처럼 방송의 독립과 직결되는 사안은 적법하게 구성된 5인의 방통위에서 합의로 처리되어야만 한다”고 강조했다. 

공영방송 이사들은 “위법한 계획안에 따라 공영방송 이사 선임을 강행한다면, 향후 선임된 이사들 또한 절차적 하자를 승계하여 선임의 무효를 피할 수 없을 것”이라며 “국회에서 방송4법 개정 절차가 진행되고 있지만 이사 선임계획안을 강행한 것은 국회를 무시하고 총선 민의를 배반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공영방송 이사들은 “윤석열 정부가 국회 논의조차 기다리지 않고, 공영방송 이사 선임을 서두르는 이유는 자명하다. KBS 이사장과 이사를 해임하고 사장을 해임해 KBS를 장악했듯이, 이제는 눈엣가시인 MBC마저 장악하겠다는 것”이라며 “이는 MBC 구성원을 탄압하고 권력과 결탁해 MBC 민영화를 추진했던 이진숙을 새 방통위원장 후보로 지명한 데서도 드러난다”고 지적했다.

공영방송 이사들은 “윤석열 정부는 이제라도 방송4법 개정에 동참해 방통위를 정상화하고, 공영방송 장악 기도를 멈추라”면서 “3대 공영방송 이사들은 국민의 뜻을 받들어 부여받은 소임인 공영방송의 독립성과 공정성을 지키기 위해 끝까지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진숙은 누구‥공영방송 탄압 주역에 극우적 성향까지 (2024.07.04/뉴스데스크/MBC)

권태선 방문진 이사장은 ‘MBC 사영화에 대한 우려가 나온다’는 질문에 "MBC는 방송민주화 운동의 결과로 공영방송이 된 것”이라며 “사영화를 추진할 수도 없고, 추진해서도 안 된다. 국민들이 가만히 두고 보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재권 KBS 이사는 “공영방송을 둘러싸고 사회적 진통이 큰데, 해결의 첫 단추는 이진숙 후보자의 사퇴”라며 “이진숙 후보자는 언론에 보도된 것처럼 매우 편협되고 적대적인 시각을 드러내고 있다. 합의제 기구의 최고 책임자가 갖춰야 할 여론 다양성 보장, 갈등 조정 등의 자질이 전혀 없음이 드러났다"고 지적했다. 정 이사는 "우선 이진숙 후보자가 사퇴하고, 정부와 여당은 방송4법 개정 논의에 참여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조숙현 KBS 이사는 현 방송법 체제에서 MBC 이사진이 교체되면 MBC가 현재 ‘박민 사장 체제의 KBS가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조 이사는 “현 박민 사장 선임 절차 당시 KBS 이사회는 이사장이 표결에 붙이지 않고 퇴장하는 등 파행적 과정이 있었다”며 “이후 KBS 이사회는 회사 측에 불리한 사안에 대해 논의 자체가 되지 못하는 구조로 변했다. 이런 것이 MBC에도 반복될 수밖에 없다는 생각에 우려된다”고 말했다.

같은 날 90여개 언론시민사회들로 구성된 언론장악저지공동행동(공동행동)은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이진숙 방통위원장 후보 지명 철회 촉구> 긴급 기자회견을 열었다.

공동행동은 “윤석열 대통령이 초단기 방송통신위원장이 될지도 모르는 인물을 내리꽂는 이유는 단 하나”라며 “윤 정권의 마지막 방송장악 대상인 MBC를 사영화하겠다는 의도”라고 규탄했다. 

공동행동은 “국민들은 무도한 공영방송 파괴 범죄 역시 결코 용서하지 않을 것임을 재차 경고한다”면서 “이진숙 후보자는 공영방송 언론인 출신으로 일말의 양심이 있다면 스스로 물러나라”고 촉구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