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원식 국회의장 후보 "방송3법 재입법 위해 최선 다할 것"
언론현업 4단체와 '언론현안' 간담회 개최 "방송3법 재입법 통해 언론자유 지키려는 언론노조 지지" 현업단체들 '윤 대통령 거부권 견제' '여야 합의 도출' 주문
[미디어스=고성욱 기자] 우원식 국회의장 후보가 22대 국회에서 '방송3법 재입법'에 대한 의지를 밝혔다.
우 후보는 29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 전국언론노동조합 사무실에서 언론노조, 한국기자협회, 방송기자연합회, 한국영상기자협회 등 언론현업단체와 언론개혁 관련 간담회를 진행했다.
이날 우 후보는 “방송3법 재입법 등 언론개혁을 통해서 언론자유를 지키려는 언론노조를 지지한다"며 "저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우 후보는 국경없는기자회가 발표한 한국의 언론자유지수가 47위에서 62위로 급락한 것을 거론하며 “올해 언론자유 국가에서 ‘문제 있는 집단’에 포함됐는데, 참 안타까운 소식”이라고 했다.
우 후보는 “언론자유의 역사는 오랜 기간 어린 학생부터 어른까지 사회 모든 구성원들이 함께 쌓아올린 자랑스러운 역사"라며 "언론자유를 역행하는 일은 일시적으로 성과를 낼 수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절대로 성공할 수 없음이 자명하다”고 했다.
우 후보는 “모든 정권이 갖춰야 할 덕목이 많지만 가장 중요한 부분이 자신과 다른 의견, 특히 자신의 생각에 반하는 정치적 견해를 듣는 자세”라며 “언론과 대화하고 민심에 답하는 것이 기본이다. 언론의 자유를 해치는 것은 자신을 해치는 것과 같다”고 윤석열 정부를 비판했다.
윤창현 언론노조 위원장은 “국회의장이 언론노조 사무실을 방문한 게 창립 이래 처음인 것 같다”며 “무엇보다 언론자유에 대한 새 의장의 관점, 민주주의에 대한 소신을 확인하게 되는 것 같아 더 기쁜 마음”이라고 말했다.
윤 위원장은 “언론개혁 과제를 이제는 국회가 풀어야 한다”며 “윤석열 정부 들어 민주주의가 후퇴하는 과정을 보면 국회의 입법권이 침해되는 시행령 정치를 통해 TV수신료 문제를 포함한 언론탄압이 이뤄지고 있다. 다음 국회의 역할은 이런 과정을 바로잡아 나가는 것”이라고 말했다.
윤 위원장은 “방송3법 조기 입법과정에서 의장의 여러 역할이 있을 것”이라며 “그 과정에서 절차적 정당성을 만들어 달라. 윤석열 정권이 남발하고 있는 거부권 문제에 대해 입법부 수장으로서 명백한 경고와 견제 역할을 해주는 게 중요할 것 같다"고 했다.
박성호 방송기자연합회장은 “방송법은 여야 모두 개정안을 발의했던 법안으로 보수 진보의 문제가 아니다. 그러하면 어떤 쟁점법안보다 타협의 접점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 회장은 “(방송3법이)대화와 토론이 핵심인 의회에서 국민들 앞에 대화와 타협의 정치가 무엇인지 몸소 보여줄 수 있는 모범적인 시험대가 될 수 있을 것”이라며 “여야가 방송법을 합의해 좋은 결과물을 보여주는 것은 22대 국회가 업그레이드 됐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본다. 이를 위해 국회의장이 독려해주고 이끌어줬으면 한다”고 했다.
박종현 한국기자협회장은 “방송3법, 언론자유와 더불어 지역언론의 생존 문제가 중요하다"며 "위태로운 지역언론의 지속적인 생존이 한국 사회의 지속성에도 중요하기 떄문에 그런 부분을 염두에 둬 달라”고 했다.
나준영 영상기자협회장은 “공영방송 종사자들은 2010년대 낙하산 사장을 반대하면서 퇴진 운동을 했는데 그런 상황이 되풀이되는 것에 광장히 분노하고 있다”며 “(방송3법 재입법이) 후순위에 밀리지 않도록 해줬으면 한다"고 말했다. 이어 나 협회장은 “심의기구가 공영방송에 가하는 부당한 압박도 어려움으로 작용하고 있다"며 방송통신심의위원회 개편 논의도 당부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