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대 국회, 방송3법·국정조사로 '국민 입틀막' 막아야"
90개 언론·시민단체 '언론장악저지행동' 총력결의대회 "언론·민주주의 파괴, 언론인과 국민이 몸으로 체험 중" 8월 MBC 대주주 교체… "'정권의 방송' 막으려면 방송3법 절실"
[미디어스=고성욱 기자] “입틀막 거부한다”
90여개 언론·시민사회단체 연대체인 '언론장악저지공동행동'이 22대 국회에 '언론장악 국정조사'와 '방송3법 재입법'을 촉구하기 위해 여의도에 모였다. 이날 주최 측 추산으로 200여 명이 참석했으며 권영길 초대 언론노조 위원장 등 언론계 원로 인사들도 동참했다.
이들은 개원을 앞두고 있는 22대 국회를 향해 ▲방송3법 재입법 ▲윤 정권 언론장악에 대한 국정조사 시행 ▲방통위·방통심의위 개편 등 미디어 현안 논의를 위한 미디어개혁특위 설치 등을 촉구했다. 이들은 “언론의 표현의 자유를 제도적으로 보장하기 위한 모든 노력을 다하고, 이를 침해하려는 권력의 어떠한 야욕에도 단호히 맞서겠다”고 다짐했다.
모두 발언에서 윤창현 언론노조 위원장은 “윤 정권의 어처구니없는 언론장악, 민주주의 파괴를 현장 언론인들은 몸으로 체험하고 있다”며 “이런 상황을 하루빨리 끝내야 한다. 방송3법의 당위성, 언론장악에 대한 국정조사 필요성을 윤 정권이 몸소 증명해 보이고 있지 않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윤창현 위원장은 “8월 MBC 대주주 방송문화진흥회 이사진, 9월 KBS 이사회가 모조리 바뀌게 된다”며 “새로운 방송법 체제하에 방송의 중립성을 지켜낼 자격을 갖춘 이사들이 선임되지 않으면 윤 정권은 언론을 깨부수고 장악을 실현해 나갈 것인데 막아야 하지 않겠나”라고 말했다. 윤창현 위원장은 “언론 노동자들이 앞장서서 윤 정권의 언론장악, 민주주의 파괴를 박살내자. 원래 국민의 것이었던 언론자유와 방송 독립을 제자리로 돌려놓자”고 강조했다.
윤 정권의 언론탄압을 체감하고 있는 노조 대표자들도 방송3법 재입법을 촉구했다. 박상현 언론노조 KBS본부장은 ▲박민 KBS 사장 취임 과정 ▲KBS 앵커 ‘파우치’ 발언 ▲세월호 10주기 다큐 불방 사태 ▲<역사저널 그날> 낙하산 진행자 논란 ▲수신료 분리징수 등을 거론하며 "방송3법을 제때 처리하지 못해 발생한 결과들“이라고 했다. 박 본부장은 ”이런 것을 끊기 위해 22대 국회에서 반드시 방송3법을 재입법 해야 하고, 국정조사를 통해 만행을 일삼은 이들의 죄를 낱낱이 밝혀 법적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호찬 언론노조 MBC본부장은 “‘특검을 거부하는 자가 범인’이라는 말이 정치권에서 나온다. 방송3법도 ‘거부하는 자가 방송 독립성 침해 주범’”이라며 “정권이 낙하산 인사를 통해 공영방송을 좌지우지할 수 없게 만드는 법을 왜 반대하나"라고 따져 물었다.
이호찬 본부장은 “MBC 구성원들에게 방송3법 재입법은 너무도 절실하다. 8월 MBC의 입도 틀어막히면 국민의 입은 완전히 틀어막히게 된다"며 “저들이 공영방송을 비난하며 내걸었던 명분이 새빨간 거짓말임을 우리 모두가 확인했다. 저들이 원하는 공영방송은 국민의 방송이 아닌 정권의 방송이고, 저들이 말하는 민영화는 적폐 세력의 부활을 위한 민영화”라고 했다.
이호찬 본부장은 “결국 자신의 입맛에 맞지 않는 방송국 하나 없애버릴 수 있다고 것이 윤 정권”이라면서 “MBC를, 공영방송을 함께 지켜달라”고 호소했다.
고한석 언론노조 YTN 지부장은 “YTN에 윤 정권과 유진그룹이 내리꽂은 낙하산 김백 사장의 불공정 행위를 신고해달라는 백신 센터가 설치됐다”며 “YTN 언론노동자들은 YTN 지분이 매각됐지만 절대 지치지 않고 끝까지 싸울 것”이라고 말했다. 고한석 지부장은 “YTN 강제 매각 과정은 불법으로 점철돼 있다”며 “이 모든 과정에 대한 국정조사가 반드시 필요하다. YTN 국정조사는 단지 YTN을 정상화시키기 위한 길만이 아닌 윤 정권의 언론장악 전반의 실체를 밝히는 단서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송지연 언론노조 TBS지부장은 “많은 분들이 6월 1일 이후 TBS가 어떻게 되냐고 궁금해 하시는데, 저도 모른다. 지금쯤이면 저도 답을 알아야 하는데, 아무도 TBS에 대해 책임지는 사람이 없기 때문"이라며 "문민정부 이후 공영방송이 정권에 의해 문을 닫는 사례를 보게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송지연 지부장은 “TBS는 서울시, 행정안전부, 방통위, 서울시의회 등 모든 법적 절차에 따라 재단이 됐다"며 "그 제도들이 권력 구조가 바뀌었다고, 특정 프로그램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고 폐지되는 행정으로 이어진다면 그 사회가 지속 가능한가”고 반문했다.
송지연 지부장은 “국민의힘 시의원들은 TBS 폐국 근거로 선거 승리를 말하는데, 지난 총선 결과에서 국민의힘은 완패했다. 그럼 이제 TBS를 없앨 명분이 사라진 것 아닌가”라면서 “정권의 마음에 들지 않으면 입을 틀어막아버리는 입틀막 기조가 어떤 결과를 낳을지 오세훈 서울시장과 시의회는 분명히 알아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김준희 언론노조 방통심의위지부장은 “류희림 위원장 체제의 폐해가 방송사에만 미치는 것이 아니다”라면서 “구글 부사장도 류희림으로부터 호통을 들었다고 하고, 조선일보도 불려나왔다. 류희림 체제의 대언론, 대시민 광역 도발이 갈수록 가관인데 이제는 동료 위원들의 발언까지 '입틀막'하겠다고 나섰다”고 비판했다.
김준희 지부장은 “이런 일들을 하도 겪어 비현실적으로 느껴질 때가 많다”며 “류희림을 남은 임기 두 달 안에 반드시 쫓아내겠다는 각오로 싸우겠다. 쫓겨난 이후에도 언론 농단의 책임을 낱낱이 묻겠다”고 했다.
이들 단체는 국회 앞에서 결의 대회 후 KBS 사옥과 국민의힘 당사까지 행진을 진행을 진행했다. 이어 국민의힘 당사 앞에서 방송3법 재의결에 동참하라고 촉구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