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BS 폐지 조례' 시행 열흘 앞 "오세훈 시장, 폐국만은 막아달라"
TBS양대노조 "선의와 노력을 정치적 결단으로 증명해달라"
[미디어스=고성욱 기자] ‘TBS 지원 폐지’가 열흘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TBS 양대노조(TBS 노동조합, 전국언론노동조합 TBS지부)가 오세훈 서울시장을 향해 “출연기관 해제는 TBS 폐국과 동시에 방송노동자의 생계권 박탈과 다름없다”라고 호소했다.
또 TBS 양대노조는 서울시의회에 대해 “평범한 시민의 한 사람이자 성실히 복무했던 250여 구성원과 그 가족의 생계까지 외면하지 말아 달라. 폐국만은 막아달라”고 요청했다.
국민의힘이 소속 시의원이 과반을 차지하는 서울시의회는 지난 2022년 ‘TBS 폐지 조례’ 의결을 강행했다. 해당 조례는 오는 6월 1일 시행된다. 이를 통해 TBS 전체 예산의 70%를 차지하는 서울시 지원이 중단된다. 당장 다음 달부터 방송 송출을 위한 필수 인력을 제외하고 모두 무급휴직에 들어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서울시는 지난달 30일 조례 시행일을 9월 3일로 3개월 연장하는 조례개정안을 시의회 의장에게 보고했으나 상임위원회 상정이 거부돼 자동 폐기됐다. 김현기 시의회의장 등 국민의힘 서울시의원들이 지원 연장에 강력히 반대하고 있다.
TBS 양대노조는 21일 성명을 내어 오 시장을 향해 “직접 친서를 쓰면서 TBS 구성원의 생계를 챙겼던 오세훈 시장이기에 TBS 구성원들은 믿고 기다렸고, 사측은 이미 TBS 지속 운영안을 서울시에 전달했는데 폐지조례안 실효가 채 열흘밖에 남지 않은 현재까지도 사태 해결을 위한 희망적인 소식은 전해지지 않고 있다”며 “오세훈 시장의 선의와 노력을 정치적 결단으로 증명해 주길 간절히 바란다”고 밝혔다.
오 시장은 지난달 24일 서울시의원들에게 친서를 보내 “상당수는 편향성과 무관한 직원들일 것이다. 그곳을 터전으로 삼아 살아가는 우리의 이웃이자 평범한 시민들은 최대한 보호받아야 한다”고 요청한 바 있다.
TBS 양대노조는 “몇몇 시의원들이 TBS 구성원 생계권과 관련한 대책 마련을 서울시 측에 요청했지만 서울시는 구체적인 방안을 내놓지 않고 있다”며 “TBS 폐지조례안이 실효되고 서울시 출연기관에서 해제된다면 지금까지 논의된 모든 지속 운영안은 물거품이 된다. 특히 출연기관 해제는 TBS 폐국과 동시에 방송노동자의 생계권 박탈과 다름없다”고 지적했다.
TBS 양대노조는 “부디 서울시는 오세훈 시장의 뜻처럼 TBS를 삶의 터전으로 살아가는 평범한 구성원들이 선의의 피해자가 되지 않도록 끝까지 최선을 다해 달라”고 말했다.
TBS 양대노조는 “서울시의회가 TBS에 바란 것은 변화와 혁신이지 방송사가 문을 닫는 초유의 사태와 그로 인한 대량 실직 사태는 아닐 것"이라며 "평범한 시민의 한 사람이자 성실히 복무했던 250여 구성원과 그 가족의 생계까지 외면하지 말아달라”고 했다.
TBS 양대노조는 이성구 대표 대행을 향해 “TBS를 소비자 정보 마케팅에 대한 플랫폼으로 만들고 싶고 이런 미디어 채널을 통해 경영 위기를 극복한 커리어를 가지고 싶다고 했는데, 구성원과 단 한 차례의 소통도 없이 소비자 채널로 만들겠다는 비전이 적절했는지에 대해서 우려를 금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
TBS 양대노조는 "지금 당장 이성구 대표 대행이 할 일은 TBS 지원 폐지조례안이 실효되는 5월 31일 이후 TBS가 어떤 상황을 맞이하며 또한 방송은 제대로 송출할 수 있는지, 방송 노동자의 생존권을 어떻게 지킬지, 최악의 상황을 상정해 매우 구체적인 실행계획을 내놓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TBS 양대노조는 "또한 오세훈 시장과 서울시의회와 적극 소통하여 TBS 구성원의 생존권 사수를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을 강력하게 요구한다"고 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