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등일보 "윤 대통령, 5.18정신 헌법수록 자기부정"…왜?
이동욱 KBS 이사 임명…5.18 민주화운동 왜곡·폄훼 "정부 가짜뉴스 척결 기조에도 정면으로 위배" 한겨레 "공영방송 장악 마지막 퍼즐 완성" 경향신문 "보궐선거 패배에도 공영방송 장악 혈안"
[미디어스=고성욱 기자] 광주 지역언론이 KBS 보궐이사 임명과 관련해 “윤석열 대통령의 명백한 자기 부정”이라고 비판했다. 경향신문은 “방송장악에만 혈안이 됐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12일 윤 대통령은 보궐이사로 5.18 민주화운동을 왜곡·폄훼한 이동욱 전 월간조선 기자를 임명했다.
이동욱 이사는 ‘박민 사장 임명제청안’에 찬성표를 던지는 것으로 첫 업무를 시작했다. 13일 열린 이사회에서 야권 이사들이 사장 후보 선출 절차에 대한 재논의와 이를 공개할 것을 요구했으나 서기석 이사장은 두 차례의 정회 끝에 표결을 강행했다. 이에 야권 이사들은 퇴장했고 여권 추천 이사들은 임명제청안을 통과시켰다.
무등일보는 12일 사설 <'5·18 왜곡' '가짜뉴스 생산자' KBS 이사 '안돼'>에서 “윤 대통령이 대선 기간 '5·18정신 헌법 수록'을 국민 앞에 약속했다는 점에서 명백한 자기 부정”이라며 “문제의 이사가 현직 기자시절 거짓주장으로 5·18을 왜곡·폄훼했다는 점에서 정부가 척결을 주장하는 전형적인 '가짜뉴스 생산자'라는 점에서 정부기조에도 정면으로 위배된다는 점에서 이현령비현령”이라고 비판했다.
무등일보는 “가짜뉴스 근절을 정책기조로 밀어붙이는 윤석열 정권이 가짜뉴스 생산 당사자를 공영방송 이사로 선임한 것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전한다”며 “이 전 기자는 기자시절 명명백백한 법적 판단까지 내려진, 피해자가 엄존하고, 국가기관과 학계 등의 검증이 끝난 5·18의 진실을 거부하고 '거짓'을 퍼트렸다는 점에서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가짜뉴스'근절 차원에서 이사 선임을 원점 재검토해야 마땅하다”고 강조했다.
이동욱 보궐이사는 월간조선 기자 출신으로 5.18 왜곡 발언을 서슴지 않았다. 그는 1996년 월간조선 4월호에 '검증, 광주사태 관련 10대 오보·과장'이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광주사태와 관련해서는 거의 모든 오보가 피해자 중심으로 쏠려 있다"고 주장해 유가족들이 공개 사과를 요구한 바 있다.
또 그는 2013년 ‘조갑제 현대사 강좌’에서 “다수 선량한 시민들이 소수 선동가에 의해 선동당한 것으로 이것이 광주사태의 실제 본질”이라고 발언했다. 이 보궐이사는 지난 2020년 국민의힘 전신 자유한국당에 의해 KBS 보궐이사로 추천됐으나 당시 방송통신위원회는 분열의 우려가 있다며 낙마시켰다.
한겨레, 경향신문은 ‘이동욱 보궐이사 임명’, ‘박민 사장 임명제청’ 강행이 윤 대통령의 독주라고 비판했다. 한겨레는 13일 사설 <KBS 사장에 ‘친윤 낙하산’, 기어이 ‘땡윤방송’ 만들 셈인가>에서 “이번 사장 공모 과정은 파행과 졸속의 연속이었다”며 “여권 이사 한 명이 돌연 사퇴하고, 그 자리에 ‘5·18 폄훼 인사’로 알려진 이동욱 전 월간조선 기자가 속전속결로 임명됐고, 결선투표 대상이던 후보 한 명도 사퇴해 박민 후보만 남았다. 결국 한국방송 이사회의 사장 공모는 ‘박민 사장 만들기’를 위한 요식 절차였다고 봐도 지나치지 않다”고 지적했다.
한겨레는 “방송의 독립성을 지켜야 할 공영방송 이사회가 정권의 뜻을 받들기 위해서라면 어떤 꼼수도 개의치 않는 행태를 보인 것"이라며 "‘친윤 낙하산’으로 꼽히는 그가 한국방송 사장으로 취임하면 지난해부터 이어져온 공영방송 장악의 마지막 퍼즐이 완성된다”고 말했다.
한겨레는 ▲방송통신위원장 교체 ▲KBS 감사원 감사 ▲TV수신료 분리징수 ▲공영방송 이사회 인위적 개편 등을 거론하며 “윤석열 정부는 지난해 정권 출범 직후부터 집요하게 방송 장악에 골몰했다. 총선을 앞두고 기어이 공영방송을 ‘정권 나팔수’로 만들겠다는 의도일 텐데, 이런 행태는 반드시 심판받는다는 것이 역사의 교훈”이라고 경고했다.
경향신문은 사설 <KBS ‘낙하산 사장’ 밀어붙이기, 이게 불통·독주 국정이다>에서 “마치 군사작전을 하듯이 방송통신위원회가 지난 11일 공석 중인 여권 보궐이사를 추천해 대통령이 재가한 뒤 이틀 만에 사장 임명 제청 절차를 일사천리로 밀어붙였다"면서 "국민은 안중에 없고 오로지 공영방송 장악에만 혈안이 됐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경향신문은 “윤 대통령이 서울 강서구청장 보선 참패에 대해 ‘선거 결과에서 교훈을 찾아 지혜롭게 변화를 추진하라’고 참모들에게 지시한 사실이 알려졌다”면서 “대통령이 변화를 주문하는 그 시간에 KBS 이사회가 공영방송 장악에 나선 것은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성찰하고 국민 목소리를 듣겠다는 것은 말뿐이지 국정은 하나도 달라진 게 없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경향신문은 “공영방송 독립은 언론자유와 민주주의의 중요한 척도로 강서구청장 보선의 교훈은 독주·불통하는 국정을 끝내라는 것”이라며 “그 변화 의지가 있다면, 윤 대통령은 KBS에 낙하산 사장을 임명하지 말아야 한다”고 촉구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