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현업단체 "이동관 지명 강행은 독재 선언"

언론노조, 기자협회, PD연합회 등 긴급기자회견 언론노조 위원장 "야권 방통위원, 들러리 말고 즉각 사퇴하라"

2023-07-28     고성욱 기자

[미디어스=고성욱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국민 60%가 반대한 이동관 대통령실 대외협력특별보좌관을 방통위원장으로 지명하자 언론현업단체들이 “독재 선언”이라고 규탄했다. 윤창현 전국언론노동조합 위원장은 “명실상부 ‘방송장악위원회’가 될 것”이라며 “야권 추천 위원은 이동관 체제에 들러리 서지 말고 총사퇴로 싸워달라”고 요구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28일 방통위원장 후보자로 이동관 대통령실 대외협력특보를 지명했다. 이동관 방통위원장 지명을 반대해 온 언론노조, 한국기자협회, 한국PD연합회, 방송기자연합회, 한국영상기자협회 등 언론현업단체는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지명 철회를 촉구했다.

언론현업단체들이 28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이동관 방통위원장 지명 철회 촉구' 긴급 기자회견을 진행하고 있다.(사진=언론노조 유튜브 갈무리)

윤창현 언론노조 위원장은 “절대다수 국민과 언론인이 안 된다고 하는 인사인 이동관 씨를 윤 대통령이 지명했다. 이 지명은 윤 대통령 스스로 앞으로 민주주의를 할 생각이 없다는 독재 선언”이라며 “대한민국에 민주적 질서가 안착된 이후 이렇게 반헌법적이고 부도덕한 인사가 지명된 사례가 있나”라고 규탄했다.

윤 위원장은 “이동관 지명을 통해 방통위는 명실상부 방송장악위원회가 될 것”이라며 “그런 기구는 대한민국에 존재할 이유가 없다. 이동관 지명반대 투쟁은 물론이고 방통위 해체 투쟁에 나서겠다. 야권 추천 방통위는 이동관 체제에 들러리를 서지 말고 전원 총사퇴로 결연하게 싸워줄 것을 요구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윤 위원장은 “민주질서를 해치는 국가기구는 멈춰 세우는 게 민주주의를 위한 길”이라고 덧붙였다.

이원희 한국기자협회 대외협력본부장은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신냉전 위기’ ‘서울-양평 고속도로 의혹’ ‘지속적인 경제불황’ 등 국민의 삶은 핍박받는 와중에 언론탄압, 학폭 문제가 제기된 이동관 특보를 방통위원장에 지명한 것에 심각한 우려를 표한다”고 밝혔다.

이 본부장은 “기자협회 회원 80%가 이동관 방통위원장 임명에 반대하고 있고, 지상파 방송뿐 아니라 종편 보도전문 채널 회원 74.5%도 반대하고 있다”며 “그럼에도 끝까지 이동관 임명을 고집하는 이유는 단 한 가지, 방송을 장악하려는 의도밖에 없다. 좌시하지 않고 주요 언론단체와 함께 끝까지 막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채훈 PD연합회장 정책위원장은 “지금 진행되는 방송장악 수순의 마지막 시스템이 이동관 지명”이라며 “이 정부는 방송을 장악하든지, 장악이 안 되면 그냥 망가뜨리겠다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이동관이 방통위원장이 되면 방송장악과 맘에 들지 않는 언론사 망가뜨리기가 가속화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 정책위원장은 “이걸 막지 못하면 윤 정권 체제 동안 방송계는 암흑의 시기가 올 것”이라며 “특히 내년 총선을 앞두고 방송을 완전히 장악하려는 시도가 극악하게 펼쳐질 것인데 방송인들은 물론 국회, 국민도 투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강성원 KBS본부장은 “이동관 홍보수석 시절, 국정원이 좌편향 인사 하나하나 색출해 보고됐었던 것이 밝혀졌다”며 “박근혜 정부 시절, 이정현 홍보수석이 세월호 보도 전화 한통으로 대법원에서 유죄를 받았다. 판결이 내려지지 않았을 뿐 이동관 씨가 훨씬 더 중범죄를 저지른 것”이라고 규탄했다. 강 본부장은 “방송장악 정점에 있던 인사를 다시 임명한 것은 다시 언론계를 유린하겠다는 의지”라며 “이미 국민으로부터 사망선고 받은 자를 다시 깨우는 주술 인사를 당장 멈춰라”고 촉구했다.

이호찬 MBC본부장은 “국정원이 생산한 MBC 장악 문건들이 이동관 수석일 때 집중돼 있고, 방송사에 대한 직간접 영향력을 행사할 목적으로 작성된 것으로 보인다고 검찰 수사팀 보고서에 적시돼 있다. 이동관이 방송장악 문건 배후임을 검찰 스스로가 밝히고 있는데 당시 서울중앙지검장이 윤석열 대통령”이라고 지적했다. 이 본부장은 “윤 대통령은 이동관의 방송장악 전과를 알면서도 그대로 임명을 강행한 것이다. 윤석열 정권은 언제까지 권력만 믿고 막무가내로 방송장악에 열을 올리나, 지금이라도 지명철회하지 않으면 국민적 심판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박유진 EBS지부장은 “교육방송 종사자로서 대한민국 방송과 언론의 공정성을 위한 정책을 수립해야 할 수장이 가장 불공정한 방법으로 자녀의 잘못을 덮어버렸다는 사실을 어떤 방식으로 아이들에게 설명해야 하냐”며 “아빠의 권력을 등에 업은 가해자는 명문대학에 입학해 잘살고 있다. EBS 구성원은 아이들에게 어떤 것이 공정이고 상식이라고 얘기해야 하나”라고 따져 물었다. 박 지부장은 “제발 윤 대통령에게 촉구한다. 이동관 지명을 철회하고 우리 미래 세대에게 여전히 공정과 상식이 살아 있다는 것을 보여주길 부탁한다”고 호소했다.

한편 미디어토마토가 지난달 19~21일간 진행한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59.9%는 이동관 방통위원장 지명에 반대했다. 미디어토마토 조사는 ARS(RDD) 무선전화방식으로 진행됐으며 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는 ±3.0%p다. 응답률은 3.0%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