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관, KBS 좌편향 파악 지시' 문건에 "처음 아냐, 갈라치기에 혈안"
언론노조 KBS본부 "윤 정권, 언론자유 뜻 있다면 내정 철회해야"
[미디어스=고성욱 기자] 차기 방송통신위원장에 내정된 이동관 대통령실 대외협력특별보좌관이 이명박 정부 청와대 홍보수석 재직 당시 국가정보원에 ‘KBS 좌편향 인사 파악’ 지시를 내렸다는 언론 보도가 나오자 전국언론노동조합 KBS본부가 “정권에 비판적인 인사를 갈라치기와 배제하는 데 혈안이 된 인물”이라며 내정 철회를 촉구했다.
27일 경향신문 보도에 따르면 2010년 6월 3일 국정원은 ‘홍보수석실 요청사항’으로 <KBS 조직개편 이후 인적쇄신 추진방안> 문건을 작성해 청와대 홍보수석실에 보고했다. 이 특보는 당시 청와대 홍보수석이었다.
해당 문건을 작성한 국정원 직원은 검찰에 “2010년 5월 28일경 BH(청와대) 홍보수석실에서 KBS 간부급 인사가(에) 반영하기 위해서 좌편향 등 부적격 간부에 대해서 파악을 해달라는 취지로 보고서 작성 지시가 있었고, 그와 같은 지시가 국정원 지휘부를 통해 저에게 시달됐다”고 진술했다. 국정원은 좌편향, 무능·무소신, 비리 연루 등의 기준으로 인사 대상자를 선정했으며 실제로 해당 문건에 ‘좌편향 인사’로 분류된 KBS 간부 일부는 프로그램에서 하차했다.
언론노조 KBS본부는 같은 날 성명을 내어 “방통위원장은 누구보다 방송의 자유와 독립성을 금과옥조로 여기고 이를 수호하기 위해 제일선에 나서야 할 사람”이라며 “그런 자리에 이처럼 정권에 비판적인 목소리를 낸 사람을 부적격 인사로 낙인찍어 갈라치기하고 배제하는 데 혈안이 된 인물을 앉히는 게 말이 되는가”라고 규탄했다.
언론노조 KBS본부는 “핵심은 당시 KBS 내부 조직 개편을 앞두고 간부급 인사가 예정된 상황에서 청와대가 이에 개입하기 위해 부적격 간부 파악에 나섰고, 부적격 간부를 규정하는 기준이 굉장히 자의적이고 정치적이었다는 점”이라며 “이동관 특보가 공영방송에 개입하려 했다는 의혹이 불거진 건 처음이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지난 14일 고민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이명박 정부 국정원이 2010년 '6·2 지방선거'를 5개월여 앞둔 1월 13일 작성한 <방송사 지방선거기획단 구성 실태 및 고려사항> 문건을 공개했다. 이 문건은 당시 홍보수석인 이동관 특보 등에게 보고됐다.
국정원은 문건에서 MBC가 좌편향 인물로 포진돼 있어 선거기간 왜곡·편파보도가 우려된다고 했다. 국정원은 당시 박성제 MBC 부장(전 MBC 사장) 등 좌편향 인물 주도로 MBC 선거기획단이 출범했다는 사찰에 해당할 수 있는 내용들을 기재했다.
언론노조 KBS본부는 “대통령은 정책에 적극 호응하고 홍보에 나서는 것이 언론자유이고 보도의 중립이라고 생각하는 건 아닌가”라며 “그렇지 않고서야 공영방송 탄압 선봉에 서있던 이동관 씨를 방통위원장에 임명하는 것인가"라고 비판했다.
언론노조 KBS본부는 "윤석열 정권은 언론 자유와 방송 독립성을 보장할 뜻이 있다면 지금 당장이라도 이동관 특보의 방송통신위원장 내정을 철회하라”고 촉구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