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관 내정? 디지털 시대에 아날로그 방통위원장인가"
여권에서도 아들 학폭 논란 우려
[미디어스=고성욱 기자] 언론개혁시민연대가 '이동관 방통위원장 유력설'과 관련해 “왜 대통령의 현직 특보이고, 디지털 시대에 아날로그 위원장인가”라며 “내정설이 사실이라면 당장 철회할 것을 요구한다”고 밝혔다.
이동관 대외협력특별보좌관이 방송통신위원장에 내정된 것으로 알려졌다. 윤 대통령은 지난달 30일 한상혁 방송통신위원장의 면직을 재가했다.
언론개혁시민연대는 7일 논평을 내어 “방송통신위원장을 임명할 때 대통령은 방송과 정보통신 분야의 전문성을 고려하고, 독립적인 운영을 보장해야 한다”면서 “그렇다면 이동관 특보는 어떠한가”라고 반문했다.
언론연대는 “폴리널리스트로 정계에 입문해 MB정부에서 그가 한 일은 대통령을 대변하고, 권력을 홍보하며, 언론을 통제하는 ‘핵심 관계자’였고, 그 이후에는 권력 주위를 맴도는 정치낭인이었다”면서 “방통위원장에게 요구되는 자질과 정반대의 인물이고, 더군다나 대통령의 현직 특보를 내정하는 것은 정치적 간섭을 천명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언론연대는 “이동관 특보는 방송, 통신 관련 경력이 전혀 없다. 방송경력이라고는 종편시사예능에 출연한 게 전부”라고 꼬집었다. 언론연대는 “동아일보에서 20년 넘게 기자생활을 한 건 사실이나 언론계를 떠난 지 15년이 훌쩍 넘었다”며 “한 번도 방송통신 관련 산업에 종사하거나 학계, 단체에서 활동한 경력이 없는 이 특보가 디지털 혁신이라는 시대적 과제를 수행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언론연대는 “디지털 환경은 1년이 무섭게, 하루가 다르게 변한다. 15년 전이면 3G폰을 쓰던 시절”이라고 덧붙였다.
언론연대는 “방통위원장은 기술 혁신을 지원하면서도 디지털 미디어가 초래하는 위험성을 예상하고 판단할 수 있는 전문적인 능력이 있어야 한다”며 “그렇지 않으면 산업 정책이 정치에 휩쓸리고, 규제 정책이 로비에 흔들리게 된다. 이 특보는 방송통신 산업에 대한 이해도와 정책 전문성을 증명받은 바가 없다”고 지적했다.
언론연대는 “미디어 공공성의 위기를 극복하고 K콘텐츠 산업이 한 단계 더 도약하기 위해서는 미디어의 사회문화적 가치와 세계 시장의 흐름을 두루 꿰뚫어 보고,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미디어콘트롤타워가 필요하다”면서 “그런데 왜 이동관인가”라고 따져 물었다.
이 특보의 아들이 2011년 하나고 학교폭력 사건의 가해자였으며 이와 관련된 은폐 논란이 일고 있다. 이를 두고 여권에서도 ‘이동관 방통위원장’ 내정설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장예찬 국민의힘 최고위원은 6일 MBC 라디오 <신장식의 뉴스하이킥>에 출연해 “(학폭 논란에 대해) 후보자로 지정이 된다면, 그 부분에 대해 국민 여러분께서 납득할 수 있는 충분한 해명이나 후속 조치, 이런 것들이 있어야 될 것”이라며 “그런 우려를 지지자분들이나 당원분들이 문자로 많이 보내주신다. 일주일 사이에 문자가 1000통 넘게 왔다”고 밝혔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