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투위 결성 48주년 성명 "어두운 시대 망령 다시 나타나"
'MBC 압박', 'YTN 사영화', 'TBS 지원조례 폐지' 지적
[미디어스=고성욱 기자] 결성 48주년을 맞은 조선자유언론수호투쟁위원회(조선투위)가 윤석열 정부를 향해 언론탄압을 멈추고 언론을 원래의 위치로 되돌려 놓으라고 촉구했다. 조선투위는 1975년 자유언론실천운동을 했다는 이유로 조선일보에서 강제 해직당한 기자 33명이 결성한 단체다.
조선투위는 6일 성명을 내어 “어두운 시대의 망령이 다시 나타나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언론의 자유를 끔찍한 과거로 되돌려놓고 있는데 윤석열 정권의 잇따른 언론탄압이 바로 그것”이라고 규탄했다.
조선투위는 현 정부의 언론탄압 행위로 ▲대통령 비속어 논란 후 MBC 압박 ▲YTN 사영화 논란 ▲TBS 지원 조례 폐지 ▲TV조선 재승인 심사 관련 방송통신위원회 간부 구속 등을 거론했다.
‘정부·여당의 MBC 압박’과 관련해 조선투위는 “법률 위반과 명예훼손 혐의로 MBC 기자와 간부 4명을 고발하고, ‘광고 탄압성’ 발언이 이어졌다”며 “그 뒤 MBC 기자의 대통령 전용기 탑승 거부 사태가 일어났고 마침내 MBC 민영화 주장까지 나왔다. MBC 민영화는 오랜 전통을 가진 한 공영방송의 죽음을 뜻한다”고 말했다.
조선투위는 “대통령실과 여당은 MBC를 맹렬히 공격하면서 문제의 발단이 된 대통령의 비속어 발언에 대해 아직까지 명쾌한 해명을 내놓은 바 없다”며 “이 ‘중대한 진실’의 문제를 왜 언론은 아직도 덮어두는가, 권력이 무서워 포기한 것인가”라고 지적했다.
YTN 사영화 문제에 대해 조선투위는 “언론 장악 시도를 노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라며 “공영방송을 사기업으로 만들어 방송을 장악하겠다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조선투위는 “공영방송의 민영화는 한마디로 언론의 ‘공공성’을 죽이는 것”이라며 “오늘의 보수 언론에서 보듯이 사적 자본 지배하에 있는 언론이 자사의 이해관계에 따라 권력과 결합하는 ‘프로파간다 언론’을 수없이 보아왔다. 그 병폐를 바로잡기 위해 소유 구조를 개혁하는 일은 언론을 ‘사유화’할 것이 아니라 거꾸로 더 많이 ‘공유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선투위는 “언론의 자유를 탄압하는 민주주의란 없다”며 “언론의 자유 없이는 민주주의를 이루어낼 수 없고, 민주주의 없이는 언론이 존립할 수 없다. 언론을 탄압하는 정권은 민주 정권이 아닌 반민주 정권”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조선투위는 “언론탄압 사례에서 보듯이 사회 곳곳에서 민주주의가 파괴되어 나라가 망가지고 있고 역사가 과거로 돌아가고 있다”며 “현 정권의 민주주의 유린 행위가 계속된다면 우리 국민은 결코 좌시하지 않을 것이고 또다시 단호한 투쟁에 나서 민주주의와 정의를 다시 세울 것”이라고 경고했다. 조선투위는 "언론탄압을 중지하고 언론을 원래의 위치로 되돌려 놓아야 한다. 모든 언론 민영화 논의나 결정을 거둬들여야 한다"고 촉구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