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털제평위, '2.0' 개편 추진…참여단체 확대, 위원 요건 신설
2015년 출범 이후 첫 개편 참여단체 15곳에서 18곳으로 100명 평가단 구성해 입점·제재 심사 차기 제평위, 올해 하반기 출범 계획
[미디어스=고성욱 기자] 네이버·카카오 뉴스제휴평가위원회(포털제평위)가 심의위원회 참여 단체를 기존 15개에서 18개로 확대하는 안을 마련했다. 제평위가 구조적 변화를 꾀하는 것은 2015년 출범 이후 처음이다.
19일 기자협회보에 따르면 제평위는 13일 전체회의에서 ‘제평위 2.0’ 개편안을 위원들에게 설명했다. 해당 개편안은 지난해 12월 한국언론학회가 발표한 ‘제평위 개선방안 보고서’를 바탕으로 마련됐다. 7기 제평위는 다음달 활동 종료를 앞두고 있으며 해당 개편안은 차기 제평위부터 적용될 예정이다. 올해 하반기 차기 제평위 출범 때까지 휴식기를 가진다는 설명이다.
개편안에 심의위원회 참여단체를 기존 15개에서 18개로 확대하는 내용이 담겼다. 제평위 운영위원회는 한국지역언론학회, 한국여성민우회, 전국미디어센터협의회 등을 신규 참여단체로 제안했으며 사무국은 이들 단체에 참여를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단체가 참여할 경우 심의위원회는 생산자·전문가·소비자단체 6곳씩으로 구성된다.
위원단 정규 인원은 단체당 1명씩 추천해 총 18명이다. 또 전·현직 위원 100여 명을 풀단으로 구성해 심사평가단 형식으로 입점 심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현재는 위원단 15개 단체가 2명씩 추천해 총 30명의 위원이 심사에 참여하고 있다.
위원 자격 요건도 신설됐다. ▲언론사 취재·보도·편집 업무 5년 이상 종사 ▲언론 관련 연구자로 박사학위 소지 ▲언론 관련 시민활동 2년 이상 ▲언론 관련 법률 자문·상담 3년 이상 등 자격 요건 ▲임기 내 제휴심사에 신청할 매체 관계자는 위원 불가 등의 요건들이 논의 중이다. 현재 각 단체의 추천 위원들은 자격 요건 없이 최대 3년 동안 활동할 수 있어 전문성 논란이 일기도 했다.
제평위 사무국은 신규 참여단체가 확정되면 각 단체 대표자들로 운영위원회를 구성해 본격적인 ‘제평위 2.0’ 출범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한편 지난해 5월 방송통신위원회는 ‘포털뉴스 신뢰성·투명성 제고를 위한 협의체’를 구성하고 제평위의 법적기구화를 추진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평위가 추진하는 자체 개편이 실현되기 어렵다는 지적도 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