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BS 이어 KBS·연합뉴스 공적 재원 손보자는 국힘
'언론 길들이기' 논란… 보도 편파성 주장 이어 이번에는 "보지도 않는데..".
[미디어스=송창한 기자] 국민의힘이 KBS 수신료·연합뉴스 정부구독료 등 미디어 공적재원을 손보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국민의힘은 언론노조 공영방송 장악설, KBS 수신료 폐지 주장, TBS 조례 폐지 추진, 대구시 연합뉴스 구독계약 해지 등을 연달아 쏟아내고 있다. '언론 길들이기' 이외에 달리 해석할 방법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
26일 국민의힘 원내대책회의에서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 간사 박성중 의원은 "국민의힘 과방위는 민노총(민주노총) 언론노조가 장악한 KBS 편파방송 해결 방안으로 수신료 분리징수안을 강력히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국민의힘 미디어특별위원회가 수신료 자율납부·폐지를 주장한 지 이틀 만이다.
박 의원은 "KBS 신뢰도는 바닥치고 있기에 수신료 강제징수가 과연 옳은 것인가 하는 의문이 든다"며 "방만 경영과 민노총 언론노조가 장악한 보도의 편파성을 해결하기 위해 수신료 분리 징수 방안을 통해 근본적인 논의를 시작해야 할 때다. KBS 편파 방송은 공영방송의 본분을 다하지 못한 채 국민의 수신료를 도둑질하고 있는 것과 다름없다"고 주장했다.
과방위원인 윤두현 의원은 연합뉴스에 지원되는 연 300억원의 정부구독료를 재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윤 의원은 "뉴스통신법에 의거해 (정부구독료가)나가는 것인데, 거기에는 공정성·정보격차 해소 등이 (명시돼)있다"며 "연합뉴스는 인터넷에 다 뜬다. 연합뉴스나 각 언론사에 국민 세금이 들어가서 공적 기능을 제대로 한다면 왜 그걸 마다하겠나. 공적 기능이 제대로 되는지 검토하고, 그에 걸맞은 세금 집행이 돼야 한다"고 했다.
윤 의원은 이날 경향신문과 인터뷰에서 '일각에서는 언론 길들이기 차원으로 볼 수 있다'는 질문에 "그렇게 말하는 분이 있다면 그 사람 마음이 그런 것"이라며 "국민 세금이 합당하게 쓰이느냐 이런 (차원이다). 어떤 형태로든 돈을 지불하면 그 정도 가치가 있다고 생각이 되도록 해야한다"고 말했다.
'여당의 KBS·MBC 비판이 연합뉴스로 이어지는 것 같아서 한 질문'이라는 경향신문 기자에게 윤 의원은 "일부에서 KBS 수신료 폐지를 얘기하는데, 나는 폐지에는 반대다. 그런데 우리가 KBS 수신료를 낼 때 KBS가 그 정도의 기능을 한다고 생각이 들도록 해야 한다"면서 "지금은 강제로 걷는다. 그게 국민 불만 아닌가"라고 말했다.
윤 의원은 "보지도, 이용하지도 않는데 왜 이용료를 내냐는 게 유럽은 기본 개념"이라며 "시청자의 선택을 받아서 하는 것이 이른바 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 원칙에 근접하다고 본다. 그래서 수신료 자율납부 얘기를 하는거고, 연합뉴스 정부구독료와 관련해 국민 세금이 쓰이는 거니까 합당한지 한번 보자는 얘기"라고 설명했다.
또 윤 의원은 "사족을 붙이겠다. 내가 언제 누구 나가라고 한 적 있나"라며 "단 한번도 없다. 심지어 한상혁 방송통신위원장의 땅 문제(농지법 위반 의혹)가 생겼을 때도 걸맞은 조치나 행동이 필요하다고 했지 사퇴하라는 얘기 안 했다"고 말했다.
국민의힘은 윤석열 정부 출범과 함께 공영방송에 대한 재원 압박과 비난을 이어왔다. 국민의힘 서울시의원들은 개원과 동시에 TBS 조례 폐지안을 발의, 300억원의 서울시 지원금을 끊는 방식의 민영화를 추진 중이다. 권 원내대표는 지난달 조선일보를 통해 한상혁 방송통신위원장 사퇴 압박을 공식화 한 데 이어 지난 14일 "KBS·MBC 다 언론노조에 의해 좌지우지되는 방송"이라고 말했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지난 19일 연합뉴스가 기사 <홍준표 대구시장, 구내식당 '별궁' 등 과잉 의전 구설수>를 보도하자 "참 못된 기사가 떴다"며 연합뉴스 구독료 납부를 취소한다고 밝혔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