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성동, 공무원도 내리꽂는데 방송장악 안 한다?"

언론노조, 18일 권성동 허위사실 유포 명예훼손 고소 "국민의힘, 지지율 빠지니 언론계 태극기 부대 이용"

2022-07-18     고성욱 기자

[미디어스=고성욱 기자] 전국언론노동조합이 ‘민주노총 산하 언론노조가 KBS와 MBC를 좌지우지 한다’고 주장한 권성동 국민의힘 당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를 허위사실 유포에 의한 명예훼손 혐의로 18일 경찰에 고소했다. 

언론노조는 이날 오전 서울 종로구 서울경찰청에 권 원내대표에 대한 고소장을 제출했다. 언론노조는 고소장에서 "권 원내대표의 발언은 수많은 언론사를 통해 온 국민에게 그대로 전달되었다"며 "이로 인해 언론노조의 사회적 평가와 명예는 매우 심각하게 훼손되었다"고 밝혔다. 

윤창현 언론노조 위원장은 고소장 제출에 앞서 열린 약식 기자회견에서 “이 시간까지 권 원내대표는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할 근거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면서 "오히려 변명이라고 둘러대는 발언들은 현 정부가 과거처럼 다시 언론장악을 획책하고 있다는 것을 강력히 증명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윤 위원장은 ‘국민의힘이 언론중재법을 막아, 언론자유 수호에 앞장섰다’는 권 원내대표 발언에 대해 “입은 삐뚤어졌어도 말은 바로 하라”면서 “언론중재법을 앞장서서 막은 것은 언론노조다. 당시 정치적 이익을 위해 무임승차했던 국민의힘이 이제 와 언론자유를 말하는 것은 코미디”라고 비판했다. 윤 위원장은 “언론중재법이 개정됐다면 지금 언론인을 향해서 손배소 폭탄으로 언론에 재갈을 물리려는 시도를 누가 가장 많이 했겠나, 국민의힘 아닌가”라고 말했다.  

전국언론노동조합이 18일 서울 종로구 서울경찰청 앞에서 권성동 국민의힘 당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 고소에 관한 기자회견을 진행하고 있다.(사진=미디어스)

윤 위원장은 “국민의힘은 대통령 지지율이 빠지니까, 언론·미디어계에 남아 있는 옛 태극기 부대의 잔당을 정치적으로 이용하고 있다”며 “국민의힘이 시민단체라고 앞세우는 단체에는 세월호 보도 참사 주역의 KBS 길환영, MBC 김장겸, KBS 고대영이 있다. 이런 언론계의 아스팔트 우파들을 앞세워 언론노조를 공격하고, 방송장악의 정당성을 꾀하려고 해봤자 당신들의 궁색함만 드러난다”고 말했다.

윤 위원장은 “국민의힘이 진정 언론장악 의도가 없다면 국회 상임위원회를 즉시 구성하고, 공영방송지배구조 개정안을 최우선으로 처리해야 한다”면서 “만약 도발을 계속 한다면 대통령 지지율이 빠지는 정도가 아니라 박근혜 정권의 말로와 똑같은 길을 걷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강성원 언론노조 KBS본부장은 “국정원 블랙리스트, 청와대 홍보수석의 KBS 보도국장에 대한 전화 압력 등 지금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팩트이고 역사다. 그런데 그 전과를 가진 국민의힘이 주체를 언론노조로 바꿔 방송장악을 운운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강 본부장은 “당장 거짓 선동을 멈춰라”라며 “이번 고발은 국민의힘의 경거망동한 행동에 대한 경고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강 본부장은 “지금 국회에 공영방송 지배구조를 시민참여형으로 개선할 수 있는 법안이 발의돼 있다”며 “국회는 당장 공영방송을 다시 국민에게 돌려주고, 공영방송이 국민을 위해서만 일할 수 있도록 힘써달라”고 촉구했다. 

최성혁 언론노조 MBC본부장은 “권 원내대표는 강원랜드 채용 비리 혐의에서 벗어난 지 불과 반년도 안 돼서 대통령실에 지인을 채용시키기 위해 압력을 행사했다고 본인 입으로 말했다. 말단 공무원까지 압력을 행사해서 낙하산으로 내리꽂는데, 공영방송을 장악하지 않는다는 말을 누가 믿겠냐”고 쏘아붙였다.  

권 원내대표는 지난 14일 KBS 라디오 <최경영의 최강시사>와 전화 인터뷰에서 “KBS를 비롯해 MBC 다 민주노총 산하의 언론노조에 의해 좌지우지되는 방송이 아니냐”라고 주장했다. 권 원내대표는 “(KBS)사장 임명권이 있지만, (사장을) 임명한다고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민주노총 소속 노조원들이 사장 말을 듣겠냐”고 했다.

방송 이후 국회에서 해당 주장과 관련된 기자들의 질문이 이어졌다. 기자들이 '어떤 배경에서 민주노총이 방송을 장악했다고 말한 건가', '기자들은 개인의 양심에 따라 취재하는데 부적절한 발언이라고 생각하지 않느냐'' 등의 질의를 하자 권 원내대표는 기자의 소속을 물으며 불편한 기색을 드러냈다. 권 원내대표는 자신의 발언에 사과할 의사가 없으며 언론노조 위원장하고 일대일 토론할 용의가 있다고 했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미디어스’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