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스=이준상 기자]‘가짜 뉴스’ 논란이 들끓고 있다. 반기문 전 유엔사무총장이 대선 불출마 선언을 하며 가짜 뉴스의 피해자 행세를 했다. 극우 성향의 인터넷 게시판에는 ‘태블릿 PC 조작설’과 함께 JTBC와 손석희 사장을 둘러싼 가짜 뉴스 형태의 음모론이 돌고 있다. ‘언론’이라는 인터넷 보수매체들까지 가짜 뉴스 300만부를 배포했다는 보도가 나온 상황이다.

가짜 뉴스는 “사실 확인을 통해 진실을 추구한다”는 저널리즘과는 다른 차원의 문제다. 사실이 아닌 내용을 마치 사실인 것처럼 왜곡해 유통시키고 있다. 이런 측면에서 볼 때 극우 인터넷 매체들이 음모론을 지면에 쓰고 사실인 것처럼 퍼뜨린 것은 간과할 수 없는 문제다. 이 매체들이 정부를 비호하는 사실을 전달하기 위해 돈까지 받았다면 사실상 이들을 과연 언론이라고 부를 수 있을지 의문이다.

6일 JTBC<뉴스룸> 보도 화면 갈무리

그렇다면 사실만 전달하면 ‘진짜 뉴스’인가. 가짜 뉴스 논란이 기성 언론에게 던지는 메시지다. 저널리즘의 원칙에는 사실 전달뿐만 아니라 ‘진실 추구’라는 명목이 따라붙는다. 가짜 뉴스를 배포한 인터넷 보수매체에 앞에는 ‘극우’라는 꼬리표가 따라다닌다. 해당 매체들이 쓰는 기사에는 정파성이 노골적으로 드러나 있다. 독자들도 이를 인지하고 해당 매체들의 기사를 접하기 때문에 문제가 덜하다. 하지만 엄정한 저널리즘의 원칙을 지킨다고 자부하는 기성언론들이 과연 ‘진실'을 추구해왔냐고 묻는다면 과연 얼마나 그렇다고 답할 수 있을까.

기성 언론에서 큰 축을 담당한다고 볼 수 있는 공영방송의 사례를 보면, 저널리즘의 원칙은 자의적인 해석에 따라 판이하게 다를 수 있다는 걸 느낀다. 박근혜·최순실 국정농단 사태가 불거진 지난해 KBS와 MBC 기자들은 광화문 촛불집회에서 당당하게 마이크를 잡지 못하는 상황에 처했다. 보수 언론들마저 나서서 국정농단 사태를 비판하고 있을 때 정권을 비호하고 사태를 축소하는 뉴스를 일삼았다.

문제를 해당 방송사의 기자들에게 돌리기는 어렵다. 청와대발 낙하산 사장이 임명되는 구조적인 문제를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두 공영방송의 지도부들은 자사의 뉴스가 외면 받는 이유를 ‘저널리즘의 원칙을 고수했기 때문’이라고 해석하고 있다. 이들은 저널리즘의 원칙을 사익 추구란 개념과 뒤바꾼 것일까.

가짜 뉴스에는 자극적인 음모론을 앞세워 대중의 소비 욕망을 부추기고, 대중은 이를 꾸준히 소비해온 과거와 현재가 전제돼 있다. 일명 ‘지라시’가 그렇다. 따라서 기성 언론들이 저널리즘의 원칙을 잘 지키면 가짜 뉴스가 사라진다고 장담하긴 어렵다. 하지만 대중들이 가짜 뉴스를 진짜 뉴스인 것처럼 믿지 않도록 할 방법은 있어 보인다. 기성 언론들이 사익 추구에서 벗어나 저널리즘의 원칙을 고수하는 것이다.

예전에는 방송·신문의 보도를 대부분 믿는 편이었다. 주류 매체가 사실과 진실만 보도해왔기 때문만은 아니다. 새로운 소식을 접할 수 있는 통로가 간단했다. 지금의 현실은 그렇지 않다. 차고 넘친다. 또한 과거의 언론보도는 현재로 소환돼 비판의 대상이 되곤 한다. 가짜 뉴스는 기성 주류 매체에게 던지는 하나의 메시지다.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