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뭇매 맞을 결정은 금요일에 내려라?’

방송위원회는 우연찮게도(?) 중간광고 허용확대 결정을 주말을 앞둔 지난 2일 금요일에 내렸지만 신문들의 비판을 피해갈 수는 없었다. 기사거리가 없었기 때문인지 오히려 일부 신문들은 방송위의 중간광고 허용 기사를 1면 머리기사로 올리며 비판의 수위를 높였다. 특히 MBC는 2일에 이어 3일 뉴스에서는 신문보도에 대한 반박성 리포트도 내보냈다.

조중동 "대선 앞두고 방송사 봐주기"…'신문 광고수입 감소' 속내는 숨겨

▲ 11월3일 조선일보 3면.
조선일보는 3일자 1면과 3면에서 <드라마·영화 보는 중간에 광고 봐야> <“방송사 수익 올려주려 시청자 권리 무시”>를 쓰면서 “대선을 앞둔 민감한 시기에 방송위가 지상파 방송사에게 일방적으로 유리한 결정을 내려 의혹을 자초했다”는 한 교수의 코멘트를 인용하기도 했다.

동아일보는 1면 머리기사로 <방송위, 지상파 중간광고 허용/ 72개 단체 “시청자 권익 외면”>을, 이어 8면에 <시청자 불편 무시…방송사 배만 불려>를 보도했다. 동아 역시 대선과 연관시켜 해석한 점이 눈길을 끈다.

▲ 11월3일 동아일보 1면.
동아는 8면 기사에서 “정권 말기를 맞아 중간광고 도입 뿐 아니라 수신료 인상, 광고요금 인상, 다채널서비스(MMS) 등 ‘방송사 봐주기’가 계속되고 있다는 지적도 있다고 보도했다.

중앙일보는 2면에서 <방송위, 지상파TV 중간광고 허용> <드라마 중 광고 끼어들기/ 시청자들 짜증 늘어날 것> 두 기사로 나눠 보도했다. 중앙은 사설도 실었다.

<정권말에 밀어붙인 TV 중간광고>에서 중앙은 “지상파 방송사들은 디지털 전환을 위한 재원과 줄어든 광고료 수입을 들어 중간광고를 요구하지만 본말이 바뀐 욕심”이라며 “방송위는 지금이라도 중간광고 확대 결정을 철회하라”고 주장했다.

▲ 11월3일 중앙일보 사설.
조선, 동아, 중앙을 비롯해 국민일보가 1면 <지상파 방송 중간광고 확대>, 6면 <시민단체 “시청권 방해”/ 신문과 광고 불균형 우려>, 한국일보가 1면 <드라마 보던 중간에 광고봐야> 2면 <시청권 침해하며 지상파 손 들어줘> 등으로 방송위의 결정을 강도높게 비판했다.

신문들은 ‘시청자 권익’과 ‘매체균형발전론’ 등을 내세우고 있지만 신문의 광고수입 감소를 우려하는 속내는 찾아보기 힘들다. 중간제목에서 ‘신문매체의 반발’을 적시한 국민일보와 세계일보 정도가 ‘솔직’해 보인다.

경향신문 2면 <드라마 중간에 광고 ‘불쑥’>과 서울신문 2면 <지상파방송 중간광고 허용>, 세계일보 2면 <지상파방송 중간광고 허용>, 한겨레 2면 <방송위, 지상파 중간광고 허용 결정> 등은 다른 신문들에 비해선 비교적 차분한 보도태도를 보였다.

MBC, 가장 '적극적' 보도…"신문은 312% 인상, 방송은 94%에 그쳐"

2일 저녁 <뉴스데스크>에서 ‘중간광고 허용’ ‘외국사례는?’을 잇달아 보도한 MBC는 3일 저녁에는 ‘고품질 비용’이라는 리포트를 통해 신문업계의 주장을 반박했다.

▲ 11월3일 MBC <뉴스데스크>.
MBC는 “91년부터 14년간, 4대 일간지의 1면 하단광고의 요금은 312% 올랐지만 지상파 방송의 광고료는 94% 인상에 그쳤다”면서 “신문이나 케이블TV의 광고에 대해서는 별다른 규제가 없으면서 지상파TV의 광고는 엄격히 제한한 탓”이라고 보도했다. 외국에는 중간광고라는 용어 자체가 없는데 이는 “광고란 프로그램을 만드는데 쓰이는 최소한의 비용이라 생각하고 그것을 집행하는 방법도 자유롭게 열려있기 때문”이라고 보도했다.

2일 KBS <뉴스9>는 방송위의 결정을 단신으로 보도했고, SBS <8뉴스>는 ‘중간광고 허용결정’ ‘품질향상 계기로’를 잇달아 보도했다. SBS는 프로그램의 구성력 강화 등 장점도 있지만 “중간광고 실시로 프로그램에 대한 광고의 영향이 커질 것”이라는 우려가 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