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블방송은 78개 방송권역을 사업권역으로 하고 있다. 경쟁 플랫폼인 IPTV는 권역 구분 없이 전국이 사업권역이다. IPTV는 가입자 주소지 변경의 경우, 이전 설치 등의 동의를 얻어야 되지만 케이블방송은 권역이 다를 경우, 해지와 신규 가입이라는 절차를 다시 밟아야 한다. 즉 이사 등으로 인한 가입자 유지가 쉽지 않았다. 케이블방송과 IPTV가 경쟁관계인 것은 맞지만 출발점이 달라도 많이 다르다.

최근 케이블방송계에서 ‘원케이블(One Cable)’이 떠오르고 있다. 과거에도 케이블방송 업계에서 논의된 바 있었다. 그러나 논의를 이어갈 만한 동력을 찾지 못해 수면 아래 있었다. 지금은 사정이 다르다. IPTV 등 시장 경쟁 상황이 과거와 달라졌고, 최근 SKT의 CJ헬로비전 인수 합병 무산 이후 케이블방송계의 위기 의식이 심화되면서 탈출구로 ‘원케이블’을 지목하고 있다.

케이블TV비상대책위원회 회의 모습(케이블TV비대위)

지난주 19일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전환한 케이블방송업계가 1차 워크숍을 개최하고, ‘원케이블(One Cable)’ 구현으로 소비자 편익과 방송산업 선순환 구조 확립을 도모하고 새롭고 강력한 매체로 재탄생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그동안 케이블 비대위는 지 달 21일 출범 이후 제도개선, 경쟁력강화, 서비스혁신 등을 분야별로 논의를 진행해왔으며 오는 9월 중순까지 구체적인 합의안을 마련해 발표한다는 계획이다.

이날 논의된 것은 주로 서비스분야로, 지역사업자의 한계를 서비스 통합과 협력으로 정면 돌파한다는 전략이다. 케이블방송업계는 CJ헬로비전, 딜라이브, HCN 등 MSO와 단일 SO 등으로 구성돼 전체 케이블방송업계를 아우르는 서비스가 상대적으로 불가능했던 게 사실이다. 이를 위해 ▲SO간 서비스 로밍 ▲지역채널 특화 전략 ▲All-IP 플랫폼 전환을 통한 부가서비스 등이 서비스 혁신 차원에서 논의됐다.

이날 논의된 서비스분야의 혁신이 케이블업계 자구책이라면 정부에 건의할 사항도 대강의 틀을 드러냈다. 케이블비대위는 “우선적으로 산업 활성화와 유료방송 ARPU 정상화를 위한 큰 그림을 정부에 요구할 방침”이라며 구제적인 사안으로 ▲지상파 재송신료 합리적 기준 마련 ▲이동통신 결합상품 판매 제도개선 ▲유선상품 공짜마케팅 금지 ▲아날로그케이블 스위치오프 등을 꼽았다. 핵심은 이동통신 결합상품 문제로 키는 정부가 쥐고 있다는 설명이다. 비대위는 "케이블TV가 제공 불가능한 이동통신 결합상품 문제에 대한 정부의 실효적인 결단을 요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비대위 배석규 위원장은 “케이블업계가 ‘원케이블’을 통해 지역사업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공동투자에 나설 것”이라며 “정부도 방송통신 공정경쟁 및 유료방송 정상화를 위해 비대위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며 지원에 나서줄 것으로 믿는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