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 주 _ [주목! 이 뉴스] 입니다. 매일(평일) 오전, 미디어스 기자들과 편집위원들이 좋은 의미로든 나쁜 의미로든 ‘주목’한 뉴스를 전해드립니다.

▷ 조선일보 <"北주민이 외부 실상 알게… 드라마든 걸그룹 노래든 유입시키자"> / 윤정호 특파원 (2016. 2. 23.)

박근혜 정권에는 분명 남북관계를 개선해야 한다는 흐름이 존재했지만 전통적인 북한붕괴론이 함께 공존했다. 개성공단의 폐쇄에 이르는 과정은 양쪽이 서로의 발목을 계속 잡는 것에 가까웠다. 북한붕괴론의 원래 기원은 미국으로 볼 수 있다. 오바마 정권의 외교정책에서 북한 문제가 후순위로 밀린 것도 이 때문이다. 시리아, 우크라이나, 이란 등의 문제가 어떤 방식으로든 일단락되는 시점에 북한이 위험한 도발을 감행한 것도 이와 관련이 있을 것이다. 중요한건 이 패러다임에 기댄 상태로는 한국이 동아시아에서의 외교적 주도권을 상실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그러나 보수 세력으로서는 이 이상 좋은 핑계거리가 없다. 그래서 조선일보가 또 나섰다. 북한붕괴론을 강화하는 기사들로 지면을 도배했다. 다 떠나서 조선일보가 북한 붕괴와 이후 상황에 대한 대안까지 갖고 있는지 의문이다. 체제를 무너뜨리자고 말하는 건 쉽지만 파국을 책임지는 건 어렵다.
_김민하 기자

▷ 중앙일보 <젭 부시, 자신이 키운 ‘호랑이’ 루비오에게도 밀려 눈물> / 채병건 워싱턴 특파원 (2016. 2. 23.)

▷ 중앙일보 <흑인·중장년층, 위기의 클린턴 구한 일등공신> / 김현기 기자 (2016. 2. 23)

미국 대선에서 공화·민주 양당의 흐름이 어느 정도 정리되고 있다. 공화당은 트럼프 돌풍을 누르기 위해 사실상 당 주류가 칼집에 손을 댄 모양새다. 젭 부시는 여론에 밀려 사퇴했고 이제 마르코 루비오를 지지하는 것만 남았다. 다만 루비오가 뒤집기에 성공할 것인지는 아직 의문이다. 수퍼 화요일까지 이르는 경선 일정에서 각 주의 성향을 보면 트럼프에 유리한 상황적 조건이 마련돼있는 걸로 보이기 때문이다. 민주당의 경우 네바다에서 힐러리의 ‘방화벽’이 성공적으로 작동했다. 샌더스 돌풍은 아직 현재진행형이지만 결국 본선으로 가는 벽을 넘지 못할 걸로 보인다. 젊은 백인 고학력층이라는 지지기반의 확장을 가시화시키지 못했기 때문이다. 트럼프와 샌더스의 선전은 후보 자신들의 주장과 캐릭터가 작용한 것이지만 보다 근본적으로는 조지 W 부시 정권 이후 미국 정치의 극단화로부터 비롯됐다고 볼 수 있다. 어떤 의미에서든 민주주의의 위기다. 그리고 이건 남의 일이 아니다. 극단화된 정치는 스스로를 마비시키고 대중적 심판을 자처한다. 그 심판의 방향은 누구도 예측할 수 없다.
_ 김민하 기자

▷ 프레시안 <'죽음의 조선소' 현대중공업, 또 사망사고> / 허환주 기자 (2016. 2. 22.)

산재사고 때문에 노동자가 사망하는 일이 또 발생했다. 현대중공업 울산조선소 해양사업부 해양공사4부 조모 씨가 리프팅러그(해양 플랜트 모듈을 드는 데 사용하는 철제 구조물)에 깔려 현장에서 사망했다. 장기가 심하게 손상되는 중대재해였기에, 응급실로 옮겨졌으나 끝내 눈을 감았다. 이번에 문제가 된 리프팅러그는 기존에도 사고가 잦아, 노조는 안전조치와 관련해 여러차례 문제제기를 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 조모씨를 덮친 리프팅러그 역시 지지대조차 없이 세워져 있다고 주장한 현대중공업 사내하청지회장은 “정규직 노동자가 사망한 사고이지만 하청 노동자가 사망해도 이상할 게 없는 사고였다”고 말했다. 기업은 단순히 노동자의 노동력에 대한 임금을 지불하는 것만을 의무로 여겨선 안 된다. 모든 노동자는 안전한 사업장에서 최소한의 보호를 받으며 일할 권리가 있다. 그런데 이 당연한 권리는 너무나 자주 잊혀지고 만다.
_ 김수정 기자

▷ MBC <[집중취재] 안 팔리면 '불량'? 에코로바, 하청업체에 대량반품> / 조의명 기자 (2016. 2. 21.)

한 아웃도어 브랜드에 거위털 점퍼를 납품하는 조모 씨는 얼마 전 청천벽력 같은 일을 겪었다. 겨울 성수기가 지나자 본사가 느닷없이 점퍼 4800벌을 불량품이라고 반품시킨 것. 4차례나 검사를 통해 멀쩡하게 팔리던 옷들이 어느 날 불량품이라니… <시사매거진2580> 대기업의 하청업체에 대한 갑질 논란이 다시 불거졌다. 아웃도어 브랜드 에코로바가 그 주인공이다. 수법이 어디보다도 좋지 않다. 제보자에 따르면, ‘팔고 남은 재고’를 ‘불량’이라면서 하청업체에 대금을 주지 않는 방식으로 이득을 챙겨왔다는 것이 그것이다. 문제는 이 같은 횡포가 에코로바에서 끊이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MBC <뉴스데스크>의 보도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지난해에도 에코로바 하도급 업체가 제기한 ‘대금 지급을 미루고 부당 이익을 챙긴 사실’을 조사해 과징금 5300만 원과 시정 명령 처분을 내린 바 있기도 하다. 하지만 해당 업체는 이미 문을 닫았다고 한다.
_ 권순택 기자

▶[주목! 이 뉴스] 더 찾아보기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