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겨레가 서울지역 독자들에게 공공정보, 생활정보 등을 제공할 목적의 별지를 발간할 계획이다. 가칭 ‘섹션 서울’이다. 한겨레는 일주일에 한 번 16면짜리 별지를 통해 서울과 수도권의 생활정보, 공공정보 등을 제공하겠다는 계획이다. 내년 2월 발간이 목표다.

박창식 한겨레 경영기획실장 11일 미디어스와 통화에서 “서울을 중심으로 한 수도권에는 생활정보, 공공정보, 사회적 기업, 협동조합, 지역디자인 등 정보가 많이 있는데 시민들에게 충분히 전달되지 않고 있는데 이 같은 정보를 서울지역 독자들에게 전달하기 위해 발간을 준비하고 있다”고 전했다. 한겨레는 가판 등에서는 ‘유료’로 판매할 계획이나, 기존 독자들에게는 ‘무료’로 배포한다.

한겨레는 디지털미디어사업국 내 담당 부서를 신설하고, 기자 9명과 사업기획위원 1명 등 10명을 발령했다. 책임자는 윤승일 디지털미디어사업국 부국장이 맡는다. 박창식 실장은 “우선 10명으로 시작해 약간명이 더 합류할 수 있다”고 말했다. 광고영업과 판매는 한겨레 광고국과 독자서비스국이 담당한다.

▲ (사진=미디어스)

신문 부수가 줄고 있는 상황에서 별지 발행은 ‘수익 다각화’의 일환이라는 게 한겨레 설명이다. 박창식 실장은 “신문사도 기업이다. 수익을 낼 수 있다는 생각에 추진했다. 소상공인, 지방자치단체, 지역경제 등에서 수익을 다각화하려는 것”이라고 말했다. ‘협찬을 받기 위한 콘텐츠가 생길 수 있다’는 지적에 대해 박창식 실장은 “외국의 신문사들도 새로운 형태의 저널리즘을 모색하고 있다”며 “시민단체와 공동으로 공공문제로 포럼을 열거나, 소상공인과 중소기업 활성화를 위한 콘텐츠를 고민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겨레 내부에서는 ‘한정된 편집국 인력을 별지에 배치하는 것은 전체 역량을 저하시킨다’ ‘콘텐츠 특성 상 결국 기자들이 직접 광고영업을 하게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있다. 그러나 박창식 실장은 “광고영업은 한겨레 광고국에서 한다. (‘섹션 서울’ 팀에) 사업기획위원이 있지만 광고와 판매를 코디네이션하는 역할이다. 기자들은 기사를 쓴다. 광고영업을 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