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연대는 22일 "교육인적자원부가 지난 17일 국회 교육위원회에 보고한 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의 총입학정원 결정을 위한 보고자료를 검증한 결과, 교육부의 보고자료는 ‘100% 불량품’인 것으로 드러났다"고 비판했다.

대표적인 사례는 OECD 국가의 변호사 1인당 평균 숫자다. 교육부는 우리나라를 포함한 OECD 29개국의 변호사 1인당 인구수 평균과 우리나라를 변호사 1인당 인구수를 비교해, 우리나라를 포함한 OECD 29개국의 평균은 1,482명이라 하였다.

하지만 우리나라와 다른 국가들간의 정확한 비교를 위해 우리나라를 제외한 OECD 28개국의 평균을 산출하면 1,329명이 된다. 이로써 교육부는 우리나라를 제외한 다른 OECD 국가들과 한국과의 격차를 대폭 153명으로 줄여버린 것이다.

이처럼 통계는 어떻게 읽느냐에 따라서 전혀 다른 결론을 끌어낸다. 그래서 통계 수치를 이용한 기사를 읽을 때는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대럴 허프가 저서 <새빨간 거짓말, 통계>에서 제시한 '통계의 속임수를 피하는 다섯가지 열쇠'의 주요 내용을 요약했다.

첫째, 누가 발표했는가? 출처를 캐 봐야 한다.

"예를 들어, 어떤 실험실에서 무엇인가를 검증하였다면 자신이 주장하는 이론의 완벽성을 과시하기 위해서인지, 또는 명예를 위해서인지 또는 돈을 목적으로 하는 것인지 알아볼 필요가 있다. 신문의 경우에는 그 목적이 바람직한 기사를 내기 위해서인지 아니면 다른 목적이 있는지, 예를 들어 임금 문제에 줄다리기를 하고 있는 노조측인지, 경영자 측인지 등등을 잘 살펴볼 필요가 있다."(169쪽)

둘째, 어떤 방법으로 알게 되었는지 조사 방법에 주의해야 한다.

"표본의 왜곡 여부에 대해서도 그 증거를 찾아볼 필요가 있다. 표본의 추출 방법이 부적당했던 것은 아니었는지 또는 조사하는 과정에서 나온 몇 개 안되는 표본을 그대로 사용한 것은 아닌지를 따져볼 필요가 있다. 그 표본은 신뢰할 만한 결론을 얻기에 충분히 큰가의 여부도 따질 필요가 있다."(172쪽)

셋째, 빠진 데이터는 없는지 숨겨진 자료를 찾아 보아야 한다.

"표본의 크기가 얼마인지 항상 알려 주지는 않는다. 이런 숫자가 빠져있다면, 특히 그 출처가 중요한 관심사라면, 그 통계나 조사 전체에 대하여 의심해 볼 필요가 있다. 마찬가지로 신뢰도에 관한 자료(예컨대 확률 오차나 표준편차 등)가 빠져있는 상관관계는 심각하게 여길 필요가 있다."(173쪽)

넷째, 내용이 뒤바뀐 것은 아닐지 쟁점 바꿔치기에 주의해야 한다.

"통계를 분석할 때에는 그 기초가 된 데이터와 결론 사이에 어떤 바꿔치기가 있었는지 주의해야 한다. 전혀 다른 것으로 둔갑하여 발표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어떤 병의 환자 수가 많이 보고되었다고 해서 실제 그 병이 더 많이 발생했다고 말할 수 없는 것이다. 또 여론조사에서 이긴다고 반드시 실제 선거에서도 당선된다고는 할 수 없다. 또 독자 여론조사결과 독자들이 국제문제에 관한 기사에 흥미를 보이고 있다고 해서 실제로 그러한 기사를 다음 호에 실었을 경우도 그 독자들이 읽으리라는 보장도 없는 것이다."(178쪽)

다섯째, 상식적으로 말이 되는 이야기인가 살펴봐야 한다. 석연치 않은 부분은 조사해라.

"여러 통계들이 액면 그대로 받아들였다가는 큰일나는 거짓이 된 것들이다. 통계는 숫자라는 마술에 의해 사람들이 상식을 마비시켜버리는 까닭에 결코 사라지지 않는다. (중략) 한 예로 미국에는 800만 명의 전립선암 환자가 있다고 어느 유명한 비뇨기과 전문의가 계산하였다. 그런데 이 숫자는 암 연령에 도달한 성인 남자 한 사람당 1.1명의 전립선암 환자가 있다는 이야기다."(187쪽)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