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겨레 17면 <삼성 금융계열사, 직원수 줄이면서 ‘일감 몰아주기’ 늘려> 이정훈 기자

희망퇴직 유도 등으로 직원을 줄인 삼성 금융계열사들이 총수 일가 지분이 많은 계열사와 내부거래를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한겨레가 30대 그룹 직원 수와 내부거래를 분석한 결과다. 한겨레에 따르면, 삼성증권 삼성생명 삼성카드의 임직원은 1만235명(2014년 기준)으로 전년대비 1862명이나 줄었다. 흥미로운 대목은 삼성SDS와 내부거래가 크게 늘었다는 점이다. 한겨레는 “삼성생명은 1140억원에서 1331억원으로 16.7%, 삼성증권은 522억원에서 567억원으로 8.5% 늘어났다. 특히 312명의 인력이 줄어든 삼성카드는 920억원에서 1328억원으로 44.3%나 많아졌다”고 보도했다.

삼성생명은 지난해 발생한 과천전산센터 화재와 자원관리 시스템 구축을 위해 삼성SDS와 거래를 늘렸고, 삼성증권은 핀테크 투자 차원이라고 설명했다. 삼성카드도 차세대 시스템 구축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한겨레는 “계열사 간 일감 몰아주기 성격의 내부거래는 각종 특혜성 거래조건과 수의계약 남발을 수반해 기업의 고비용 요인으로 지목된다”며 “이에 따라 비용을 아끼기 위해 인력을 손쉽게 자른 기업들이 총수 일가의 지분이 큰 계열사와 내부거래를 늘린 것에 대해서는 비판이 나온다”고 전했다. 삼성SDS는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지분이 11.3%고 총수일가 지분은 총 19.1%다.

한겨레는 “이런 내부거래는 주로 수의계약 형태로 현금을 지급하는 방식이어서 인력까지 줄이며 비용 절감에 나선 이 회사들에 부담이 됐을 여지가 크다”며 “실제 삼성에스디에스가 지난해 2분기 삼성생명에서 벌어들인 480억원 가운데 절반이 넘는 235억원은 수의계약이었고 대가도 현금으로 받았다”고 보도했다. 한겨레는 “비용 절감 차원에서 인력 구조조정을 한다지만 총수 일가의 회사에 일감을 몰아주는 것부터 줄여야 한다”는 삼성생명 직원 이야기를 인용했다.


▷경향신문 12면 <‘소수노조 조합원’만 성과급 차별 “발레오전장, 부당노동행위” 판정> 김지환 기자

민주노총 조합원에게만 성과급을 차별한 발레오전장시스템코리아에 대해 중앙노동위원회가 부당노동행위 판정을 내렸다. 경향신문은 “중앙노동위원회는 4일 금속노조 경주지부 발레오만도지회 조합원 71명이 지난해 1월 회사를 상대로 제기한 부당노동행위 구제 재심신청을 받아들였다”고 보도했다. 발레오전장은 지난해 생산직 노동자 526명에 대한 성과평가를 실시해 성과상여금을 차별지급했는데, 다수노조 조합원들은 높은 등급을 받았고 소수노조는 낮은 등급을 받았다.

경향신문은 중노위가 “회사가 발레오만도지회 조합원 71명이 금속노조에 가입한 것을 이유로 부당노동행위 의사를 가지고 성과평가에서 차별한 것”이라며 “2014년 상반기 성과평가를 재실시해 성과상여금 차액을 지급하라” 판정했다고 전했다. 발레오만도는 ‘노조파괴 컨설팅’ 논란이 일었던 창조컨설팅과 2010년 계약을 맺었고, 그해 일부 노동자들이 민주노총 금속노조를 탈퇴하고 기업노조를 따로 세웠다.


▷경향신문 10면 <검찰, 새누리 대선 캠프 관계자 전격 체포> 홍재원 기자
▷중앙일보 10면 <검찰, 새누리당 전 대선캠프 부대변인 체포> 이유정 기자

‘성완종 리스트’를 수사 중인 검찰 특별수사팀(팀장 문부일)이 새누리당 대선캠프 수석부대변인을 지난 김아무개씨를 체포했다. 수사팀은 최근 김씨를 나흘에 걸쳐 조사했고, 재출석을 통보했지만 김씨는 출석을 거부해 왔다. 이에 검찰은 법원에서 체포영장을 발부받아 4일 김씨를 체포했다.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다.

경향신문은 “김씨는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에게서 대선 무렵 2억원을 받은 혐의를 받고 있다”며 “검찰은 이 돈이 정치권으로 흘러들어갔을 가능성을 의심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새누리당 대선캠프 또는 이 무렵 여권 정치자금에 대한 수사 확대로 이어질지 주목된다”고 보도했다. 지금까지 검찰은 이완구 전 국무총리와 홍준표 경남도지사를 불구속 기소했고 홍문종 새누리당 의원, 유정복 인천시장, 서병수 부산시장, 이병기 비서실장, 김기춘 허태열 전 비서실장에 대한 서면조사를 시작했다.

경향신문은 “수사팀은 특히 홍 의원 등 캠프 ‘3인방’ 쪽 자료를 우선 분석 중”이라고 전했다. 그러나 홍문종 서병수 유정복 등 캠프 3인방은 모두 관련 의혹을 부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중앙일보에 따르면, 홍문종 의원은 서면답변서를 통해 “성 전 회장이 도와달라고 부탁한 것은 사실이지만 ‘BH(청와대)에 이야기한다고 되는 것도 아니고 우리가 해줄 수 있는 게 없다’고 거절했다”는 취지로 해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서병수 유정복 시장 또한 의혹을 부인했다.

소환조사를 받은 2인, 그리고 캠프 3인방을 제외하면 전·현직 대통령 비서실장 셋이 남는다. 중앙일보는 “2006~2007년 각각 10만 달러, 7억원을 받았다는 의혹이 제기된 김기춘·허태열 전 청와대 비서실장은 정치자금법의 공소시효(7년)가 지났고 이병기 현 비서실장은 리스트에 이름만 적혀 있어 서면 조사만으로 수사가 종결될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동아일보 10면 <직장인 상위10% 월급, 하위10%의 11배> 손영일 기자

직장인 집단 내 소득불균형이 심화하고 있다. 고속득자의 소득장가율은 저소득층의 3배고, 소득상위 10% 직장인의 월급은 하위 10%의 11배에 이른다. 세대 격차도 커지고 있다. 최저임금 인상은 물론, 법인과 고소득자에 대한 세율 인상 등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지만 정부는 투자활성화, 일자리창출이라는 명분으로 규제완화에만 몰두하고 있다.

동아일보는 국민건강보험이 새누리당 박맹우 의원에게 제출한 ‘건강보험 직장가입자 연령·소득분위별 평균소득 현황’ 자료를 인용, “소득 수준 최하위 10%인 1분위 직장인의 세전 평균 월급은 2010년 75만2262원에서 2014년 80만5213원으로 7.0% 증가했다”며 “반면 같은 기간 소득수준 최상위 10%인 10분위 직장인의 평균 월급은 734만9090원에서 882만5493원으로 20.1% 늘었다”고 보도했다. “고소득층의 소득 증가율이 저소득층의 약 3배에 이른 것”이다.

동아일보는 “그 과정에서 1분위와 10분위 직장인 간의 평균 월급 격차도 큰 폭으로 확대됐다”며 “2010년 두 그룹의 월급 격차는 659만6828원이었지만 2014년에는 802만280원으로 벌어졌다”고 전했다. 특히 “청년층과 중장년층 등 세대 간 월급 격차뿐만 아니라 같은 세대 안에서도 월급 격차가 심화되는 양상”이다. 30대 직장인의 경우 10분위 평균월급은 818만6470원으로 1분위 85만4886원의 9.57배다. 동아일보는 “20대 역시 10분위 월급이 1분위의 8.91배였다”고 전했다.

40대 이후가 더 심각하다. 동아일보는 “40대 이상에선 1분위와 10분위 직장인의 월급 격차가 10배 이상으로 대폭 벌어졌다”며 “특히 70대 이상 직장인의 경우 1분위와 10분위 간의 월급 격차가 18배에 이른다”고 보도했다. 동아일보는 “10분위에 속한 70대 이상 직장인들은 최고경영자(CEO) 같은 기업의 임원진이 많은 반면에 1분위에는 최저임금을 받는 임시직과 일용직 근로자가 많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