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은 주말에 어린이날과 석가탄신일이 겹친 4일 연휴 아후 첫 업무일이면서 6월 4일 지방선거를 28일 앞둔 날이다. 몇몇 조간신문들은 세월호 참사 이후 본격적으로 지방선거 여론조사 결과를 보도하며 여론의 추이를 감지하기 위해 애썼다.

7일 <중앙일보>는 1면, 12면, 13면 기사를 할애해 세월호 사건 이후 변화된 광역자치단체장 여론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세월호 사건 이후 서울시장 선거에서 박원순과 정몽준의 격차는 벌어졌고, 부산시장 선거에서도 야권이 오거돈으로 단일화될 경우 박빙이 되었다는 것이 그 요지다. <중앙일보>가 보도한 여론조사는 지방선거 D-30일에 맞춰 실시된 <중앙일보>-한국갤럽의 여론조사다.
▲ 7일자 중앙일보 13면 기사
7일자 중앙일보에 보도된 여론 조사 결과에 따르면 새누리당 우세 혹은 경합우세 지역은 경기, 영남권 4곳(대구·울산·경남·경북), 충청 2곳(대전·세종), 제주 등 8곳이다. 또한 새정치민주연합의 우세 혹은 경합우세 지역은 서울, 충청 2곳(충남·충북), 호남 2곳(전남·전북) 등 4곳이다. 양당이 초접전을 벌이는 지역으로는 인천, 부산, 강원이 있으며 광주의 경우 새정치민주연합이 경선 없이 윤장현 후보를 전략공천한 데 반발해 이용섭 후보와 강운태 시장이 무소속 출마를 불사하겠다고 밝히는 바람에 경합지역에 포함되어 경합지역은 네 곳이 되었다.
7일 <경향신문>은 8면 기사에서 “여야 자체 분석과 각종 여론조사 결과를 종합하면 광역단체장 17곳 판세는 대략 새누리당 우세 7곳, 새정치민주연합 우세 6곳, 백중 4곳으로 분류된다”라고 진단했다. 이어서 <경향신문>은 “세월호 참사 이전 경향신문 판세 분석(새누리 우세 7곳, 새정치 우세 5곳, 백중 5곳)과 비교하면 야권 우세 지역이 한 곳 늘었지만, 그곳이 서울이라는 점에서 정치적 의미는 적지 않다”라고 지적했다.
<경향신문>은 경기, 울산, 경북, 경남, 대구, 대전 등 제주 7곳을 새누리당 우세지역으로 분류했다. <중앙일보> 여론조사와는 달리 세종은 백중지역으로 분류했다. 또 <경향신문>은 서울, 광주, 전남, 전북, 강원, 충남 등 6곳을 새정치민주연합 우세 지역으로 분류했다. <중앙일보> 여론조사와 비교해볼 때 광주와 강원이 추가되어 있다. 백중지역은 부산, 인천, 세종, 충북이었다.
▲ 7일자 경향신문 8면 기사
7일 <한국일보> 역시 1면과 8면 기사에서 선거 판세를 예측했다. <한국일보>는 8면 기사에서 “여론조사 및 정치 전문가 10인을 대상으로 한 달도 채 남지 않은 6ㆍ4 지방선거 전망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를 소개했다. <한국일보>는 “영ㆍ호남이라는 여야의 상수(常數)에 승부처인 수도권과 충청이 6ㆍ4지방선거 성패를 결정짓는 선거 구도는 변하지 않을 것”이라면서도, “하지만 참사 전까지 여당의 상승세가 돋보이던 수도권 판세는 상당히 요동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고 설명했다.
<한국일보>는 “17개 광역단체장 가운데 새누리당은 영남권을 중심으로 최소 8곳 이상, 새정치연합은 호남권을 중심으로 최소 6곳 이상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고 소개했다. 하지만 부산에서는 오거돈 후보의 선전이, 광주에서는 무소속 후보와의 대결로 의외의 일이 벌어질 수 있다는 시선도 소개했다.
▲ 7일자 한국일보 8면 기사
전반적으로 볼 때 세월호 참사 이후의 지방선거 여론의 변화의 폭은 크지 않다. 세월호 참사가 여당에 악재인 것은 분명하나 그렇다고 야당에 반사이익을 줄만한 사건도 아니었기 떄문일 것이다. 대통령 지지율이 확연하게 낮아진 것은 여당에 약점이지만, 정치 자체에 대한 불신과 선거에 대한 무관심이 겹쳐 투표율이 낮아질 경우 야당에 불리할 수 있다는 전망도 있다. 신문 보도의 특성상 실제의 변동폭에 비해 기사 제목이 먼저 ‘변화’를 강조하고 있는 측면도 있다.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세월호 사건 이후에도 선거의 구도 자체는 변하지 않는다는 것이 일반적인 시각”이라고 설명했다. 이어서 이 관계자는 “하지만 복수의 여론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미세한 변화는 감지되는데, 수도권과 40대 여성에서 약간의 변화가 있다”라고 설명했다. 아직까지 언론 보도는 주로 수도권의 변화에 주목을 하였고 40대 여성의 변화를 말하지는 않았다.
정치권 관계자는 “40대 여성은 지난 총선과 대선에서 새누리당의 강력한 우군이었다. 40대 여성의 이탈 흐름이 다른 여론조사에서도 지속적으로 관측될 경우 새누리당은 대책 마련에 고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