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의 안철수와 김한길 공동대표가 8일 국회에서 여론조사를 가지고 그간 논란이 된 기초선거 무공천 여부를 여론조사와 당원투표에 의해 결정하기로 했다. 9일 오전 9시부터 오후 8시까지 기초선거 정당공천제 폐지 여부와 관련한 여론조사와 당원투표가 실시될 예정이다. 여론조사와 당원투표는 50% 씩 반영되게 된다.

당원투표 대상자는 지난해 4월1일부터 올해 3월31일 사이 한 차례 이상 당비를 납부한 권리당원이다. 이는 지난해 7월 민주당의 기초선거 공천폐지 당론을 결정했던 전 당원 투표 때와 동일한 기준으로 ARS(자동응답 시스템) 방식이다. 새정치연합 권리당원은 36만~37만명으로 추산된다. 국민여론조사 대상은 전국의 만 19세 이상의 성인남녀 중 새정치민주연합의 지지자와 무당층으로 전화면접조사로 진행된다. 표본추출은 지역, 성별, 연령별로 인구비례에 따른 할당추출법이 적용된다고 한다.
▲ 9일자 조선일보 3면 기사
지방선거 기초선거 무공천은 전통적인 제1야당인 민주당과 안철수 의원 측이 만들어 나가던 새정치연합이라는 두 정치세력의 통합의 명분이었다. 기초선거 정당공천폐지는 지난 선거 새누리당과 민주당의 대선공약이었고 민주당은 대선 이후에도 전당원투표를 통해 이 당론을 확정지은바 있다. 하지만 제도적 정당공천폐지와 달리 새누리당이 공천을 하는 상황에서의 무공천은 새정치민주연합 측에 궤멸적인 타격을 줄 것이라는 반발이 컸다. 현실론을 떠나서라도 애초에 기초선거 정당공천 폐지 자체가 정당을 약화시키는 반정치적인 시도라는 지적이 줄이었다.
안철수 공동대표는 “국민들이 무공천을 선택해줄 것으로 믿는다”라고 말하고 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볼 때 8일의 제안은 이 논란에 대한 ‘출구전략’으로 볼 수 있다. 당내 반발이 심각한 상황에서 공동대표단의 의지만으로 무공천을 고수하다 지방선거에서 참패한다면 책임론이 불거지지 않을 수 없다. 그렇기에 명분이 있는 절차를 거쳐 철회하는 것이 최선책이라 볼 수 있는 측면이 있다.
한편 조사 결과에서 ‘무공천’이란 결론이 다시 도출된다 하더라도 이는 당심과 민심이 그편에 있는 것이 또 한 번 확인되는 것으로, 공동대표단의 무공천 의지에 힘을 실어주는 측면이 있다. 이 경우 현실적으로 지방선거에서 참패한다 하더라도 그것은 당원과 국민의 뜻을 따라 손해를 감수한 것으로 여겨질 것이므로 차선책에는 해당한다 볼 수 있다.
▲ 9일자 한겨레 1면 기사
새누리당은 물론 새정치민주연합 측이 약속을 뒤집었다고 반발하고 있다. 하지만 애초에 새누리당이 공약을 이행하지 않아 생겨난 불균형을 그대로 둔 채 새정치민주연합 측에 대해 약속을 지키지 않았다고 비판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새누리당이 최경환 원내대표의 사과를 통해 공약 불이행 상황을 돌파했다면 새정치민주연합의 이번 조치가 그보다 불합리하다고 봐야 할 이유는 없다.
새정치민주연합의 한 관계자는 “그간 새누리당 후보들은 지방선거 준비를 착실하게 한 반면 우리 쪽에서는 어찌 될지 몰라 우왕좌왕한 점이 있었다”라면서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기본적인 지지율이 워낙 높아 쉽지 않은 승부가 예상되지만 그나마 최악의 상황은 벗어났다”고 자평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