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일보가 사과를 했다. 8일자 2면 <독자 여러분께 사과드립니다>를 통해 지난 5일자 9면에 실린 <미국산 쇠고기 1인분에 1700원> 사진 연출에 대해 사과를 했다.

"미국산 쇠고기가 정육점에 이어 일반음식점에서도 4일 판매가 시작됐다. 서울 양재동의 한 음식점을 찾은 손님들이 구이용 쇠고기를 굽고 있다"는 설명을 담은 사진이 '연출'됐다는 내용이었다. 5일자 9면에서 '손님들이 쇠고기를 굽고 있다'고 했지만 사진 속 인물은 손님이 아닌 중앙일보 경제부 기자와 중앙일보 인턴기자였다.

오늘 아침 신문을 본 독자들은 중앙일보의 이 사과문을 어떻게 바라봤을까? 적어도 초년 기자 생활을 하고 있는 나에게는 취재의 결과물도 중요하지만 취재 과정에서 '정도'를 걷는 것 또한 무척 중요하다는 것을 새삼 일깨워준 하나의 계기가 됐다.

▲ 중앙일보 7월8일자 2면.
일단, 해당 사진에 대한 취재 과정부터 밝히자면 지난 7일 오전 편집장으로부터 <미국산 쇠고기 1인분에 1700원> 사진 조작 의혹을 취재해보라는 지시를 받았다. 사진에 나와 있는 한 사람이 중앙일보 경제부 기자라는 제보가 들어왔다는 것이었다. 중앙일보 기자의 이름까지 확보한 터라, 당사자에게 확인만 하면 사진 조작 의혹은 어렵지 않게 밝혀질 것으로 예상했다.

취재를 하면서 사진이 연출됐을 가능성은 점점 커져만 갔다. 속된 말로 '냄새'가 났다. 중앙일보 경제부 기자라고 추측되는 A씨는 최근 "육류 수입업체 <에이미트> 정육점에 미국산 쇠고기를 구입하려는 사람들이 넘쳐나고 있다"는 기사를 쓴 적이 있고 이 사진을 찍은 <다미소>라는 음식점은 <에이미트>에서 직영으로 관리하는 식당이었다.

일단 해당 식당에 전화를 걸어 사진 조작 의혹에 대해 짧게 언급한 뒤 중앙일보 기자가 사진을 찍을 당시 상황을 물어보자 식당 관계자는 이렇게 대답을 했다.

"요즘 미국산 쇠고기를 구입하고자 하는 전화가 폭주하고 있고 사람들도 엄청나게 방문하고 있다. 사람들이 많이 오는데 굳이 기자들을 찍을 필요가 있었을까? 잘 모르겠지만 아닐 거다."

첫 번째 관문에서부터 '팩트' 확인이 막혀버린 나는 중앙일보 사진부에 전화를 걸어 해당 사진을 찍은 김 기자를 바꿔달라고 부탁했다. 사진부 관계자와의 통화에서 김 기자는 사무실에 오후 5시가 넘어서 들어온다는 답변만을 들었을 뿐, 사진 조작 의혹에 대해서는 일말의 진전도 찾을 수 없었다.

어렵사리 사진을 찍은 중앙일보 기자의 휴대폰 번호를 입수했고 전화를 걸었다.

나: 김 기자님 이시죠?
김 기자: 맞는데요.
나: <미디어스> 송선영 기자라고 합니다. 토요일자 미국산 쇠고기 시식 사진 때문에 그러는데요. 이 사진에 실린 분 가운데 한 분이 중앙일보 기자라는 이야기가 있어서 사실 확인을 하려고 전화를 드렸습니다.
김 기자: 어디신데요?
나: <미디어스> 라고 하는데요.
김 기자: 어디요?
나: <미디어스>요!!!
김 기자: 아~ <미디어오늘> 이요?
나: 아니요. 매체 비평 전문지 <미디어스>입니다.

김 기자는 5초간 말이 없었다. (끊어진 건지 끊은 척 하는 건지 알 수 없었지만)

나: 김 기자님, 바쁘신가요? 사진에 실린 분, 중앙일보 기자 분 아니신가요?
김 기자: 중앙일보 기자 아닙니다.
나: 아 그러세요?

또 말이 없는 김 기자, 몇 초가 흘렀을까. 김 기자는 자전거를 타고 있는 중이라 전화 통화 하기가 힘들다고 했다. 나는 통화가 계속 이어질 것 같지 않다는 판단에 다시 전화를 하겠다며 통화를 끝냈다.

그렇게 수십 분이 흐른 뒤 다시 전화를 걸었지만 끝내 김 기자와 다시 통화할 수 없었다. 다음 취재처로 발걸음을 옮기기 전까지 수차례 전화를 했지만 김 기자는 전화를 받지 않았다.

여전히 드러나지 않는 '팩트' 확인을 위해 이번엔 사진 속 주인공으로 의심되는 A기자가 소속되어 있는 부서에 전화를 걸었다.

나: A기자님 계신가요?
유통부: 자리에 안계시니 휴대폰으로 해보세요.
나: 휴대폰 번호를 몰라서 그러는데 언제쯤 사무실에 들어오시나요?
유통부: 오늘 안 들어오세요. 근데 왜요?
나: 지난 토요일자 중앙일보에 실린 사진에 A기자님이 계시다는 이야기가 있어서 확인하려고요.
유통부: 그걸 왜 확인하려고 하시는데요?
('도대체 네가 그걸 알아서 뭐 하려고 하냐'는 식의 말투)
나: 매체비평을 하는 곳이니까요.
유통부: 잠시만요.

그렇게 몇 초가 지났을까, 까다롭고 퉁명하던 유통부 관계자는 한껏 누그러진 목소리로 이렇게 말했다.

"옆모습만 봐서는 A기자인지 확인이 어려운데요. 헤어스타일도 매일 바뀌는지라 정확하게 확인이 어렵네요. 중앙일보 CR팀에 문의해보세요. 연결해 드릴게요."

중앙일보 CR팀에 연락했더니 다시 사진부에 연락하란다. 사진부에 또 전화했더니 잘 모르겠다고 하면서 김 기자는 여전히 사무실에 없다고 한다.

▲ 중앙일보 7월 5일자 9면.
하루종일 중앙일보 관계자와 징하게 통화를 했다. 여기까지가 나의 취재 과정의 전부다. 사실 오늘(8일) 출근하자마다 김 기자가 받을 때까지 전화를 걸어볼 생각이었다. 그러나 중앙일보는 오늘자 2면에서 스스로 해당 사진의 조작 사실을 밝히고 "독자 여러분께 머리 숙여 깊이 사과드린다"고 밝혔다.

오늘자 중앙일보를 보면서 이런 생각이 들었다. "만약, 내가 혹은 다른 누군가가 사진 조작 의혹에 대해 취재 하지 않았더라면 중앙일보 스스로 오늘자 지면을 통해 사과를 했을까?"라는 생각. 해당 기자, 사진부, 유통부에 수차례 전화를 하지 않았더라면 그날의 사진은 그저 '미국산 쇠고기를 먹는 손님'으로 계속 기록되었을 것이고 수많은 중앙일보 독자들 또한 '미국산 쇠고기를 찾는 손님들의 수요가 늘고 있다'는 식으로 기억했을 것이다.

중앙일보는 오늘자 지면을 통해 스스로 잘못을 인정하는 미덕은 보인 듯 했으나 실상은 달랐다. 스스로 사과하려는 마음이 있었다면 왜 월요일자가 아닌 오늘자였을까? 어제 오후 사진 조작 의혹에 대한 취재가 들어왔고, 오늘자 지면을 통해 사과한 것이 단순한 오비이락이었을까?

사과 글을 읽어보면 당시의 상황이 이해되지 않는 것은 아니다. 마감 시간에 일단 사진을 찍어 전송해야 했고, 테이블에 앉아있는 손님들에게 취재를 요청했으나 당사자들이 모두 사양했다니 말이다.

하지만 아무리 취재에 대한 의욕이 넘친다 하더라도 '마감'이라는 급박한 시한이 있었다하더라도 이건 아니다. 철저히 사실을 확인하고 구분해 기사를 써야 한다는 사실 정도는 '기자'라는 이름을 단지 얼마 되지 않은 나도 알고 있거늘, 중앙일보는 있지 않은 사실을 연출해 독자의 판단을 오도하게 만들었다.

이번 사건을 통해 취재의 과욕이 어떤 결과를 초래한다는 것을 알게 됐고, 취재를 할 때나 기사를 쓸 때 더욱 신중해야 한다는 것을 깨달았다. 중앙일보가 부랴부랴 사과를 하기 전에 사안을 먼저 보도하지 못한 아쉬움은 있지만, 어찌됐든 중앙일보가 결과적으로 사진 조작에 대해 시인하고 독자들에게 사과를 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는 사실에서 작은 위로를 찾는다.

저작권자 © 미디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